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 간 |
구 역 (내용은-클릭) |
실시년.월.일 |
시간(식사휴식포함) |
비 고 |
제1.2구간 |
2008.06.06 |
17:40 |
28.13km-접속:천왕봉-백무동7.4km | |
제3구간 |
2008.04.20 |
11:00 |
20.6km | |
제4구간 |
2006.07.08(1차) 2008.06.01(2차) |
7:00 10:30 |
21.48km | |
제5구간 |
2006.07.29 |
11:30 |
19.64km | |
제6구간 |
2006.08.01 |
8:00 |
11.27km | |
제7구간 |
2006.08.12 |
14:00 |
19.31km접속동엽령-자연학습장-4.25km | |
제8구간 |
2006.08.20 |
10:00 |
13.22km-접속:동엽령-자연학습장4.25km | |
제9구간 |
2006.10.01 |
9:00 |
15.2km | |
제10구간 |
2006.10.29 |
13:50 |
24.55km | |
제11구간 |
2006.11.19 |
13:30 |
23.74km | |
제12구간 |
2007.04.14 |
10:50 |
19.67km | |
제13구간 |
2007.04.28 |
11:00 |
24.47km | |
제14구간 |
2007.05.13 |
10:20 |
19.11km | |
제15구간 |
비재-속리산-늘재 (1비재-관음봉능선.2문장대-늘재) |
2007.05.26 2007.06.09 |
14:00 7:40 |
23.57km접속:화북매표소-문장대3.3km문장대-관음봉능선4.4km |
제16구간 |
2007.07.15 |
13:48 |
17.49km | |
제17구간 |
2007.07.21 |
13:42 |
15.89km접속:배너미평전-은티마을2.9km | |
제18구간 |
2007.07.29 |
11:10 |
14.55km접속:배너미평전-은티마을2.9km | |
제19구간 |
2007.08.25 |
14:20 |
18.36km | |
제20구간 |
2007.09.08 |
12:10 |
19.02km접속:차갓재-생달1km | |
제21구간 |
2007.09.28 2007.10.03 |
6:30 4:20 |
14.14km접속:생달-차갓재1km | |
제22구간 |
2007.10.13 |
12:40 |
20.18km | |
제23구간 |
2007.10.27 |
12:10 |
24.83km | |
제24구간 |
2008.01.06 |
13:10 |
26.0km | |
제25구간 |
2008.02.16 |
14:30 |
24.2km | |
제26구간 |
2007.03.08 2008.06.15 |
9:00 5:30 |
21.45km | |
제27구간 |
2008.03.22 |
13:30 |
26.1km | |
제28구간 |
2008.0412 |
15:30 |
29.1km | |
제29구간 |
2008.05.03 |
11:30 |
18.5km | |
제30구간 |
2008.05.10 |
14:10 |
27.1km | |
제31구간 |
2008.05.24 |
13:35 |
25.8km | |
제32구간 |
2008.06.21 |
15:10 |
23.5km | |
제33구간 |
2008.06.28 |
11:50 |
21.25km접속:조침령-터널1km | |
제34구간 |
2008.07.12 |
13:40 |
23.9km접속:터널-조침령1km | |
제35구간 |
2008.07.19 |
16:37 |
15.23km접속:마등령-설악동-6.8km | |
제36구간 |
2007.07.29 |
13:50 |
8.5km접속마등령-백담사7.4km | |
제37구간 |
2007.07.30 |
10:00 |
15.6km | |
|
|
총39회 |
총472시간12분소요 |
대간마루금734.65km-접속47.6km합계782.25km |
*우리나라 산맥의 체계:1대간 1정간 13정맥
한반도의 산줄기는 크게 1대간(백두대간) 1정간(장백정간) 13정맥의 산줄기가 있다.
우리나라의 산맥줄기는 즉, 우리가 직접 걸을 수 있는 1대간은 지리산 천왕봉에서 설악산진부령까지 진행 할 수가 있다. 간략하게 1대간 1정간 13정맥을 정리 해보면
우리나라의 무수한 산줄기 중에 정맥 줄기에서 이어져 나가는 산맥체계를 이루는 기맥줄기를 약14개의 기맥으로 보고 있다.
우리나라의 9개 정맥은.....
