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
1) 자궁육종의 치료방법
(1) 병기별 치료
1기 및 2기 육종의 치료는 전자궁 적출술, 양측 자궁 부속기 절제술, 골반 림프절의 수술적 및 필요에 따른 방사선치료입니다. 이와 더불어 복부와 폐에 발생하는 원격전이를 줄이기 위해 수술 후 항암제 치료가 고려되어야 합니다.
3기 육종은 수술, 방사선치료, 항암제 치료를 혼합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4기 육종은 항암제 치료가 요구됩니다.
(2) 치료방법 종류
ㄱ. 수술
자궁육종의 치료에 있어서는 수술만이 그 효과가 증명된 치료법이며, 전자궁 적출술 및 양측 자궁 부속기 절제술이 기본 치료입니다. 자궁과 난관-난소를 절제하고, 골반 속의 림프절과 대동맥 주위의 림프절을 절제하는 근치적 적출술을 시행합니다. 폐경 전의 자궁평활근 육종을 제외하고는 모두 양측 자궁 부속기 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또한 젊은 여성에게서 발생한 육종, 특히 자궁근종 내에 발생한 평활근 육종의 경우에는 난소를 보존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림프절 절제는 암육종에 있어서는 권유되며 자궁평활 근육종, 자궁내막 간질성 육종 등에서도 최근 FIGO의 병기분류에 림프절 전이여부가 추가되어 실시되는 경향에 있습니다. 이에 더하여 원격 전이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수술과 조직 병리 소견에 근거하여 추가적인 방사선치료나 항암 화학요법을 계획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ㄴ. 방사선치료
자궁 평활근 육종 환자 에서는 추가 외부 방사선 치료가 생존율뿐 아니라 국소 재발 조절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자궁육종 환자수가 적다보니 임상결과에 근거한 치료방침을 세우기가 쉽지가 않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수술적으로 병기를 정확히 설정하는 것입니다. 만약 수술전에 근종 등으로 수술하여 병기설정이 정확히 되지 않았다면, 담당의사와 상의하여 정확한 병기를 설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에 따라서 추가 치료를 결정해야 합니다. 환자의 수술적 병기 및 전신상태에 따라서 방사선 치료와 항암화학요법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ㄷ. 항암 화학요법
최근에는 독소루비신과 이포마이드가 자궁평활근육종과 암육종 환자에서 가장 활동적인 약제임이 밝혀졌지만 생존율 향상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자궁육종에 반응을 보이는 약제들로는 빈크리스틴(vincristine), 엑티노마이신(actinomycin D),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cyclophosphamide), 아드리아마이신(doxorubicin), dimethyl-triazeno-imidazole-carboxamide(DTIC), 시스플라틴(cisplatin), 이포마이드(ifosfamide)등이 사용되고 있지만 화학요법만으로는 완치를 기대하기가 힘들고 보통 수술이나 방사선치료 등과 병용하여 치료합니다.
ㄹ. 항암 화학요법과 방사선요법의 혼합
초기 자궁육종 환자들에서 생존율 향상의 이득이 있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ㅁ. 분자 타겟 치료
몇 가지 약제들의 임상시험이 진행중입니다.
2) 자궁육종 치료의 부작용
(1) 수술의 부작용
수술 치료로 인한 부작용으로 장기의 기능 장애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자궁을 수술로 적출하면 월경이 사라지며 임신도 할 수 없게 되고, 양쪽 난소를 절제하면 난소로부터 분비되던 여성호르몬도 없어집니다. 그 때문에 여성호르몬 결핍 증상이 나타나거나 질에서 분비되는 분비물의 양이 감소하기도 합니다. 난소로부터 여성호르몬이 분비되지 않기 때문에 나타나는 증상들은 두통, 어깨 결림, 불안, 안면 홍조, 불면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는 시기와 증상의 정도, 기간에는 개인차가 있습니다. 금기증이 없는 경우에는 이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호르몬 대체요법을 시행합니다.
