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내표준은 " 회사나 공장 등에서 재료나 부품, 제품 및 조직, 구매, 제조, 검사, 관리 등의 업무에 적용할 것을 목적으로 정한 표준(KS A 3001)"으로 정의할 수 있다. 사내표준은 기업의 종류에 따라 전사표준, 사업부표준, 공장표준 등으로 적용범위를 정할 수 있다.
사내표준은 통한 사내표준화는 기업활동을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기업의 수익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기업 내에서 직접 업무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2. 단체표준
한 국가 내에서 사업 단체나 학회, 협회 등에 의해 제정되어, 원칙적으로 그 단체 구성원이나 사업분야, 학회, 협회에 적용되는 표준을 말한다. 외국의 ASTM, NEMA, UL 등이 유명하다
3. 국가표준
국가 또는 국가적으로 인정된 표준화 기관에 의해 제정되어 전국적으로 적용되는 표준이다. 우리나라의 국가표준은 KS, 일본의 국가표준은 JIS와 JAS가 있다. JIS는 공업표준화법에 근거한 일본의 공업표준에 관한 규격이며, JAS는 농림물자에 대한 규격이다. 그 밖에 외국의 표준으로는 ANSI(미국), DIN(독일), BS(영국), NF(프랑스), GOSTR(러시아) 등이 유명하다.
4. 지역표준
한정된 몇 개국이나 지역표준화 기구에 의해 제정되어 주로 그 지역 내에 적용되는 표준을 말한다. 지역표준은 지역 내의 가맹국간의 무역촉진, 경제, 산업, 과학기술의 향상이나 지역 내의 기술협력을 용이하게 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한다.
유럽의 CEN이나 CENELEC이 지역표준으로 잘 알려져 있다.
5. 국제표준
전세계적으로 개방되어 있는 국제적인 조직에서 제정되어, 국제적으로 적용되는 표준을 말한다. 대표적인 국제기관으로서는 ISO(국제표준화기구)와 IEC(국제전기표준회의)가 있다.
ISO는 만국규격통일(ISA)의 사업을 이어받아 1947년 설립되었으며 IEC는 ISO보다 이전인 1908년에 설립되어 전기공업 전반에 걸친 표준의 통일을 위해 활동하고 있다.
사내표준화와 공공표준화 간에는 계층적 관계를 가지며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따라서 국제사회에서 인정받는 제품 및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자신의 생산환경에 적당한 사내표준화를 실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내표준화-
기업이 생산활동을 수행하는 데 있어 사내표준화를 실시하게 되면 합리적인 생산활동을 전개할 수 있으며 경제적인 생산이 가능하게 되어 고품질의 제품과 서비스를 합리적인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소비자와의 상거래에 있어서도 단순화와 공정화를 기할 수 있어 기업활동을 통한 이익과 사회에 대한 봉사를 동시에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사내표준화가 갖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① 하나의 기업 내에서 실시하는 표준화활동이다.
② 기업내의 모든 부문과 계층에서 실시해야 하는 활동이다.
③ 사내 관계자들의 합의를 얻는 다음에 실시해야 하는 활동이다.
④ 정해진 사내표준은 의무적으로 지켜져야 한다.
사내표준화의 절차 및 대상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내표준화의 절차 및 대상-
사내표준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은 다음 단계와 같다.
단계1) 표준화의 체제 만들기 : 최고경영자를 중심으로 사내표준화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사내표준화를 추진할 부문을 결정하고 이 활동에 전원이 참여할 수 있도록 표준화 도입에 걸맞는 체계를 세우는 작업이다.
단계2) 표준화 계획 : 기업의 표준화활동 목적을 결정하고 표준화 대상의 개요와 세부 항목에 대해 설계를 한 후 실시순서를 결정한다. 그리고 표준화시스템의 요소를 구성하는 데 표준화시스템의 요소로는 표준화 목적과 사무처리 방법, 표준화의 체계 및 교육절차 그리고 사내표준의 체계 등이 포함된다.
단계3) 표준화의 운영 : 표준화의 운영단계에서는 표준화의 운영계획과 표준작성상의 주의점 그리고 사용상의 주의점 등이 고려되는 단계이다. 표준화의 운영계획은 기업의 다양한 활동을 분류하고 표준을 근거로 분류하고 이에 적합한 표준을 제 정·개정하는 작업이다. 표준을 제정·개정하기 위해서는 표준 자체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파악하고 비용의 관점에서 표준을 작성한다. 이러한 운영계획을 통해 사 내표준화가 운영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사내표준화 활동이 표준에 근거하여 실시될 수 있도록 표준의 사용방법을 연구하고 그 결과를 교육과 종합훈련을 통해 전원에게 알린다.
