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선택제 공무원 승진최저연수 계산기(40시간 기준 전일제 개월로 환산)
승진최저연수.xlsx

빨간색 칸에 근무시간 시작일과 근무종료만 넣습니다.(빨간색 테두리 부분만 입력)
주당 근무시간이 변경된 내용을 넣으시면 되고 임용일부터 계속 20시간 이었으면 1줄만 넣으시면 됩니다.
예) 20년 2월 1일부터 20년 2월 17일까지 근무기간을 넣으시고
해당 기간의 주당 근무시간에 따라 노란색이 자동 채워집니다.
이 노란색 부분은 전일제 40시간 기준으로 월로 환산한 결과이며,
이를 합한 결과가 파란색에 표시가 됩니다.
예를 들어 위에 입력된 분의 경우
총 4회 주당 근무시간이 변경된 경우로 아래와 같이 근무하였다면,
총합이 전일제 40시간 기준 대략 29.184개월이 됩니다.
1차 기간 20시간=25.44 / 2차 기간 25시간=2.99
3차 기간 20시간=0.492 / 4차 기간 25시간=0.262
죄송하게도 이 정도가 최선이네요.
첫댓글 제가 허접하게 만든거라 맘대로 가져다 쓰세요.
우와~! 고생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고생은요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0.02.18 09:47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0.02.18 09:51
정말 아낌없이 나누고 공유하는 대단하신 분👍👍👍👍
말씀 감사합니다 다들 계산하기 어려워 하시는 것 같아서 공유해드립니다
이해가잘 근속진급아닌가요
근속진급이라는게 어떤 말씀인지요
지방직인데 인사과에서 특정직렬은 전일제들도 6년넘어야 8급시켜줍디다. 욕먹을 인사과 일반행정직과 모르쇠 구청장. 최저년수 의미없습니다.
서울시인가보네요..
그 부분은 기관 노조에서 따지셔야 될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