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해관총서, 무역협정 특혜세율 적용을 위한 수입물품 제출서류 간소화 조치 시행
중국 해관총서, 무역협정 특혜세율 적용을 위한 수입물품 제출서류 간소화 조치 시행
중국 해관 총서에서는 RCEP 등 무역협정에 따른 제3국 경유 화물과 국제철도 운송 화물, 홍콩·마카오 경유 화물의 특혜세율 적용을 위한 서류 제출 요구사항 간소화 공고를 발표하였으며, 이에 따라 특혜 세율을 적용받고자 하는 對중국 수출 기업의 관련 업무가 편리하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러시아] 블라디보스톡 당국, 불법 카지노 운영자에 대한 재판 착수
[러시아] 블라디보스톡 당국, 불법 카지노 운영자에 대한 재판 착수
ㅇ 블라디보스톡 당국은 지난 2016년부터 2022년까지 불법으로 카지노를 운영한 13명에 대한 재판에 착수 ㅇ 그들의 혐의는 시내에 14곳의 장소에 카지노 기계 및 불법 도박물품들을 설치 및 운영한 것임 ㅇ 당국은 불법 카지노 운영단체가 해당 기간 중 3억 7500만 루블 이상의 수익을 올린 것으로 추정<grammarly-desktop-integration data-grammarly-shadow-root="true"></grammarly-desktop-integration>
[러시아] 스베르은행, 주택융자 이율 3.3%p 향상
ㅇ 러시아 스베르은행은 중앙은행의 금리 상승 결정에 따라, 주택융자 이율을 3.3%p 올려 24.9%까지 향상한다고 발표 ㅇ 스베르은행은 최초 내 집마련엔 24.9%의 이율을 두번째부터는 24.6%의 이율을 제공 ㅇ 스베르은행의 주택융자 이율 상승 결정은 지난 10월 초 이후 1개월만임
[미국] (10.21) 2024 미 대선 주요 언론 일일 모니터링
[미국] (10.21) 2024 미 대선 주요 언론 일일 모니터링
2024년 10월 21일 미 대선 특집 주요 언론 일일 모니터링을 송부해드립니다. ◈ [WP] 최신 여론조사 결과, 해리스의 선거 자금 모금 현황 외 ◈ [AP] 유대인과 중도 유권자 표심의 향방 ◈ [NYT] 대선 현황, 대선 유세에 활용되는 맥도날드 등 ◈ [WSJ] 양 후보의 유세, 머스크의 적극적인 트럼프 지지 활동 ◈ [기타] 미 대선의 시장 및 한국 기업 영향 분석 기사(Bloomberg) 출처 : AP, WP, WSJ, NYT 블룸버그 등 현지 언론[미국] (10.21) 2024 미 대선 주요 언론 일일 모니터링
[파라과이] 파라과이, 아르헨티나에 토마토 6만 kg 수출 성공
[파라과이] 파라과이, 아르헨티나에 토마토 6만 kg 수출 성공
□ 파라과이, 아르헨티나에 토마토 6만 kg 수출 성공 (10.21 5 Días) ○ 파라과이, 6만 kg의 토마토를 아르헨티나 코르도바(Cordoba) 지역에 첫 수출 ○ 이번 수출은 밀수 문제로 국내에서 적정 가격을 받지 못하던 생산자들에게 새로운 판로를 제공 ○ 토마토 외에도 양배추, 피망, 양파 등의 작물 수출을 기대하고 있으며, 수출 확대로 생산자들의 수익 증대 목표 ○ 2024년 10월 15일, 파...
[파라과이] 중앙은행(BCP), 기후 변화로 2025년 GDP 예측 난항
[파라과이] 중앙은행(BCP), 기후 변화로 2025년 GDP 예측 난항
□ 중앙은행(BCP), 기후 변화로 2025년 GDP 예측 난항 (10.21 Última Hora) ○ 파라과이 중앙은행(BCP, Banco Central del Paraguay), 기후 변화가 농업 부문에 미치는 영향이 커, 2025년 GDP 예측을 수행할 수 없는 상황 ○ 2024년 경제 성장률, 3.8%에서 4%로 상향 조정되었으나, 2025년 추정치는 연말에 발표 예정 ○ 8월 경제 활동 지표는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 누적 성장률은 4.2% 기록함...
