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s://m.dnews.co.kr/m_home/view.jsp?idxno=202405131459387230026
종투사 주거용 부동산 대출 NCR 위험값 100%→60%
PF 유동화증권, 대출 전환시 NCR 위험값 32%
금융당국이 부동산 개발에 자금을 공급하는 증권사에게 한시적으로 영업용순자본비율(NCR) 규제를 완화해주기로 했다.
중소형 증권사를 중심으로 커지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발
신용등급 하락을 막고, 신규 자금 지원 여력도 높여주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금융위원회가 13일 발표한 ‘부동산 PF 연착륙 정책 방향’을 보면,
자기자본 3조원 이상인 종합투자사업자가 새로 공급하는
국내 주거용 부동산 대출에는 100%를 적용하던 NCR 위험값을
올해 말까지 60%로 조정한다.
또, 금융투자회사가 매입확약하는 등 채무보증을 제공한 PF ABCP
(자산유동화기업어음)를 직접 대출로 전환하면
NCR 위험값을 32%만 반영하도록 했다.
증권사는 NCR 비율을 100% 이상 유지해야 해야 하기 때문에
부동산 대출에 적용하는 NCR 위험값을 낮추면 추가 자금 공급 여력이
생기게 된다.
A 증권사 관계자는 “NCR 비율이 높아지면 신규 투자를 할 수 없게 된다”면서 “규제 완화로 부동산 투자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특히 NCR 규제 완화는 상대적으로 자본 여력이 약한 중소형 증권사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는 관측도 많다.
지난 2022년 레고랜드 사태 이후 증권사가 채무보증 제공한
PF 유동화증권의 차환발행이 막히면서 직접 대출로 전환하는 경우가
늘어났다.
이 때문에 증권사의 채무보증 비중이 줄어든 대신 PF 잔액은
늘어나는 추세였다.
작년 4분기 기준 증권업계의 PF 잔액은 7조8000억원으로
전분기(5조5000억원)보다 1조3000억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체 금융권 PF 잔액 증가액 1조4000억원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증권사의 PF 연체율은 작년말 기준으로 13.73%에 달했다.
문제는 구조조정 과정에서 대형사보다는 중소형사에게 손실 위험이
집중될 수 있다는 점이다.
유안타증권에 따르면 증권사가 보유한 브리지론 중 46%가
중후순위로 파악된다. 중소형사 상당수는 70%가 넘는다.
공문주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중소형 증권사의 자기자본 대비
부동산 PF 비중이 높고, 지방이나 중후순위 사업장 등
고위험 부동산 PF 비중도 높다”고 지적했다.
이런 상황에서 NCR 규제가 완화되면 PF 구조조정 과정에서의
증소형사의 자본비율이 낮아져 생기는 신용등급 하강 등의 문제를
줄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B 증권사 관계자는 “NCR 비율에 부담이 회사가 안 좋은 프로젝트를
정리하려고 할 때 이번 규제 완화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PF 사업장을 구조조정하는 과정에서 중소형 증권사들이
자본을 확충해야 하거나 신용등급이 내려가는 일을 막으려는 조치라고
판단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