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꾸준한 인구유입에 따라 화장품 수입 및 판매 시장은 꾸준한 성장세 기록 중 -
- 가격경쟁력 확보, 유동적인 최소주문수량, 샘플 제공 등 적극적인 마케팅 필요 -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 기초 화장용 마스크팩
- HS Code 330499
□ 기초 화장품 및 퍼스널 케어 시장 개요
ㅇ 꾸준한 인구유입에 따라 기초 화장품 및 퍼스널 케어 판매 시장은 꾸준한 증가세 기록
- 카타르의 인구는 2019년 9월 기준 275만 명으로 지난 연 평균 5% 성장
- 전체 인구의 75%가 남성, 25%가 여성으로 구성돼 있으며, 카타르 현지인은 전체 인구의 8% 수준에 불과
- 구매력이 높은 현지인들은 고급 브랜드 화장품을 선호하는 편이며, 이 외 대부분의 외국인은 일반적으로 중저가 제품군을 주로 소비
* 카타르 2018년 1인당 GDP : 7만 달러 (세계 7위, IMF 기준)
카타르 기초 화장품 및 퍼스널 케어(Beauty & Personal Care)판매 동향 및 전망
(단위 : 백만 달러, %)
구분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금액 | 519 | 537 | 562 | 596 | 631 |
증감률 | 11 | 3 | 5 | 6 | 6 |
자료원 : Euromonitor Passport
ㅇ 집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마스크팩 제품 수요 꾸준히 발생
- 마스크팩 제품은 피부 관리실에 가지 않아도 집에서 간편하게 피부관리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꾸준한 인기 상품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음.
- 카타르 화장품 매장 A사 세일즈 담당자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진정, 미백, 모공 관리 효과가 있는 마스크팩 제품이 잘 팔리는 편이며, 성분으로는 알로에, 녹차, 쌀, 숯 등을 함유한 제품이 인기가 높다고 응답
□ 수입 동향
ㅇ 2018년 마스크팩을 포함하는 기초화장품 제품류의 수입은 9억 4천 만 달러로 전년대비 3% 증가
- 프랑스, 미국, 인도 등 상위 5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5억 5천 달러로 전체 수입시장의 60% 차지
ㅇ 한국산 기초화장품 제품류의 수입은 한국 로드샵 화장품 브랜드의 진출에 힘입어 지난 3년간(2018년 기준) 연 평균 42% 성장
- 2016년 한국 화장품 브랜드 홀리카홀리카(Holika Holika)의 진출로 2017년 한국산 화장품은 139만 달러 규모로 수입, 전년대비 59% 성장
- 2018년에는 더페이스샵(The Face Shop)이 새로 진출하면서 한국산 화장품은 전년대비 27% 성장한 176만 달러 규모로 수입
* 홀리카홀리카(매장 3개 운영 중), 더페이스샵(매장 4개 운영 중)
카타르 기초화장품 제품류 수입 동향(HS Code 330499)
(단위 : 천 달러, %)
연번 | 국가 | 2016 | 2017 | 2018 | 증감률 (Y-o-Y) |
금액 | 점유율 | 금액 | 점유율 | 금액 | 점유율 |
1 | 프랑스 | 16,154 | 19 | 17,169 | 19 | 18,054 | 19 | 5 |
2 | 미국 | 10,359 | 12 | 11,839 | 13 | 13,396 | 14 | 13 |
3 | 인도 | 7,800 | 9 | 8,229 | 9 | 10,136 | 11 | 23 |
4 | 독일 | 6,089 | 7 | 5,764 | 6 | 6,950 | 7 | 21 |
5 | 이탈리아 | 4,388 | 5 | 5,132 | 6 | 6,515 | 7 | 27 |
6 | 스페인 | 2,957 | 3 | 3,256 | 4 | 6,073 | 6 | 87 |
7 | 영국 | 3,529 | 4 | 4,326 | 5 | 4,341 | 5 | 0 |
8 | 스위스 | 2,901 | 3 | 2,639 | 3 | 3,820 | 4 | 45 |
9 | 폴란드 | 2,675 | 3 | 3,672 | 4 | 3,117 | 3 | -15 |
