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소개
모두 10개의 장으로 구성된 이 책의 핵심은 해설이라는 것이 마술과 같은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다시 말해 해설은 논리적 설명을 불가능한 일종의 속임수나 기발한 고안품 같은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는 해설을 전략으로 간주한다. 의도된 기획과 의사소통 방식이 있었을 때 해설사들은 다양한 종류의 청중들에게 의도된 변화를 유발할 가능성을 높인다는 것이다.
해설이 전략적이 되기 위해서는 해설이 무엇을 하는 것인지에 대해서도 정확히 알아야 하고, 왜 특정한 방식으로 해설을 하는지에 대해서도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직관적 사고뿐만 아니라 일련의 연구결과들만이 보여줄 수 있는 믿을 만한 증거에 기반한 근거도 필요하다. 저자는 이 책의 각 장에서 이러한 증거들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은 해설사가 얼마나 전문적인 직업이며 또 그래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책이며, 해설의 목표와 좋은 해설이 갖추어야 할 요소와 같은 주제를 넘어 해설에 있어서 테마의 중요성과 양면성, 강력한 테마를 만드는 구체적인 방법들과 순차적 테마 개발과 비순차적 테마 개발 등 테마 중심 해설의 실제에 대해 깊이 있게 다루고 있다.
👨🏫 저자 소개
샘 햄
샘 햄(Sam H. Ham)은 미국 아이다호 주립대학(University of Idaho)의 명예교수이다. 테마 중심 해설에 관한 그의 저술 덕분에 그는 미국과 캐나다의 여러 지역뿐만 아니라 50여 개국의 초대를 받아 강연을 한 바 있고, 테마 중심 커뮤니케이션이야말로 최고의 해설 방법이라는 것임을 인정받은 바 있다. 오늘날 그의 테마 중심 해설의 원리는 전 세계 국립공원과 문화유적지, 박물관, 동물원, 식물원, 미술관, 수족관의 수많은 해설사들에 의해 실행되고 있다. 1992년에 출간된 그의 저술 『환경 해설: 번뜩이는 아이디어와 작은 예산을 가진 해설사들을 위한 실무 지침서(Environmental Interpretation: A Practical Guide for People with Big Ideas with Small Budget)』과 이번에 발간한 『청중을 변화시키는 해설(Interpretation: Making a Difference on Purpose)』은 세계 16개국에 번역된 해설 분야의 최고 교과서로 꼽힌다.
📜 목차
추천사
서문
감사의 글
한국어판 서문
역자 서문
제1장 해설과 커뮤니케이션
1. 해설과 관련된 세 가지의 중요한 용어
2. 해설의 업무상 정의
3. 해설과 강의의 차이
4. 존스 씨를 기억하시나요?
5. 통제할 수 있는 청중과 통제할 수 없는 청중
6. 커뮤니케이션으로서 해설
7. 재미·눈높이·짜임새·테마 순에서 테마·짜임새·눈높이·재미 순으로
제2장 좋은 해설의 네 가지 커뮤니케이션 요소
1. 좋은 해설은 테마가 있다
2. 좋은 해설은 짜임새가 있다
3. 좋은 해설은 청중의 눈높이에 맞다
4. 좋은 해설은 재미있다
5. 요약 및 다음 장 미리보기
제3장 해설의 최종 목표
1. 해설의 궁극적인 목표들
2. 동기유발로서 해설
3. 가르침으로서 해설
4. 엔터테인먼트로서 해설
5. 탁월한 해설의 조건
6. 어떠한 목표가 가장 중요한 목표라고 할 수 있는가?
제4장 모든 해설이 청중을 변화시킬 수 있는가?
1. 테마·짜임새·눈높이·재미 = 성공
2. 명품 해설의 요소 중 하나가 빠지거나 덜 강조된 경우
제5장 해설을 통해 청중을 변화시키기
1. 첫 번째 변화 - 해설은 청중의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두 번째 변화 - 해설은 청중의 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3. 세 번째 변화 - 해설은 청중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다
4. TORE테마·짜임새·눈높이·재미 모델
5. 요약 및 다음 장 미리보기
제6장 해설에 있어 테마의 양면성과 청중의 수용
1. 해설에 있어 테마란 무엇인가? 테마의 의도와 결과
2. 해설 테마에 대한 탐방객의 수용
- 하나의 테마와 서로 다른 수용
제7장 모든 테마가 동등한 것은 아니다
1. 테마가 충분히 강력한 것인지를 어떻게 알 수 있는가?
2. 강력한 테마의 구성요소
3. 테마를 강력하게 만드는 방법들
4. 어려운 테마에 흥미를 더하는 방법
5. 최초로 테마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유용한 팁들
6. 테마가 아닌 것들
7. 요약 및 다음 장 미리보기
제8장 테마에 대한 청중의 수용
1. 청중의 수용범위를 얼마나 넓게 잡아야 하는가?
2. 수용범위를 좁게 했을 경우의 윤리적 문제
3. 여러분의 해설은 성공적인가? 수용범위를 통한 판단
4. 요약 및 다음 장 미리보기
제9장 순차적 테마 개발
1. 순차적 테마 개발의 개념
2. 순차적 커뮤니케이션 기법
3. 순차적 테마 개발 테크닉
4. 순차적 테마 개발의 세 가지 모델
5. 테마의 패키지화
6. 요약 및 다음 장 미리보기
제10장 비순차적 테마 개발
1. 비순차적 테마 개발의 개념
2. 시간 제약과 테마 개발
3. 비순차적 테마 개발전략
4. 테마 제목과 이야깃거리 제목의 차이
5. 탐방객들의 생각을 불러일으키는 좋은 테마 제목 만들기
6. 요약
부록1 TORE 해설 원리의 기반이 되는 두 이론 요약
부록2 테마 제목만 있는 포스터에 대한 생각 나열하기의 결과
부록3 통제 가능한 청중과 통제 불가능한 청중 개념의 기원
주요용어집
미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