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선법
그레고리안성가의 역사적 배경
고대그리이스의 역사적배경
기본적으로 단선율(Monophony)이었던 고대 그리이스의 음게의 기본적인 단위는 제누스(Genus- 제누스란 그이상은 분할 할 수 없는 형으로써 그곳에 쓰이고 있는 몇개의 음정을 뜻한다) 라고 불리는 4음음계였다. 이는 완전4도의 음정을 유지하고 있는데 높은음과 낮은음은 비교적 정확한 고정된 음으로 생각되었던 반면에 그사이의 음들은 유동적이었다.
고대 구리이스시대의 음악적 특징은 서양음악에는 없는 다양한 미분음정의 사용을 들 수 있다 이 미분음정에 의한 선율에 의해 어떤 작품의 성격(Ethos: 윤리) 이 결정되었다는 것이 거의 분명하다. 이 선율의 윤리를 결정하는 요소는 제누스와 선법외에 리듬을 들 수 있다.고대 그리이스시대의 노래의 리듬은 시의 리듬이었다.
중세 교회선법에 관하여
1. 선법(Mode)
음계는 단순한 음의 배열, 즉 음의 소재를 음정의 높이에 따라 나열한 것이고 선법은 음계에서 목적에 따라 필요한 음을 골라내는 것이다. (예: Dorian선법과 Hypomixolydian선법은 Re음을 같은 주음으로 갖고 있으나 전자는 종지음이 Re이고 중심음이 La인 반면에 후자는 종지음이 Sol 이고 중심음이 Do가된다. 이와같이 음계의 구조는 같지만 선법상으로는 성격이 전혀 다른 것이다.
1)선법의 종류와 구조
1 2 3 4 5 6 7 8
*Dorian- Re Mi Fa Sol Ra Si Do Re 종지음- Re 중심음-La 반음은 2-3, 6-7이다
1 2 3 4 5 6 7 8
*Hypodorian- La Si Do Re Mi Fa Sol La 종지음- Re 중심음- Fa 반음은 2-3, 5-6 이다.
1 2 3 4 5 6 7 8
*Phrygian- Mi Fa Sol La Si Do Re Mi 종지음- Mi 중심음-Do 반음은 1-2, 5-6 이다.
1 2 3 4 5 6 7 8
*Hypophrygian- Si Do Re Mi Fa Sol La Si 종지음- Mi 중심음- La 반음은 1-2, 4-5 이다.
1 2 3 4 5 6 7 8
*Lydian- Fa Sol La Si Do Re Mi Fa 종지음- Fa 중심음- Do 반음은 4-5, 7-8 이다
1 2 3 4 5 6 7 8
*Hypolydian - Do Re Mi Fa Sol Ra Si Do 종지음- Fa 중심음- La 반음은 3-4, 7-8 이다.
1 2 3 4 5 6 7 8
*Mixilydian Sol Ra Si Do Re Mi Fa Sol 종지음- Sol 중심음- Re 반음은 3-4, 6-7이다.
1 2 3 4 5 6 7 8
*Hypomixolydian- Re Mi Fa Sol La Si Do Re 종지음- Sol 중심음- Do 반음은 2-3, 6-7이다.
2) 선법의 종지음과 중심음
정격에서의 중심음은 종지음에서 5도 위에 있고 변격에서는 정격의 중심음보다 3도 밑에 있다.
예외는 Phrygian과 Hypomixollydian의 중심음은 원래 Si가 되지만 그 당시에 Si 음을 피하려는 경향이 있어 한음위인 Do
가 중심음이 되었다. 이것은 감5도나 증4도 음정을 피하기 위함이었다.따라서 종지음은 선법을 구성하는 가장 근본적인 음이며 중심음은 선율을 구성하는 중심적인 역활을 하는 음인 것이다.
3) 선법에 따른 선율의 성격
선율은 선법에 따라 그 성격이 달라진다. 왜냐하면 선법은 나름대로 그 특징을 가지며 따라서 선율은 사용된 선법의 특성에 의해 나름대로의 음악적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4) 선법의 결정요소
중세교회선법 역시 지금의 장단조와 마찬가지로 반음의 위치에 따라 특정지워진다. 구체적으로는 주음의 장3도와 7음과의 관계이다. 첫째 주음에서 상3도가 장3도인가 단3도인가 도 단3도인 경우 그 구성이 온음+ 반음인가 반음+온음인가 에 따라 그 선법이 결정된다. 둘째 교회 선법에서는 Lydian과 Hypolydian만 주음과 7음과의 관게가 반음이고 나머지는 모두 온음으로 되어 있다.
2. 각선법의 음악적 특성
*Dorian- 고요함, 관상적, 평안, 우아함, 누구에게나 사용됨 (그리스도왕 대축일 알렐루야)
*Hypodorian- 슬픔, 우울함(bond) (거룩하시다- 미사곡 16)
*Phrygian- 영원, 신성함, 감미로움, 격렬함(Fulda),( 주여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
*Hypophrygian- 신앙적(bond) 황홀하고 기품(Fluda)(대림3주일 봉헌송)
*Lydian- 즐거움(bond), 환희, 신선함 (성령강림 대축일 영성회송)
*Hypolydian- 경건하고 비관적(bond), 온화함(Fluda) (천주의 어린양 미사곡15)
*Mixolydian- 숭고함(bond), 순수함 (주의 수난 성지주일)
*Hypomixolydian- 장엄, 서술적
*중심음은(Dominant) 는 라틴어의 (Dominare)에서 유래 다스라다는 뜻이다
*정격은 종지음과 중심음의 사이가 넓기에 일반적으로 곡의 성격이 매우 생동적인데 비해 변격은 종지음과 중심음의 사이가
좁기에 대체로 조용하고 잔잔한 느낌을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