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산업 특성
□ 산업 개관
ㅇ 건설업 규모
- 2018년 건설업의 국내총생산은 전년대비 15% 증가한 288억 달러로, 카타르 전체 GDP(1,925 억 달러)의 15%를 차지하는 카타르 제 2의 산업 (에너지 분야 GDP 비중은 36%)
- 2022년 카타르 월드컵 개최 준비 및 국가비전 2030에 따른 각종 인프라 프로젝트 진행으로 건설업 시장 규모는 꾸준한 성장세 기록 중
카타르 건설업 시장 규모
(단위 : 백만 달러, %)
구 분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GDP 규모 | 13,745 | 16,674 | 21,175 | 25,024 | 28,819 |
GDP 비중 | 7 | 10 | 14 | 15 | 15 |
증감률 | 27 | 21 | 27 | 18 | 15 |
자료원 : 카타르중앙은행(QCB)
□ 주요 정책
◦ 카타르 국가비전 2030(Qatar National Vision 2030, QNV)
- 2008년 발표된 '카타르 국가비전 2030'은 지속적인 발전을 통해 2030년까지 자국을 높은 삶의 질이 보장되는 선진국으로 전환시키는 것을 목표로 함.
- 인적자원, 사회, 경제, 환경이라는 4가지의 중점 발전 추진 분야로 구분하며 국가비전을 통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
카타르국가비전(Qatar National Vision 2030) 운영구조
자료원 : PSA(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KOTRA 도하무역관 가공 자료
ㅇ 2019년 정부 예산
- 정부는 2019년 전체 재정지출 568억 달러 중 43%에 해당하는 246억 달러를 프로젝트 예산으로 편성
- 정부의 중장기 국가 발전 전략과 함께 인프라 및 교통 분야 예산은 재정지출의 24%에 해당하는 136억 달러 규모로 편성
- 지속되는 인구유입에 따라 부족한 의료 및 교육시설을 보충하기 위해 재정지출의 20%에 해당하는 115억 달러 예산 할당
2019년 정부 프로젝트 예산
구분 | 예산 (억 달러) | 재정지출 비중(%) | 내용 |
인프라 | 90.7 | 16 | ㅇ 도로, 하수처리 시설, 수전력 등 관련 프로젝트로 구성 - Al Bustan Highway, Al Rayyan/Dukhan Road, Al Khor Coastar Road, Al Furousiya Road, North Road, Wakra Expressway, Wakrah Bypass, Lusail Expressway, Expansion in water and electricity networks 등 |
교통 | 45.1 | 8 | ㅇ 도하 메트로, 공항 등 관련 프로젝트로 구성 - 도하메트로 (33억 달러 할당), 루사일 경전철, 대중교통, 하마드 국제공항 확장 등 |
의료 | 62.4 | 11 | ㅇ 의료시설 신설 및 확장 프로젝트로 구성 - 하마드의료법인 시설 확장, 국립연구소 (National Laboratories) 설립, 5개 헬스센터 설립(South of Wakrah, Al Mashaf, Al Saad, Al Khor, Ein Khaled) 등 |
교육 | 52.7 | 9 | ㅇ 교육시설 신설 및 확장 프로젝트로 구성 - 카타르대학 (QU) 약대·공대 등 확장, 커뮤니티컬리지 확장 등 |
자료원 : 재무부(Ministry of Finance)
□ 주요 프로젝트
◦ 분야별 주요 프로젝트
분야별 주요 프로젝트
구분 | 세부건설분야 | 주요 프로젝트(예산) |
교통 | 도로 | - Al Khor Expressway (25억 불) - Dukhan Road/Khalifa Avenue (19억 불) - New Orbital Highway & Truck Route Contract 3 (17억 불)
|
메트로 | - Red Line, Gold Line, Green Line 및 경전철 (440억 불) |
