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 퇴행성관절염은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약 80%가 앓는 것으로 알려졌을 정도로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이다. 관절 사이에서 완충 역할을 하는 연골이 닳아 없어지면서 뼈끼리 부딪히고, 관절이 변형되는 동시에 염증과 통증을 낳게 된다.

무릎 퇴행성관절염 초기는 무릎 연골이 상하면서 염증이 나타나는 시기로 앉았다가 일어설 때, 오랫동안 걷거나 계단을 오르고 내릴 때 무릎이 시큰거리는 듯한 통증이 발생한다. 진행 단계가 중기로 넘어가면 연골 손상이 더욱 심해져 뼈와 뼈 사이 간격이 줄고 통증도 더욱 심해지고 잦아진다. 말기는 무릎 연골이 거의 남아있지 않은 상태로 뼈와 뼈가 서로 맞닿아 조금만 걸어도 극심한 통증이 발생하며, 심할 경우 통증 때문에 밤잠을 설치는 일도 생긴다.
☆ O자형으로 변형된 다리,
무릎 퇴행성관절염 말기의 대표적 증상 중 하나로 적극적인 치료 필요!!

또한 무릎 퇴행성관절염 말기의 또 하른 대표적 증상 중 하나가 o자형으로 휜 다리다. 다리 모양의 변형은 보통 중기부터 나타나기 시작해 말기에 이를수록 눈에 띄게 심해진다. O자형으로 다리가 휘는 이유는 허벅지뼈와 정강이뼈 사이에 있는 무릎 연골 안쪽이 집중적으로 닳아 무릎 사이가 벌어지기 때문이다. 다리가 휘기 시작한 때부터는 무릎 연골 안쪽에만 체중이 실리는 현상이 계속 돼 퇴행성 관절염이 빠르게 악화되는 악순환이 이어진다.
☆ 무릎 퇴행성관절염 말기,
근육과 힘줄 보존하는 '최소절개 인공관절수술'로 빠른 회복 가능!!

O자형 다리처럼 관절 변형이 심한 퇴행성관절염 말기에는 무릎인공관절수술을 통해 망가진 관절 기능을 정상화시킴은 물론 다리 모양도 곧은 11자로 회복할 수 있다.
무릎인공관절수술법 중 근육과 힘줄을 보존하는 최소절개술은 절개 부위를 9~10cm 정도로 최소화하고 조직 손상도 적어 합병증과 부작용을 현저히 떨어뜨렸다. 또한 출혈과 통증을 줄이고 빠른 회복까지 가능하게 하여 퇴행성관절염의 주 환자층인 고령환자들도 안심하고 수술을 받을 수 있게 됐다.

말기 퇴행성관절염 환자들이 무릎인공관절수술 후 가장 크게 만족하는 점으로 극심했던 고통에서 벗어난 것 못지 않게 자신감 회복을 꼽는다. 심할 경우 신체 기능의 저하가 정신적 고통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으므로 일상 생활이 힘들 정도로 심한 통증이 느껴지는 퇴행성관절염을 오랜 시간 방치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첫댓글 수술하고 재활기간은 얼머나 걸릴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