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우면산 대성사는 15일 광화문 문화체육관광부 청사 앞 공원에서 법회를 열고 "사찰 인근에 건립 중인 국립예술단 공연연습장 공사 전면 백지화"를 주장했다. | 전통사찰 인근에 사찰과의 협의도 없이 공공시설이 지어져 물의를 빚고 있다. 하지만 시설 건립 주체인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법적인 문제가 없다”며 공사를 강행하고 있어 마찰이 예상된다.
서울 우면산 대성사(주지 법안)는 사찰 진입로에 지어지는 국립예술단 공연연습장 공사에 대해 전면 백지화를 요구하고 나섰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 이하 문체부)는 지난해 12월 국립예술단의 연습환경 개선을 위해 예술의전당 야외음악당 자리에 공연연습장 건립하겠다고 밝혔다. 공연연습장은 건축면적 2800㎡에 지하 3층 지상 5층 규모로 지어지며, 2008년 12월 착공해 2010년 12월 준공될 계획이다.
|
 |
|
▲ 국립예술원 공연연습장 조감도. | 이에 대해 대성사는 “서울시가 공연연습장 건립을 위해 ‘대성사 목불좌상(서울시 유형문화재 제92호)’에 대한 문화재 지정대상을 임의로 변경했다”고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 2007년 9월 목불좌상과 이를 보호하기 위한 토지 3필지 중 토지에 대한 문화재지정을 해제했다. 지정 해제된 토지 면적은 총 1818㎡에 이른다. 서울시는 “문화재위원회 심의 의결에 따라 (목불좌상이) 이전 가능한 동산문화재의 성격이므로, 문화재 지정내용을 변경해 문화재 보존ㆍ관리체계의 합리성을 제고하고자 했다”고 지정해제 이유를 밝혔다.
서초구사암연합회 전창응 사무국장은 “공연연습장 부지가 문화재보호구역의 영향을 받자, 이를 피하기 위해 문화재지정을 해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문화재보호구역 경계로부터 100m 이내의 개발을 제한하고 있다.
또한 대성사는 “사찰 진입로를 막고 공사가 진행돼 극심한 교통 정체를 빚고 있으며, 경내 무단주차로 인한 민원이 끊이지 않는다”며 “백제불교의 초전법륜성지인 대성사의 수행환경이 크게 침해받고 있다”고 밝혔다.
대성사는 15일 오후 2시 광화문 문체부 청사 앞에서 법회를 열고 “공연연습장 공사 전면 중단”을 촉구했다. 일문스님(중앙승가대 사회복지학과 4)를 비롯한 스님들과 신도 150여 명은 공원을 돌며 석가모니불 정근을 이어갔다.
대성사는 당초 장관 면담을 신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아, 이날 오후 2시 서칠봉 회장과 서초구사암연합회 전창응 사무국장이 문체부 담당 직원을 만나 대성사의 요구사항을 전달했다.
한편, 태고종 옥천 대성사(주지 혜철)는 국립환경과학원 금강물환경연구소(소장 천세억)의 이전 공사로 몸살을 앓고 있다.
금강물환경연구소는 최근 옥천군 교동리 옥천장애인작업장 부근 군유지 1488.3㎡를 매입해 2층 규모의 연구동 신축공사를 시작했다.
|
 |
|
▲ 옥천 대성사 뒤편에 건립 중인 국립환경과학원 금강물환경연구소 연구동 공사 현장. | 혜철스님은 “대웅전 바로 뒤편에 연구동이 건립돼 수행환경을 크게 방해받고 있다. 더구나 군은 전통사찰보존구역에 해당되는 군유지를 매각하면서 환경영향평가는 물론 사찰과 협의를 전혀 진행하지 않았다”며 공사 중단을 촉구했다.
공사를 허가한 옥천군은 “전통사찰이라도 역사문화보존구역으로 지정돼야 반경 500m까지 개발을 제한할 수 있다. 대성사는 역사문화보존구역 지정이 안 돼 건축허가를 해줄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대성사는 14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전통사찰 역사문화보존구역은 토지 소유자들의 이해관계가 맞물려 어떤 사찰도 신청하지 못한 유명무실한 법”이라며 “이번 공사는 현장방문 민원청취가 전혀 없는 상태에서 비현실적인 법규 해석만으로 허가를 내준 탁상행정의 전형”이라고 비판했다.
대성사는 “앞으로 충북도불교총연합회와 옥천불교사암연합회 등과 공조해 전통사찰 훼손행위에 공동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옥천불교사암연합회(회장 혜철)는 이날 ‘전통사찰 수행 환경파괴’에 대한 회의를 열고 공사 중단을 요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하고, 옥천군수를 항의 방문했다.
앞서 충북도불교총연합회(회장 노현)는 11일 △전통사찰 대성사 수행환경파괴 즉각 중단 △산림훼손 원상복귀하고 옥천군수는 사과하라 △금강물환경연구소는 환경오염과 전통사찰 수행환경 파괴를 중단하고 사과하라는 결의안을 채택하는 등 지역 불교계의 목소리를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