[파라과이] 달러 상승세 지속, 환율 7840 PYG(과라니) 도달
[파라과이] 달러 상승세 지속, 환율 7840 PYG(과라니) 도달
□ 달러 상승세 지속, 환율 7840 PYG(과라니) 도달 (10.18 Última Hora) ○ 주요 환전소와 은행 간 시장에서 각각 7840 과라니 와 7870 과라니 기록 ○ 파라과이 중앙은행(BCP, Banco Central del Paraguay), 환율 7900 과라니에 근접, 과라니화의 8% 평가절하 기록 ○ 이타우(Itaú) 은행, 12월 환율 7800 과라니로 전망한 바 있으나, 해당 수치는 이미 초과 *원문 기사 링크: https://www.ultimahora.com/el-dolar-sigue-subiendo-y-la-cotizacion-ya-llega-a-g-7-840
[파라과이] 수도권 , 파라과이 전체 에너지 수요의 52.6% 차지
[파라과이] 수도권 , 파라과이 전체 에너지 수요의 52.6% 차지
□ 수도권 , 파라과이 전체 에너지 수요의 52.6% 차지 (10.21 Última Hora) ○ 파라과이 전력청 (ANDE, Administración Nacional de Electricidad), 수도권 지역, 국가 전력망 전력 수요의 52.6% 차지 보고 * ANDE는 국가 전력 공급 지역을, 수도권 52.6%, 동부 20.6%, 중부 12.3%, 남부 7.7%, 북부 5%, 서부 1.7% , 총 6개 지역으로 나눔 ○ 2030년까지 40개의 송전선과 34개의...
[러시아] 러시아-UAE 간 교역 규모는 지난 3년간 3배 증가
[러시아] 러시아-UAE 간 교역 규모는 지난 3년간 3배 증가
ㅇ 양국 간 상호 투자 규모는 70억 달러 달성 ㅇ 양국 국부펀드는 총합 20억 달러 규모의 60개 프로젝트 운용 중 ㅇ 다만 올해 1-7월 교역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 [원문링크: https://www.finmarket.ru/news/6271547]
[러시아] 의무 라벨링 도입 이후 러시아 생수 시장 40% 확대
[러시아] 의무 라벨링 도입 이후 러시아 생수 시장 40% 확대
ㅇ 라벨링 도입으로 그레이(Gray) 마켓에 있던 것으로 추청되는 552개 제조업체의 양성화, 그 결과 시장 규모 40% 확대 ㅇ 올해 1-8월 합법적 생수 생산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21.7% 증가한 94억 리터 수준… 생수 수출도 동기간 22.5% 증가한 1억 5,800억 리터 규모 [원문링크: https://1prime.ru/20241021/voda-852290676.html]
[러시아] 전문가들, 러시아 중앙은행이 기준 금리를 20%로 인상할 것을 예상
[러시아] 전문가들, 러시아 중앙은행이 기준 금리를 20%로 인상할 것을 예상
ㅇ 일부 전문가는 21% 또는 22%까지 추가 인상 예상 ㅇ 인상 근거는 △높은 인플레이션 및 기대심리, △루블화 가치 절하, △가파른 임금 인상폭 등 ㅇ 그 외 △재정적자 폭 확대(GDP의 1.7%), △주택 관리비 12% 인상 예정, △폐차세 인상 등도 인플레 가속화 요인으로, 금리인상 결정에 영향 줄 가능성 [원문링크: https://www.vedomosti.ru/economics/articles/2024/10/21/1069834-konsensus-prognoz-tsb-klyuchevuyu-stavku https://www.rbc.ru/finances/21/10/2024/6710ea0c9a7947304023abec?from=from_main_7]
[러시아]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 "러시아-북한 간 협력은 제3국을 겨냥하지 않는다"
[러시아]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 "러시아-북한 간 협력은 제3국을 겨냥하지 않는다"
ㅇ "북한은 러시아의 가까운 이웃이며 동반자"로 규정하며, 양국 관계 발전은 양국의 고유 권리이며, 이는 제3국이 우려할 바가 아니다라는 언급 ㅇ "북한군이 정말 러시아에 파병됐느냐" 라는 질문에는 자세한 사항은 국방부에 문의하라며 답변을 회피 [원문링크: https://iz.ru/1777761/2024-10-21/peskov-zaiavil-chto-sotrudnichestvo-rf-i-kndr-ne-napravleno-protiv-tretikh-stran https://tass.ru/politika/22176281]
[러시아] 러시아 언론, 북한군 러시아 파병 관련 한국 정부의 지노비예프 주한 러시아 대사 초치 사실 보도
[러시아] 러시아 언론, 북한군 러시아 파병 관련 한국 정부의 지노비예프 주한 러시아 대사 초치 사실 보도
ㅇ 연합뉴스 인용해 초치 사실을 보도, '북한군 철수 및 관련 협력 중단' 촉구한 김홍균 외교부 1차관 발언도 보도내용에 포함 ㅇ 지노비예프 대사는 별도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고 첨언 [원문링크: https://tass.ru/mezhdunarodnaya-panorama/22174907 https://www.vedomosti.ru/politics/news/2024/10/21/1069884-vizval-rossiiskogo-posla?from=newsline https://www.kommersant.ru/doc/7247466?from=top_main_2 https://www.rbc.ru/politics/21/10/2024/6715eee19a7947d792f3b035]
[슬로베니아] 저탄소 수소 생태계 구축을 위한 컨소시엄 개요
[슬로베니아] 저탄소 수소 생태계 구축을 위한 컨소시엄 개요
□ 슬로베니아, 저탄소 수소 생태계 구축을 위한 컨소시엄 개요 ㅇ 슬로베니아는 친환경 에너지 전환 및 저탄소 미래를 보장하기 위해 주요 단계를 밟고 있음 - Slovenia-Japan Business Council, Slovenian Academy of Engineering, ELES Transmission System Operator가 협력 - 수소 가치 사슬을 구현하기 위한 시범 프로젝트를 추진 중, 공...