공항 | - Hamad International Airport Expansion Phase 2 (85억 불) |
항만 | - Hamad Port Phase 2 (5억 불) |
에너지 및 유틸리티 | 수자원 | - Water Security Mega Reservoirs Project (76억 불) |
전력 | - Qatar Transmission Phase 12 & 13 (45억 불) - Kahramaa Facility E IWPP (30억 불) |
에너지(가스, 오일) | - QatarGas North Field Expansion (100억 불) |
주거, 상업 및 기타시설 | 경기장 | - Al-Bayt Stadium, Al-Rayyan Stadium, Al-Thumama Stadium/Al-Wakrah Stadium, Education City Stadium, Khalifa International Stadium, Lusail Stadium, Ras Abu Aboud Stadium (총 50억불) |
신도시 | - Lusail Development (450억 불) - Msheireb Downtown (63억 불)
|
보건의료 및 교육 | - Hamad Bin Khalifa Medical City (63억 불) - Qatar University Expansion (10억 불) |
호텔 및 상업시설 | - Hilton Salwa Beach Resort & Villas (5.5 억 불) |
경제자유구역 | - Qatar Economic Zone (58억 불) |
자료: MEED Projects 등
◦ 발주 예정 프로젝트
- 2019년 말~2021년 중 발주 예정된 주요 프로젝트로는 신도시 개발, 공항 인프라 확장, 도로 네트워크 개선 프로젝트 등으로 구성
발주 예정 프로젝트
프로젝트명 | 규모 (백만 달러) | 예정시기 |
교통통신부(MoTC) – Sharq Crossing | 8,000 | 2020년 4월 |
카타르레일(QRAIL) – Doha Metro: Phase 2 : Blue line Turnneling Works | 3,000 | 2021년 12월 |
루사일개발회사(LREDC) – Lusail Development : Lusail Plaza Towers | 1,800 | 2020년 1월 |
국방부(MoD) – Al Udeid Air Base Expansion | 1,800 | 2020년 4월 |
하마드국제공항(HIA) – Main Terminal Expansion | 1,100 | 2019년 12월 |
하마드국제공항(HIA) – Western Airfield Expansion | 750 | 2019년 11월 |
카타라문화마을(KATARA) – Phase 4 (Mixed use development) | 720 | 2020년 8월 |
공공사업청(Ashghal) – Expressway Program : North Road : Al-Zubara Road Phase 4 | 604 | 2020년 8월 |
공공사업청(Ashghal) – Umm Salal Mohammed Road Phase – 2 | 535 | 2020년 8월 |
주 : 상기 프로젝트는 시장 상황에 따라 취소 또는 연기될 수 있음. (2019년 11월 확인기준)
자료원 : Meed Projects
◦ 우리기업 프로젝트 수주 현황
- 1976년 정우개발의 카타르 제철소 건설공사로 최초 진출한 이후 누적 수주액은 약 228억 달러(112개사 진출, 523건 수주) 기록
- 주요 진출분야는 플랜트(112억 달러), 토목(82억 달러), 건축(24억 달러) 등 건설 프로젝트 위주로 구성
- 카타르 내 진출한 우리 기업으로는 현대건설, 삼성물산, 대우건설 등 18개 건설사가 진출해있으며, 주로 건설 플랜트, 설계 분야에 집중
□ 주요 기업 정보
2019~2024년 주요 디벨로퍼별 지출 전망
자료원 : MEED Projects (2019년 11월 확인 기준)
주요 디벨로퍼(Developer) 정보
기업명 | 기업정보 | 홈페이지 |
공공사업청(Ashghal, Public Works Authority) | 카타르의 공공 인프라 개발계획 및 이행, 관리 등을 위해 2004년 설립된 정부기관 | www.ashghal.gov.qa |