단계4) 표준화의 평가 : 각 부문별로 그리고 종합적으로 운영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 를 평가한다.
위의 사내표준화구축 과정은 조직적이 활동을 통해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러한 활동은 기업의 규모와 표준화의 적용범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표준화활동의 기획, 관리, 서비스 등을 담당하는 표준화추진스탭 - 보통 QM추진사무국에서 담당 - 과 일상적인 기업활동 속에서 표준화성과를 올리는 부문을 담당하는 표준화실시부문 그리고 표준화를 계획·심의 및 표준화활동의 전반적인 촉진을 검토하는 사내표준화 추진위원회에 의해 수행된다. 이러한 조직은 전사적 체제로 운영되며 라인부문을 담당하는 표준화실시부문이 주체가 되어서 시행되어야 한다
-사내표준화의 종류 및 대상-
사내표준화는 표준화의 목적, 강제력의 정도, 표준의 적용기간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1. 표준화의 목적에 따른 분류
① 회사규정 : 회사의 조직 또는 업무와 관련된 기본적인 사항에 관한 규정
예) 조직규정, 업무규정, 종업원취업규정, 회의규정, 문서규정 등
② 관리표준 : 회사의 관리활동을 확실하고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업무수행방법, 관리 방법, 교육 훈련방법, 클레임처리방법 등 주로 업무의 관리방법에 관한 규정
예) 표준관리규정, 품질관리규정, 클레임처리규정, 판매관리규정 등
③ 기술표준 : 제품과 제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부품·재료, 생산설비, 보관설비, 수송설비 에 관한 다양한 항목에 관한 시방(示方)
예) 제도규격, 제품규격, 재료규격, 검사규격, 포장규격 등
2. 강제력의 정도에 따른 분류
국가표준, 국가규격과 같이 사내표준 역시 강제표준과 임의표준으로 나눌 수 있으며 사 내 표준에서는 사원들이 반듯이 준수하도록 의무화한 것과 지도 교육 판단기준을 부여할 목적으로 제정한 것을 각각 강제표준과 의무표준이라고 할 수 있다. 강제표준은 규칙 규정 표준 등으로 불리어지며 사내 표준은 이 순서로 파악될 수 있다.
3. 적용기간에 따른 분류
표준은 항상 변화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변화된 환경에 맞는 표준은 계속적 으로 제정·개정되어야 한다. 적용기간에 따라 사내표준을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① 통상표준 : 적용시작의 시기만이 명시된 표준으로 보통 대부분의 표준이 이에 속한다.
② 시한표준 : 적용의 개시기간과 종료기간이 명시된 표준으로 특정사업을 추진하거나 생산 및 기업활동의 과도기에서 표준을 도입할 때, 그리고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의미가 없는 경우에 적용되는 표준이다.
③ 잠정표준 : 일정한 시간이 지나거나 정규표준으로 제정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지면 정규표준으로 교체될 수 있는 표준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잠정표준은 상위표준 규제법규의 내용이 확정되거나 규정하려는 내용에 대한 검토 및 실험 등이 끝나거 나 사회의 움직임이 정규표준으로 교체해도 무리가 생기지 않을 때 정규표준으로 바뀐다.
-사내표준화의 효과-
사내표준화를 통해 기업은 생산에 소요되는 자원의 양과 종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생산의 다양화를 이룩할 수 있게 된다. 또 표준화를 통해 얻어지는 기준화에 의해서 생산시스템의 동일화나 정형화가 실현된다. 그 결과로 전문화·숙련화가 이루어지며 품질의 안정, 비용의 절감, 각 부문간의 의사전달이 원활해지는 등의 개선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표준화는 기업내의 자유로운 활동을 제한하고 획일화·고정화시키는 부정적인 효과도 함께 가져온다. 따라서 이러한 부작용을 억제하고 최대한 사내표준화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사내표준을 기업의 내·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관리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 사내표준의 설정, 실시상황의 확인, 개정과 같은 사내표준화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즉 사내표준은 고정적인 것이라는 관념에서 벗어나야 하며 상황에 따라서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기업내 조직을 갖추는 것이 표준화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로 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