[루마니아] 로봇 공학 기업 Robot Industries, 아시아 시장 진출
[루마니아] 로봇 공학 기업 Robot Industries, 아시아 시장 진출
□ 루마니아 로봇 공학 및 자동화 솔루션 유통업체 Robot Industries, 아시아 시장 진출 ㅇ 최근 베를린에 유럽 본사를 설립하며 세계 시장에서 국제적 입지를 강화하기 시작 ㅇ 아시아의 주요 기술 허브 중 하나인 중국 난징에 새로운 중앙 사무소 개설 - 난징, 최첨단 제조 시설 및 혁신 친화적인 환경 보유 - 생산성과 경쟁력을 높여 고품질의 저렴한 맞춤형 로봇 솔루션을 제...
[대만]노동부, "월급 31,000대만달러 미만은 저임금에 해당"
[대만]노동부, "월급 31,000대만달러 미만은 저임금에 해당"
□ 대만 노동부, "월급 31,000대만달러 미만은 저임금에 해당" ㅇ 대만 노동부는 행정원 경제발전위원회의 지시에 따라 저임금을 월급 기준 31,000대만달러 미만으로 잠정 정의, 약 120만 명이 해당하는 것으로 추산함. - OECD는 중위 임금의 2/3 미만을 저임금으로 보고 있으며, 대만의 중위 임금이 월 46,000대만달러 수준인 점을 감안하면 그렇다는 설명임. ㅇ 대만 행정원 경제발전위원회는 빠르면 이번주...
[대만]중앙행정기관에 '운동부' 신설 추진
□ 대만 행정원, '운동부' 신설 추진… 스포츠산업, 스포츠과학 분야의 공적지원 확대 예상 ㅇ 내년 8월 출범을 목표로 2026년 부처 예산 200억 대만달러를 확보할 방침 ㅇ 산하에는 행정법인 운동산업발전센터도 신설해 스포츠산업의 규모화를 추진할 계획임. ㅇ 현재 대만의 체육 관련 중앙행정기관은 교육부 산하의 '체육서'로 행정법인 운동훈련센터와 스포츠과학센터가 각각 설치돼 있음. * 원문기사 링크: https://www.ctee.com.tw/news/20241018700099-439901
[2024.10.21.] 중동 사태 및 글로벌 해상 물류 관련 현지 동향
[2024.10.21.] 중동 사태 및 글로벌 해상 물류 관련 현지 동향
[오만] 오만, 도로 건설 프로젝트 계약 7건 체결
ㅁ 오만, 총 1억 1,900만 오만 리알(약 3억 940만 달러) 규모의 도로 프로젝트 계약 7건 체결 ㅇ 소하르-부라이미 양방향 차도의 기존 5개 교량 재건 프로젝트 - 총비용 600만 오만 리알(약 1,560만 달러), 공기는 준비 기간 45일을 포함한 18개월 - 오만 도로 설계 지침 2017에 따라 철근 및 콘크리트 보호대 설치와 노면 도색 진행 ㅇ 이즈키-니즈와 양방향 차도 건설 프로젝트 - 총비용 4,680만 오만 리알...
중국 광저우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투자진출 알아보기
중국은 성장 잠재력이 큰 글로벌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전폭적으로 산업을 육성하고 시장 환경을 개선하고 있다. 특히 광저우는 중국 최초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원스톱 서비스 센터’인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3센터(三中心)’를 설립했다. 또한, 중국 정부는 외국인 투자기업에도 중국 본토 기업과 차별 없는 혜택을 지원하고 있어 투자 기회를 찾는 우리 기업이 살펴볼 만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