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철승 국회의원 당선인 통지서
2. 해제
당선인 통지서
본적 전라북도 전주시 서신동 290번지
주소 상 동
소속정당 신민당
성명 이 철 승
1922년 5월 15일생
귀하는 1973년 2월 27일 실시한
국회의원선거에 있어서 당선인으로 결정
되었으므로 이를 통지함
1973년 2월 28일
전라북도 제1 선거구 선거관리위원회
이 철 승 귀하
3. 행장
1922년 서울 중구 수표동에서 출생, 전주에서 성장했다. 전주고등보통학교 재학 중 징집반대운동으로 일제의 감시를 받았고
보성전학교에 입학 후에도 반일학생 요시찰 인물로 지목되어 1944년 1월 학병으로 강제징집 되어 오사카의 병참부대에 배속
되어 1945년 8월 자살특공대로 차출 당했다. 8월15일 일본의 항복으로 일본군에서 탈출하여 귀국했다.
해방 후 미군정기 고려대학교 학생회장으로서 서울대학교 학생회장 손도심(후일 자유당 국회의원, 서울신문사장 역임)과 같이
우익 학생운동을 주도했고, 김구. 김성수를 도와 학생 반탁집회를 주도했다. 김구가 남북연석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방북하려 할
때 경고장 앞에 누워서 못가도록 반대시위를 주도했다.
정부수립 후에는 친일 반민족행위자 청산에 대한 확고한 입장과 친일 경찰채용을 강력하게 반대 하여 친일 경찰세력의 암살
음모 대상에 포함되었다는 설도있다. 6.25사변 때에는 학생들을 모아 전국학련 학도의용군을 편성하여 낙동강 전선에 참전하
였고, 그의 부친은 서울에서 인민군에게 살해당했다.
가. 학교
1944년 보성전문학교 졸업
1946년 보성전문이 종합대학으로 인가되고, 고려대학교로 개경
1949년 고려대학교 정치학과 졸업
나. 경력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1960년 제5대국회의원 (국회 국방위원장)
1961년 제15대 UN총회 대한민국 대표
1961년 5.16으로 정치규재 외국 망명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1973년 제9대 국회의원(국회 부의장)
1976년 신민당 전당대회에서 김영삼 후보를 꺽고 대표최고의원에 선출됨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7선 의원)
2007년 헌정회 의장
2016년 작고
※ 해방 후 우익 학생운동의 주도자로서 손도심은 자유당으로, 이철승은 이승만 대통령의 친일 반민족행위 청산에 미온적인
태도에 불만을 품고 무소속으로 전주에서 제헌의원과 2대 국회의원에 출마했으나 낙선되고, 민주당에 입당하였다.
당시 두 사람은 장래가 촉망되는 젊은 정치인 이었으나 손도심은 4.19로, 이철승은 5.16으로 정치 규제에 묶여 국외 도피
등 한동안 정치에 공백기를 가졌다.
- 정치규제 해제 후 손도심은 경기도 화성지구 민주공화당 후보를 희망 하였으나 홍사승에 밀려 공천을 받지 못하자 "푸른
집이 검은 이불을 쓰다" 라는 말을 남기며 불만을 표시하자, 건설공제조합 감사 자리를 주웠다. 그는 고려 청개와연구에
몰두하고 고미술협회를 창설하였으며, 실향민 정착업사업에 토지를 제공하는 등 지원에 나서기도 하였다. 저서로는 경세
가와 정략가, 원수는 없다 등 다수를 남기고 1979년 사망했다.
- 이철승은 재기에 성공하여 7선국회의원, 국회부의장, 제1야당 신민당 대표최고위원을 역임 하였으나 청치인의 최고봉엔
오르지 못하고, 김영삼. 김대중이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