百花軒(백화헌)-이조년(李兆年,1269~1343)
백화헌
爲報栽花更莫加(위보재화갱막가)
數盈於百不須過(수영어백불수과)
雪梅霜菊淸標外(설매상국청표외)
浪紫浮紅也謾多(낭자부홍야만다)
꽃 심기 더 이상 하지 말라 알리노니
숫자가 백에 차면 넘어서는 안 되리.
눈 속에 매화 서리 국화 해맑은 가지 외에
자줏빛 붉은빛이 셀 수 없이 많구려.
栽花(재화) : 꽃을 재배하다.
更莫加(갱막가) : 다시 더 보태지 말라.
盈(영) : 차다. 채우다.
淸標(청표) : 맑은 가지.
浪紫浮紅(낭자부흥) : 짙은 자줏빛과 엷은 붉은 색.
謾多(만다) : 아주 많다.
李兆年(이조년, 1269~1343).호는 매운당(梅雲堂)·백화헌(百化軒)이며 시호는 문렬(文烈),
본관은 성주이다. 兄弟의 이름이 특이해 소개하자면, 첫째는 李百年. 둘째는 李千年.
셋쩨는 李萬年. 넷쩨는 李億年. 다섯째가 李兆年 이다.
이조년은 체구가 작고 성품이 정한하고 강직하여 오히려 남의 꺼림을 당했으며, 담이
크고 과감해서 직언을 서슴없이 했으므로 왕도 그의 발자욱 소리만 듣고도 모습을 바르
게 했다고 한다. 이러한 그의 시조 한 수가 '청구영언' 등에 실려 전해지고 있다.
첫댓글 백화헌이 말 그대로 백가지 꽃이 핀 집이었군요.....
이화에 월백하고 은한이 삼경인제......
멋진 시조가 생각납니다.....
백화헌(百化軒)이라 꽃이 이루 말할 수 없이 많으니
이제 꽃의 숫자만 해도 백가지가 넘치는구나.
눈 속에 피는 매화부터 서리가 내릴 때까지 피는 국화뿐만 아니라
저 화려한 꽃들은 언제 다 보려는지 셀 수가 없다는 시입니다. 감사합니다.
감상 잘하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덕분에 잘 배우고 갑니다. 고맙습니다.
오늘은 李兆年의 좋은 詩,잘 감상하고 갑니다.
감사 합니다.
雪梅霜菊淸標外
浪紫浮紅也謾多
잘 감상합니다. 고맙습니다.
휴가를 갔다가 이제 도착해서
고맙게 잘 감상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시원한 휴일이 되십시오.
이조년의 이름이 괜찮은 것 같습니다.
이화월백하고...
감사합니다.
感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