카타르가스(QatarGas) | 국영기업 QP(Qatar Petroleum)의 자회사로 1984년 설립돼 천연가스, 헬륨, 콘덴세이트 등 가스 관련 제품 생산 및 수출 | www.qatargas.com |
QP(Qatar Petroleum) | 카타르의 에너지(원유 및 가스) 분야를 전담하는 국영기업으로 1974년 설립 | https://qp.com.qa |
루사일부동산개발회사(Lusail Real Estate Development) | 카타리 디아르(Qatari Diar)의 자회사로 루사일 신도시 개발을 위해 2008년 설립 | www.lusail.com |
바르와부동산회사(Barwa Real Estate Company) | 카타르 주식거래소 상장기업으로 2005년 설립돼 부동산 개발업 수행 | www.barwa.com.qa/en |
QEWC(Qatar Electricity & Water Company) | 카타르 주식거래소 상장기업으로 1990년 카타르의 전력 및 담수발전플랜트 운영 관리 등을 위해 설립 | www.qewc.com |
카타르철도공사(Qatar Rail) | 2011년 국왕 칙령(Emiri Decree)에 따라 설립된 국영기업으로 지하철(Metro), 루사일 경전철(Lusail Tram) 개발 및 운영 관리 | www.corp.qr.com.qa |
하마드 국제공항 운영위 (Hamad International Airport Steering Committee) | 하마드 국제공항 확장의 추진 및 신속한 이행을 위해 설립된 위원회 | N/A |
카타리 디아르(Qatari Diar) | 카타르 국부펀드인 카타르투자청(QIA)에서 2005년 설립한 부동산 투자회사 | www.qataridiar.com |
교통통신부(Ministry of Transport & Communications) | 교통통신분야 정책수립 및 이행을 전담하는 정부 부처 | www.motc.gov.qa/en |
자료원 : Meed Projects (2019년 11월 확인 기준)
나. 산업 수급 현황
◦ 카타르의 수입 시장
- 제조업 기반이 취약해 대부분의 건설업 관련 산업기자재류는 수입에 높이 의존
- 2018년 상위 20개 품목 중 건설업 관련 산업기자재는 주로 철골 구조물, 통신 및 전력 케이블류, 전력 장치, 도로포장재, 밸브류 등으로 구성
카타르의 상위 20개 수입품목
(단위: USD 백만, %)
순위 | HS4 | 품목 | 금액 | 비중 |
총 수입 | 31,696 | 100 |
1 | 8802 | 항공기 | 1,875 | 4 |
2 | 8703 | 승용차 | 1,394 | 4 |
3 | 8411 | 가스터빈 | 1,235 | 3 |
4 | 8803 | 항공기 부품 | 960 | 2 |
5 | 8517 | 전화기 | 791 | 2 |
6 | 8407 | 자동차 부품 | 570 | 2 |
7 | 2601 | 철광 | 520 | 2 |
8 | 3004 | 의약품 | 505 | 1 |
9 | 7113 | 주얼리류 | 464 | 1 |
10 | 2818 | 산화 알루미늄 | 421 | 1 |
11 | 8471 | 정보처리기 | 383 | 1 |
12 | 7108 | 금 | 376 | 1 |
13 | 7308 | 철골 구조물 | 366 | 1 |
14 | 8544 | 광 케이블 | 363 | 1 |
15 | 7408 | 구리 케이블 | 350 | 1 |
16 | 8537 | 배전반, 제어반 | 345 | 1 |
17 | 2517 | 도로포장용 자갈, 쇄석류 | 294 | 1 |
18 | 9403 | 가구 | 294 | 1 |
19 | 8481 | 밸브류 | 281 | 1 |
20 | 8415 | 에어컨 | 259 | 1 |
자료원 : PSA(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 한국의 對카타르 수출 시장
- 대부분의 주요 수출 품목은 전선, 건설 중장비, 철강 제품류 등 건설 기자재로 구성
한국의 對카타르 수출 상위 20개 품목
(단위: USD 백만, %)
