2010년 6월 호주 멜버른에 처음 개설된 공자학원 현판식에 참석한 시진핑 중국(공산당) 교육부 직속 기관인 ‘공자학원(孔子學院)’이 서방 국가에서 속속 퇴출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내에서는 지속적으로 세를 키우고 있다. 공자학원은 공식적으로는 해외에서 중국어 교육과 문화 전파를 담당하는 기관이지만, 실제로는 ‘공산당 체제·이념의 선전 거점(據点)’으로 활용되고 있다. 한국내에는 2004년 서울을 시작으로 전국에 23개소의 공자학원이 운영 중인데 아시아 최대 규모다.
국립대 6곳의 공자학원 운영 현황을 분석한 결과, 중국 정부의 예산 지원액은 2019년 8억6000만원에서 지난해 9억9000만원으로 1억3000만원이 늘었다. 또 국립대 6곳 예산의 중국 정부 의존율은 작년 74.3%로 3년 만에 13%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 예산 전액을 중국에서 지원받는 국립대도 2곳이나 됐다. 서방 국가에선 공자학원이 정교한 여론조작과 체제 선전을 하고 있다는 폭로가 수차례 제기됐다. 공자학원에서 사용하는 교재 일부 내용이 학생들에게 공산당 일당독재나 티베트 상황 등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심어줄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다. 미국 국회는 2018년 발간한 ‘미·중 경제안보위원회 보고서’에서 “중국 공산당은 각국에서 여론 조작을 위해 다양한 수단을 활용하는데 그 중 하나가 공자학원”이라고 했다.
이 때문에 2013년 캐나다 맥매스터대를 시작으로 미국과 스웨덴 등에서 공자학원 80여 군데가 폐쇄된 상태다. 하지만 한국내에서는 오히려 세를 확장하고 입김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수한 공자학원과 중국 정부 간 계약서를 보면 ‘중국 측 지원 경비는 본부 관리 규정에 따라 집행되어야 한다’ ‘학원은 본부의 교육 평가를 받아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한국내 공자학원 운영에 중국 정부가 그만큼 깊숙이 관여할 수 있는 구조다. 공자학원은 중국의 이른바 ‘샤프 디플로머시(sharp diplomacy -_경제력을 문화적 영향력 확대에 이용하는 행태)’의 대표 사례로 많은 나라에서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도 유독 한국 정부만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아니 수용에 적극적이다. 대한민국에서 속히 공자학원을 축출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대한민국은 중국화 내지 사회주의화 나아가 공산화가 속히 이루어져 갈 것이다.
이 자들의 사대주의는 끝이 없다
외국 언론은 무섭고 자국민은 우스운 정권. 정말 웃기는 나라다.
박선영(前 국회의원) 페이스북 오늘 중국대사관 앞에서 진행한, 중국의 인권탄압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에는 외신들만 여러 군데서 나오고 국내 언론은 찾아볼 수 없었다. 더 한심한 것은 외신들이 오니까 경찰이 쫙 깔린 건 그렇다 치고, 현수막과 마이크도 사용할 수 있었고 3-4사람이 쭉 같이 서서 발언을 해도 괜찮았다.
외신들이 거의 안 오는 화요집회 때는 마이크도, 현수막도 못 쓰게 하더니…UN 등 국제사회가 국내의 언론의 자유, 표현의 자유 침해를 지적하니까 외신 눈치를 보는 듯했다. 이 자들의 사대주의는 끝이 없다. 외국 언론은 무섭고 자국민은 우스운 정권. 정말 웃기는 나라다.
* 오늘 기자회견 내용은 여기를 보시면 자세히 나옵니다. https://kr-mb.theepochtimes.com/%e9%9f%93%c2%b7%e7%be%8e...
[사설] 내년 2월 베이징 ‘남북 이벤트’ 위해 미국서 北中 편든 非상식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23일 미국 뉴욕에서 열린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을 마치고 취재진과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의용 외교장관이 23일 미국외교협회(CFR) 초청 대담에서 ‘중국이 최근 공세적 모습을 보인다’는 CNN 앵커 지적에 “중국이 경제적으로 더 강해지고 있기 때문에 당연하다. 20년 전 중국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우리는 중국이 주장하려는 것을 듣도록 노력해야 한다”고도 했다. 정 장관은 ‘한국은 미·중 사이에서 선택할 것인가’란 질문에 “한국은 그럴 필요가 없다”고 했다. 미국 정부에 이 말은 ‘미국을 선택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들릴 것이다. 지난해 주미 한국 대사가 ‘이제 한국은 미·중 사이에서 선택을 할 수 있는 국가’라고 했을 때, 미 국무부는 “한국은 수십 년 전 미국을 선택했다”며 불쾌감을 표시했었다. 외교에서 어느 한쪽을 선택했다는 사실을 공표할 수는 없다. 그러나 물 밑으로는 그런 선택이 이뤄질 수밖에 없는 것이 국제 정치의 현실이다. 한국이 70년간 북한 위협을 막아내며 세계적 경제 기적을 이룬 근본 바탕은 한미 동맹이다. 이를 부정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만약 한미 동맹이 흔들리면 세계에서 한국을 가장 업신여기고 들 나라가 중국이다. 정 장관 본인이 대통령 특사로 중국에 가 홍콩 행정장관이 앉는 하석에 앉았던 경험을 했다. 정 장관은 앵커가 한국을 미·일·호주 등과 ‘반중(反中) 블록’으로 구분하자 “냉전 시대 사고방식”이라고 했다. ‘냉전 사고’는 중국이 미국의 동맹 정책을 비난할 때 쓰는 말이다. 그는 ‘북이 핵을 포기하리라 생각하느냐’는 물음에는 “어려운 질문”이라고 답변하지 않았다. 얼마 전까지 “김정은의 비핵화 의지가 확고하다”고 보증했던 사람이 정 장관이다. 그러면서 북의 핵 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 중단에 대한 ‘보상’ 필요성을 거론하며 “대북 제재 완화를 검토할 때”라고 했다. 국제원자력기구가 ‘전력 질주’라고 우려할 만큼 북한이 핵시설을 다시 돌리고 있는데도 한국 외교장관이 북에 보상을 해주자고 한다.
정 장관이 이러는 속내는 뻔히 보인다. 청와대는 이날 2월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서 남북 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고 했다. 정 장관이 노골적으로 중국과 북한 편을 든 것도 베이징 남북 이벤트 때문일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유엔에서 중국이 포함된 ‘4자 종전 선언’을 제안한 것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북한은 도쿄올림픽 불참으로 IOC(국제올림픽위원회)로부터 올림픽 참가 자격을 제한당했다. 문 정권의 남북 쇼에 비상등이 켜졌다. 지금부터 IOC를 대상으로 한 치열한 로비가 벌어질 것이다. 2월 남북 정상회담으로 북한이 핵을 버릴 것이라고는 문 정권도 믿지 않을 것이다. 3월 대선에 미칠 영향만 계산하고 있다. 미국에 가서 중국 편을 든 비상식적인 행태는 달리 해석할 수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