(2) 방사선치료의 부작용
방사선치료의 부작용은 방사선이 적용된 특정 부위나 범위, 조사된 방사선의 양, 환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부작용은 크게 급성 반응, 지연 반응, 방사선 장염으로 나뉩니다. 먼저, 급성 반응의 경우 방사선치료 첫 3개월 이내에 발생하며, 재생속도가 빠른 조직이 방사선에 노출 될 때 급성 반응에 의한 손상을 보이는 것으로, 피부, 소화기 점막, 골수, 생식기관 등에서 발생합니다. 한편, 지연 반응은 방사선치료 6개월 이후에 발생하며, 혈관 손상에 의한 재생 속도가 낮은 조직 즉 결합조직과 근육, 신경 조직 등에서 흔히 나타납니다. 지연 반응 조직의 민감도는 각각의 방사선 조사 분할량에서 사용된 방사선의 양에 주로 의존합니다. 마지막으로 방사선 장염의 증상으로는 식욕 부진, 구역, 구토, 복통, 변이 남은 느낌, 설사, 직장염, 장 폐색, 누공(fistulas), 장 천공 등이 있습니다.
이를 위한 치료 방법으로는 증상에 따라 수분 보충 및 설사 치료를 행하기도 하며, 스테로이드 관장의 경우 직장염의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때에 따라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3) 항암화학요법의 부작용
항암제의 종류에 따라 나타나는 부작용의 종류가 다르며, 같은 항암제를 같은 용량으로 투여하더라도 환자에 따라 부작용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항암 화학요법 후에는 빈혈이 오고, 백혈구 및 혈소판 수가 감소하며, 입안이 헐고 오심, 구토, 설사 등이 올 수 있으며, 머리카락이 빠지며, 생식 기능에 장애를 가져오는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3) 자궁육종의 재발 및 전이
1기 상태의 육종이라도 약 50%에서 재발되며 2기에서 4기의 경우에는 재발율이 90%에까지 이릅니다.
심지어 질병이 명백히 국소에 국한된 경우에도 육종이 재발합니다. 가장 재발이 많이 되는 부위는 복부와 폐이며, 최소한 재발의 50%는 골반 밖에서 발생하고 골반부에 국한된 경우는 전체 재발의 10%미만입니다.
자궁육종 재발의 경우, 다발성 병소가 아니며 절제가 가능한 경우는 수술로 절제를 시행한 후 항암 화학요법을 추가로 실시합니다. 그러나 절제가 불가능한 경우 항암 화학요법과 방사선요법을 통해 되도록 육종이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치료는 완치의 목적보다는 완화 즉, 재발에 의한 통증 등의 증상 완화의 목적을 위해 실시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4) 자궁육종의 치료 현황
자궁내막암에서와 마찬가지로 생존율은 림프절 전이, 자궁근층 침윤, 자궁하부나 경부의 침범 여부와 관련이 있습니다.
자궁평활근 육종의 생존율은 20~63%로 평균 47%이며, 악성 혼합 Muller씨 종양의 전반적인 5년 생존율은 약 20 ~ 30%이고, 자궁내막 간질성 육종의 5년 생존율은 약 25%로 알려져 있습니다.
5) 자궁육종 환자의 일상생활
자궁육종 환자라고 해서 일상생활을 하는 데 큰 지장을 받지는 않지만, 암이라는 질병에 대한 심리적 압박감과 질병 경과에 따른 치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신체적 불편함 때문에 변화와 어려움을 겪게 되는 수가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 있어서는 심한 불안감과 우울증, 분노를 느끼기도 합니다. 그러나 수술 후 완쾌될 수 있음을 기쁘게 생각하고, 가능한 한 정상적인 생활을 유지하면서 희망을 가지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1) 성생활
자궁육종을 가진 여성은 그들의 삶에 많은 변화를 겪게 됩니다. 암으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주변 사람들이 자신을 보는 관점이나 자신과 남편과의 관계가 변하지 않을까 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게 됩니다. 또한 탈모, 체중 변화, 폐경, 피로, 통증, 불안 같은 부작용은 여성의 신체에 변화를 가져옵니다.
배우자와 함께 육체적 또는 정서적인 친밀함을 나누는 것이 중요한데, 성교를 통한 성적 결합 뿐만 애무와 키스 등도 다른 의미로는 동등한 성적 표현이 됩니다. 배우자와 친밀함을 나누기 위해서는 여유로운 시간을 선택하고, 필요시에는 성교를 위해 수용성 윤활제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