10 | 말레이시아 | 2,512 | 3 | 3,465 | 4 | 2,976 | 3 | -14 |
| |
13 | 한국 | 874 | 1 | 1,389 | 2 | 1,766 | 2 | 27 |
기타 | 26,085 | 31 | 24,782 | 25 | 17,352 | 19 | -30 |
합계 | 86,323 | 100 | 91,662 | 100 | 94,496 | 100 | 3 |
자료원 : 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 경쟁 동향
상품 | 사진 | 가격 |
GREEN TEA The Vert (The Face Shop/한국산) | 
| 10QR (2.7USD) |
Gold Caviar Golf Foil Mask (홀리카홀리카/한국산) | 
| 29QR (7.8USD) |
Brewed Tea Mask (홀리카홀리카/한국산) | 
| 29QR (7.8USD) |
Modeling Mask (홀리카홀리카/한국산) | 
| 149QR (40USD) |
Neutrogena Fairness Boost (미국 Johnson & Johnson/한국산)
|  |
25QR (6.9USD) |
Petite Maison Facial Sheet Mask (터키 BFF Cosmetics/터키산) | 
| 10.75QR (2.9USD) |
Petite Maison Facial Charcoal Mud Mask (터키 BFF Cosmetics/터키산)
| 
| 23.75QR (6.5USD)
|
Yes to tomatoes Detoxifying Charcoal Peel-off Mask (미국 Yes to INC/프랑스산) | 
| 129QR (35.4USD) |
Yes to tomatoes Detoxifying Charcoal DIY Powder-to-Clay Mask (미국 Yes to INC/프랑스산) | 
| 149QR (40.9USD) |
L'OREAL Paris Pure Clay Mask (프랑스 L'OREAL/독일산) | 
| 28.75QR (7.8USD) |
자료원 : KOTRA 도하무역관 자체 조사 자료
□ 유통 구조

□ 관세 및 수입규제
ㅇ HS Code 8단위 기준으로 관세가 부과되며, 일반적으로 5%의 관세율 적용
- HS Code 3304호에 해당하는 8단위 기준 화장품 제품군에도 5%의 관세율 적용
ㅇ 카타르로 수입되는 화장품은 공공보건부(MoPH) 사전 제품 등록 필요
- 화장품 수입을 희망하는 수입자가 공공보건부의 ‘Pharmacy and Drug Control Department’를 통해 제품 등록을 신청하며, 일반적으로 1~3개월 소요됨. 월 최대 15개 제품까지 등록 신청 가능
- 공공보건부 등록 신청 시 ① 제품검사 신청서(원산지, 사용처, 생산일자 및 유통기한, 제품성분 등 포함) 및 등록 관련 양식류 작성, ② 제품 샘플 제출, ③ 제품 포장샘플 및 디자인 파일 제출, ④ 수입자의 사업자등록증 제출 등이 요구됨.
- 제품 포장에는 아랍어 또는 ‘아랍어+영어’로 제품명, 보관방법, 제조사, 원산지, 연락처, 사용방법 및 주의사항, 제조일자 및 유통기한 표기 필수
□ 시사점
ㅇ 샘플 제공 및 대면면담 등 적극적인 마케팅 필요
- 화장품 수입 시장은 이미 포화 상태로 경쟁이 치열한 편임에 따라, 거래 성사를 위해서는 바이어에게 제품 샘플을 택배로 보내거나 현지에 직접 방문해 제품을 시연하는 등 적극적인 마케팅 필요
ㅇ 작은 시장규모를 감안한 유동적인 최소주문수량 제공 필요
- 카타르는 인구 270만 명이 거주하는 우리나라 경기도 크기의 작은 국가로 주요 소비자인 여성인구는 인구의 25%만을 차지하고 있음. 여성 인구 중에는 단순 노무직 저임금 노동자도 다수 포함돼 있어 실제 구매력을 가진 소비자층이 한정된 편임.
- 바이어들은 한국산 제품의 가격을 검토할 때 단가 뿐만 아니라 최소주문수량에 있어서도 민감하게 반응함에 따라 카타르 진출을 희망할 경우 이러한 시장 상황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 PSA(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유로모니터(Euromonitor), KOTRA 도하무역관 자체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