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aver.me/FxFidpTe
손진은 시인의 詩間
양 기르기 / 안희연
네가 아는 가장 연약하고 보드라운 것을 생각해봐
그때 내 머릿속에 떠오른 건 한마리
작은 양이었다
너는 그것을 잘 돌봐줄 것을 당부했다
절대로 잃어버려서는 안 된다고
그날 꿈속에서 너를 본 이후로
나는 양과 함께 살아간다
목이 마르거나 춥진 않을지
간밤 늑대의 습격을 받은 것은 아닌지
그러다가도 잔뜩 뿔이나
있지도 않은 양 따위, 중얼거린다
턱 끝까지 쌓인 눈을 헤치며 탈출하던 밤
너를 구했다고 생각했는데 손을 놓쳤다는 것을 깨달았을 때
긴 외출에서 돌아왔는데 집에 불이 환하게 켜져 있거나
양말 한짝이 감쪽같이 없어졌을 때에도
녀석의 목덜미를 끌어다놓고
장난하지 말라고 또박또박 혼내는 스스로에게 놀란다
내가 만진 것은 무엇이었을까
누군가는 물고기를 기르고
누군가는 북극곰을 기르고
한밤중에 잠에서 깨어나 소리 없이 우는 사람 곁에
새근새근 잠들어 있는 무언가가 있다는 것이
-‘세는 것’과 ‘기르는 것’
손진은 시인
한밤 또 하나의 자아가 속삭인다. “네가 아는 가장 연약하고 보드라운 것을 생각해봐” 잠이 오지 않아 양을 세어 본 사람은 누구나 이 경험을 해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런데 그 양을 “잘 돌봐”주고 “절대 잃어버려서는 안 된다”니? 이제부터 양은 단순히 잠이 들기 위한 수단이 아니다. 꿈속에서 그 목소리를 들은 후 화자는 점점 그 양에게 정이 들어 “목이 마르거나 춥지 않은지/간밤 늑대의 습격을 받은 것은 아닌지” 걱정하면서 관심을 갖기 시작한다. 그러나 아직 나의 실감은 알량한 잔뜩 뿔이 난 현실의 습격도 받는다. “있지도 않은 양 따위, 중얼거린다”
그러는 사이 점점 양은 떼려야 뗄 수 없는 피붙이가 되어 간다. 무의식마저도 그에게 점거된 채. “턱끝까지 쌓인 눈을 헤치고 구했다고 생각했는데” 손을 놓치거나, “긴 외출에서 돌아왔는데 양말 한쪽이 감쪽같이 없어졌을 때에도” “녀석의 목덜미를” 잡고 “장난하지 말라고 혼내”기까지 할 정도다.
그렇다. “한밤중에 잠에서 깨어나 소리 없이 우는 사람 곁에/새근새근 잠들어 있는 무언가가 있다는 것”은 얼마나 큰 위안일까? 그건 단순히 상상의 유희에 불과한 게 아니다.
오직 잠을 자기위해 ‘양’을 수단으로 사용했던 화자는 그 양도 밤이 되면 무섭고, 눈이 오면 추울 거라는 생각을 하고 이러한 부분을 ‘양 세기’가 아닌 ‘양 기르기’라 명명한다. 수단으로 사용된 그 동물도 하나의 소중한 존재인데, 아끼고 소중히 기르자는 말이 생명을 불러 일으킨다. 내 주변의 꽃들, 짐승들, 손때 묻은 문방구 하나도 ‘세는 것’이 아니라 ‘길러보는 것’은 어떨까. 그렇게 하다보면 그들도 내 피붙이가 될 수 있다는 생각!
개인적 생각
*양 - 순수, 동심, 양심 등으로 대체해 읽어도 무방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상황을 설정해서 전개하는 힘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