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은 세계 최대 수도 산업, 1021억 달러 시장 규모 -
- 미국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해 현지 네트워크 구축 필요 -
□ 미국 수처리산업 현황 및 전망
ㅇ 미국 전체 수도시장의 규모는 1021억 달러로, 주요 산업 투자 분야는 수처리 공정(막여과, 소독, 부식 방지 기술 개발), 수자원 인프라, 수자원 저장, 시설 교체 및 수리 등이 있음.
- 2016년 미국 용수 시장 관련 산업 규모는 592억 달러로 전년대비 1.5% 증가했으며, 향후 5년간 연평균 1.3% 성장이 전망됨.
- 2016년 미국 폐수처리 시장 관련 산업 규모는 430억 달러로 전년대비 1.4% 증가했으며, 향후 5년간 연평균 1.2% 성장이 전망됨.
미국 물 시장 전망
자료원: IBIS World
ㅇ 미국 정부는 2025년이면 36개 주에서 물 부족이 전망됨에 따라, 수자원 확보를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
- 미국은 수질정화 사업, 안정적인 수자원 개발 사업에 중점적인 지원
- 미국 환경보호국(EPA)은 2007~2026년까지 노후된 수도기반시설 교체에 3350억 달러 투자 진행 중
- Water Resources Reform and Development Act(WRRDA, 14.6.)에 의해 매년 신규 수도정화 사업 및 수자원 개발 사업 진행 중
· 미국 물 인프라 재구축 소요 시장은 향후 20년간 매년 300억 달러 전망
ㅇ 2020년까지 석유화학 및 가스산업 폐수처리 시장은 연평균 8.2% 성장한 각각 12억6400만 달러, 3억3600만 달러의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됨.
- 2017년 석유화학산업 폐수처리 시장은 9억 달러, 가스산업 폐수처리 시장은 3억 달러로 전망됨.
석유화학 및 가스 폐수처리 시장 설비 전망
자료원: BCC Research
ㅇ 미국 셰일가스 개발과 관련 수질오염 문제 제기에 따라, 수처리 산업은 2020년까지 90억 달러 규모 형성 전망
- 이로 인해 해수담수화 사업이 성장하고, 해당 시설에 필요한 장비, 부품 등의 수요가 증가할 전망
□ 미국 환경보호국(EPA)의 미래 물 기술 혁신 정책
ㅇ EPA는 미국 연방정부 내 물 관련 행정규제에 대한 재정 계획 및 이를 집행하는 실질적인 사업수행기관
- 미국의 물 산업은 연방법이 정한 안전한 마실 물 법(Safe Drinking Water Act)과 물 환경에 대한 규제 지침인 클린 워터 법(Clean Water Act, 1972)에 의해 규제
- EPA는 물 관리 및 물 환경을 위한 10대 혁신기술을 목표로 전 세계 물 시장의 리더십 확보 박차
EPA 수자원 10대 혁신 기술 목표
자료원: EPA,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수처리 유관 산업
1) 수처리 건설 시장
ㅇ 2016년 수처리(상하수 처리 시설 등) 건설시장 규모는 452억 달러로 전년대비 5.3% 성장했으며, 향후 5년간 연평균 2.1% 성장이 전망됨.
수처리 건설 시장 규모 및 성장률
자료원: IBIS World
ㅇ 수처리 건설 시장 내 점유율을 살펴보면 상수도 인프라 157억 달러, 하수도 인프라 117억 달러, 하수처리 플랜트 89억 달러 등의 점유율을 확인할 수 있음.
수처리 설비 제조 시장 현황
자료원: IBIS World
2) 수처리 필터 시장
ㅇ 2017년 미국 수처리 필터 시장은 연평균 6% 성장한 130억 달러 규모로 전망됨.
- 전 세계 수처리 필터시장은 연평균 10%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보임.
- 최근 수처리 기술에 있어 수질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약품 처리가 배제된 친환경 막분리 공정이 주목받고 있음.