수입 |
순위 | MTI4 | 품목 | 금액 | 비중 |
총 수출 | 526 | 100 |
1 | 8415 | 전선 | 120 | 23 |
2 | 7411 | 승용차 | 43 | 8 |
3 | 7251 | 건설중장비 | 38 | 7 |
4 | 2140 | 합성수지 | 21 | 4 |
5 | 6141 | 철강관 | 20 | 4 |
6 | 6111 | 철강 및 비합금 강형강 | 20 | 4 |
7 | 1339 | 기타석유제품 | 17 | 3 |
8 | 8352 | 축전지 | 14 | 3 |
9 | 7121 | 운반하역기계 | 13 | 2 |
10 | 8412 | 변압기 | 13 | 2 |
11 | 7131 | 공기조절기 | 10 | 2 |
12 | 7133 | 가열난방기 | 10 | 2 |
13 | 3203 | 타이어 | 9 | 2 |
14 | 8413 | 접속기 및 차단기 | 8 | 2 |
15 | 1336 | 윤활유 | 8 | 2 |
16 | 8421 | 제어용 케이블 | 6 | 1 |
17 | 3109 | 기타 플라스틱 제품 | 6 | 1 |
18 | 8211 | 칼라 TV | 6 | 1 |
19 | 6261 | 아연괴 및 스크랩 | 6 | 1 |
20 | 7539 | 기타 금형 | 6 | 1 |
자료원 : KITA
다. 진출 전략
□ SWOT 분석
Strength | Weakness |
· 천연가스·석유 수출로 축적한 정부 및 국영기업의 탄탄한 자본력 · 정부주도의 경제다각화(QNV 2030) 추진에 따른 안정적인 투자환경 유지 · 저렴한 유틸리티 비용 (수도·전기·연료) · 다양한 인재풀(저임금 단순 노동자 ~ 고급전문직) | · 국제유가에 좌우되는 에너지 의존 경제 · 단교에 따른 국경 봉쇄로 최단거리 물류 네트워크 활용 불가 · 여전히 보편적인 외국인 투자자 스폰서 제도(외국인 49% 지분 제한)로 경영 주도권 확보 및 기업철수 애로 |
Opportunities | Threats |
· 2022 카타르 월드컵 개최 대비 인프라 프로젝트 지속 · LNG 증산 계획에 따른 플랜트 시장 활기 · 외국인투자법 개정(100% 외투허용) 및 경제자유구역 조성
| · 카타르 단교사태 장기화 및 이란 제재 강화 등 역내 정치적 긴장 지속 · 에너지 분야 입찰 시 ICV (In-Country Value) 의무화 시 현지화 비율 확대 및 경쟁 불가피 · 국세청 신설 및 특별소비세 도입으로 추가 세제개편 가능성 존재 · 2022 카타르 월드컵 이후 중대형 프로젝트 발주 감소 우려 |
□ 진출 분야 및 전략
ㅇ 정부 발주 건설 인프라 프로젝트 참여 및 납품 모색
- 국가비전 2030 및 2022년 월드컵 개최와 관련해 정부의 프로젝트 분야 예산 편성에 힘입어 도로, 신도시 개발, 공항 및 항만, 수전력, 의료 및 교육시설 등 분야에 꾸준한 사업 수요 존재
- 중대형 프로젝트 참여 및 기자재 납품 기회가 동반됨에 따라, 프로젝트에 입찰 참가 또는 발주처 벤더 등록을 통한 시장 진출 추진 가능
ㅇ 스마트 시티(Smart city), 그린 빌딩(Green building) 등 새로운 차원의 수요 대응
- 교통통신부(MoTC)는 국가 디지털화 프로그램 타스무(Smart Nation Program, TASMU)를 통해 교통, 물류, 헬스케어, 스포츠, 환경과 같은 5대 분야에 대해 디지털 기술의 접목을 추진 중으로, 건설 분야에서는 지능형 교통체계(ITS), 스마트 파킹 등 다양한 스마트 시티 관련 기술 제안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 에너지 효율 확대 및 친환경 건축에 대한 관심 고조로, 건물 내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그린 빌딩의 설계 및 관련 기자재 수요 대응 필요
자료원 : Meed Projects, PSA(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KOTRA 도하무역관 조사 자료 전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