수처리 기술 패러다임 변화
자료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
ㅇ 미국의 분리막(Membrane:멤브레인) 기반 수처리 시장이 2020년까지 6%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미국 담수화 시장 또한 향후 10년간 시장 규모의 2배가량 성장이 전망됨.
- Frost&Sullivan에 따르면, 주요 성장요인으로 음용수 수요 증대, 하수 재이용율 및 분리막 기반의 담수화 시설 증가, 환경 기준 강화 등을 들 수 있음.
- 막분리 공정은 분리 성능에 따라 정밀여과막(MF; Microfiltration), 한외여과막(UF; Ultrafiltration Membrane), 나노여과막(NF; Nanofiltration Membrane), 역삼투막(RO; Reverse Osmosis Membrane)으로 분리됨.
멤브레인 분류
자료원: 신소재 경제
3) 담수화 플랜트
ㅇ 미국 담수화 설비용량 전 세계 2위, 현재 운영 및 건설 중인 담수화 플랜트는 2800여 개로 총용량은 1110만㎥/일 규모
- 미국 내 가장 큰 담수화 플랜트는 18만9250㎥/일 규모의 캘리포니아 칼스배드(Carlsbad)와 15만1400㎥/일 규모의 플로리다 보카러톤(Boca Raton)임.
- 전 세계 담수화 플랜트는 총 1만8426개로 총용량 8680만㎥/일 규모
· 담수화 설비용량: 1위 사우디아라비아, 3위 UAE(아랍에미리트), 4위 중국
ㅇ 미국은 연간 4조2000억㎥의 물을 재이용하며 글로벌 물 재사용 중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음.
- 국제담수화협회(International Desalination Association, IDA)는 2019년 전 세계 담수화 기계장치 시장규모를 210억 달러로 전망했으며, 이에 대한 원인으로 인구증가, 도시화, 지하수자원 양적감소 수자원 오염화 증가 등을 듦.
4) 수처리 계측기 시장
ㅇ 미국 수처리 계측기 시장, 2018년 3억3100만 달러 시장 규모 전망
- 전 세계 수처리 계측기 시장은 2020년까지 36억 달러의 시장규모와 함께 연평균 12.9%의 높은 성장률이 전망됨(Global Industry Analysts, 15.2.).
- 산화환원전휘(Oxidation Reduction Potential, ORP) 측정기, 총유기탄소(Total Organic Carbon, TOC) 측정기, 전도도, 탁도계 등이 포함
□ 미국 수처리 관련 기기 수입 현황
1) 수중펌프
ㅇ 미국의 2015년 수중펌프 수입 규모는 4억8536만 달러로 전년대비 7.78% 증가
미국 수중펌프 연간 총수입 규모 및 증감률
자료원: U.S. Departmet of Commerce, Bureau of Census, Global Trade Atlas
ㅇ 미국의 2016년 상반기 수중 펌프 수입 규모는 2억1266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85% 증가
- 주요 수입국으로 중국, 캐나다, 이탈리아 등이 있으며, 중국에서는 전년동기대비 14.58% 증가한 6614만 달러, 캐나다는 전년동기대비 14.67% 증가한 2810만 달러, 이탈리아는 17.74% 증가한 2108만 달러의 수입 규모를 형성
ㅇ 한국으로의 수입은 전년동기대비 16.05% 증가한 434만 달러로, 미국 수중펌프 수입 시장의 2.05% 점유
미국 수중펌프 수입 현황(HS Code 841381)
자료원: U.S. Departmet of Commerce, Bureau of Census, Global Trade Atlas
2) 원심펌프
ㅇ 미국의 2015년 원심펌프 수입 규모는 13억3812만 달러로 전년대비 5.17% 증가
미국 원심펌프 연간 총수입 규모 및 증감률
자료원: U.S. Departmet of Commerce, Bureau of Census, Global Trade Atlas
ㅇ 미국의 2016년 상반기 원심 펌프 수입 규모는 6억5188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3.57% 감소
- 주요 수입국으로 중국, 멕시코, 독일 등이 있으며 중국에서는 1억7219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4.94% 감소했고, 멕시코에서는 1억4284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5.01% 증가, 독일에서는 4703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6% 증가함.
ㅇ 한국으로의 수입은 463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72.03%의 높은 성장을 보임.
미국 원심펌프 수입 현황(HS Code 841370)
자료원: U.S. Departmet of Commerce, Bureau of Census, Global Trade Atlas
3) 여과기
ㅇ 미국의 2015년 여과기 수입 규모는 10억939만 달러로 전년대비 4.15% 증가
미국 여과기 연간 총수입 규모 및 증감률
자료원: U.S. Departmet of Commerce, Bureau of Census, Global Trade Atlas
ㅇ 미국의 2016년 상반기 여과기 수입 규모는 5억6876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2.45% 증가
- 주요 수입국으로 중국, 캐나다, 멕시코 등이 있으며 중국에서는 1억575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2.45% 증가했고, 캐나다에서는 1억1568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9.09% 증가, 멕시코에서는 7149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0.70% 감소
ㅇ 한국은 미국 여과기 수입 시장에 4위를 점유하고 있으며, 2016년 상반기 348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68.74%의 높은 증가율을 보임.
미국 여과기 수입 현황(HS Code 842121)
자료원: U.S. Departmet of Commerce, Bureau of Census, Global Trade Atlas
□ 미국 수처리 시장 진출 전략
1) 담수화, 상하수도 처리, 수처리 계측 시장 진출 유망, 맞춤형 마케팅 필요
ㅇ 펌프,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자동화시장 공략
- 기관의 판매 담당 부서 활용 및 OEM 혹은 엔지니어링 회사를 통한 진출
- 또한 제품의 수요자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곳에 판매처를 두는 것이 유리
- 저가의 중국 상품 진입이 활발한 점을 고려해, 펌프 및 부속기기보다는 펌프 시스템 시장을 공략한 차별화 전략 수립 필요
2) 유통망 구축을 통한 적시 공급 및 소량주문에 적극 대응 필요
ㅇ 계측기, 온라인 판매를 통한 미국 시장 확대 가능성 제고
- 계측기 제조업체는 최종 사용자에게 직접 납품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이에 따라 비용절감을 위한 온라인 판매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 저가 계측기 시장의 성능 개선에 따라 기술력과 가격경쟁력이 뛰어난 제품으로 시장 공략 필요
3) 정부 및 관련 협회 등과 긴밀한 관계 구축을 통한 정부 조달시장 진출
ㅇ 미국 수처리 시장, 연방 정부 및 주정부 중심의 사업체계 유지
- 미국 대다수 수처리 시설은 정부가 운영하고 있어 정부 조달에 체계적 접근이 필요함.
- 수처리 시장은 B2B 시장이 아닌 정부·학계·기업·환경단체 등이 관여된 복합적인 시장으로, 다양한 분야의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함.
- 유관 기관 등과 공동기술 세미나 개발 등을 통한 네트워킹 구축 필요
· Federal Water Issues Conference(2017.3.20.~22. Washington, DC)
· Western Water Seminar(2017.8.8.~10. Satafe, New Mexico)
· NWRA 86th Annual Conference(2017.11.15.~17. Tucson, Arizona)
4) WEFTEC 등 상하수도 및 수처리 관련 전시회 참가를 통한 브랜드 이미지 제고 홍보 필요
ㅇ 매년 개최되는 미국 최대 수처리 전시회인 WEFTEC 참가 등으로 현지 네트워크 형성 가능
2016년과 2017년 미국 수처리 관련 전시회 일정
자료원: KOTRA 달라스 무역관
자료원: U.S. Departmet of Commerce, Bureau of Census, Global Trade Atlas, IBIS World, EPA, BCC Reserach,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 신소재 경제 및 KOTRA 달라스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