강화지구의 한강과 임진강에서 합수되어 분기되는 칠현산의 한남정맥,
3개의 정맥줄기가 분기되는 칠현산의 한남금북정맥,
3개의 정맥줄기가 분기되는 칠현산의 금북정맥,
경기도 교하의 한강과 임진강의 합수지점인 장명산으로 떨어지는 한북정맥,
백마강 구두레나루터에서 산줄기가 시작되어 주화산에 이르는 금남정맥,
3개의 정맥줄기가 분기되는 주화산의 호남정맥,
3개의 정맥줄기가 분기되는 주화산의 금남호남정맥,
부산 다대포 몰운대에서 산줄기가 시작되어 태백의 작은 피재까지 연결되는 낙동정맥,
지리산 영신봉 에서 분기되어 경남김해의 낙동강변까지 연결되는 낙남정맥.
13정맥은 청천강을 기준으로 한 청북정맥과 청남정맥,
임진강과 예성강 사이의 임진북 예성남정맥과 해서정맥,
대부분의 산줄기 이름을 강에서 따온 것은 노년기산지의 애매한줄기 이어짐을 역으로 물 흐름에서 찾았기 때문이다. 이는 대동여지도의 발문에 “산줄기는 분수령을 따르게 마련 (山自分水領)” 으로 명문화하고 있는 줄기 가름의 대원칙이다.
백두대간 (白頭大幹)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원산,낭림산,금강산을 거쳐 설악산을 지나 오대산을 지나고, 청옥산,두타산을 지나서 태백산까지 내려와 소백산을 지나고, 속리산,,추풍령을 지나 덕유산을 지나, 지리산천왕봉까지 뻗어 내리는 제일 긴 산줄기이다. 한반도를 관통하며 큰 획을 긋고 있다. 총 길이는 약 1,400km이고 남한의 지리산 천왕봉에서 진부령까지는 도상거리 684km에 실제거리(포항 셀파 자료 참조)739.88km로 계측되고 있는 한국 전통적인 지리인식체계를 이루고 있으며 山自分水嶺(산은 물을 가르고 물은 산을 넘지 않는 기본원리)의로 조화를 이루고 문화와 구획을 경계하는 큰 역할을 하는 구분이기도하다
장백정간 (長白正幹)
북쪽으로 두만강, 남쪽으로 어랑천, 수성천의 분수령이다. 백두대간의 원산 설령봉에서 일어나 만탑봉(2205m) 괘상봉(2136m) 관모봉(2541m) 도정산(2201m)을 지나 함경북도 내륙을 서북향으로 관통하는 산줄기이다. 도정산 이후, 산세가 수그러들면서 이후 고성산(1756m) 차유령,백사봉(1138m) 송진산(1164m)으로 이어져 두만강하구 서수라 곶에서 끝을 맺는다.
낙남정맥 (洛南正脈)
북쪽으로 줄곧 낙동강을 받드는 낙남정맥은 남부해안지방의 분계선이다.
생활문화와 식생, 특이한 기후구를 형성시키는 중요한 산줄기이다.
경남 김해의 낙동강변에서 시작되어 용지봉,천주산,무학산,여항산,깃대봉,무량산,봉대산,실봉산,옥정산을 거쳐 지리산 영신봉까지 능선이 연결된다.
청북정맥 (靑北正脈)
평안북도 내륙을 관통하며 압록강의 남쪽울타리를 이룬다.
웅어수산에서 시작하여 낭림산을 지나 서쪽으로 흐른다.
갑현령, 적유령, 삼봉산을 지나 단풍덕산을 지나고 온정령에서 산세가 수그러들어
신의주 남쪽 압록강하구의 미곶산에서 끝난다.
청남정맥(靑南正脈)
웅어수산에서 시작하여 낭림산이 첫산이며, 청천강의 남쪽유역과 대동강의 북쪽유역을 경계하는 분수령이다. 청남정맥의 으뜸산은 묘향산(1365m)이다.
이후 산줄기는 용문산과 서래봉,강륭산을 지나고 만덕산,광동산을 지난다.
용강의 남포에서 대동강하구 광량진으로 빠진다.
해서정맥(海西正脈)
우리나라 북부와 중부지방의 문화권역을 경계하고 있는 분수령이다.백두대간 두류산에서 시작하여 서남쪽 개연산에 이르러 다시 북상하다 연진산에서 남하하기 시작해 멸악산을 지나 서해의 장산곶에서 끝난다.
임진북예성남정맥(臨津北禮成南正脈)
황해도의 오른쪽 울타리를 이룬다.
북쪽으로는 임진강, 남쪽으로는 예성강의 분수령이다.
해서정맥의 화개산에서 시작하여 학봉산, 수룡산, 천마산, 송악산을 지나 정맥의 끝은 한가의 합수점인 즉, 개성의 남산인 진봉산이다.
한북정맥(漢北正脈)
북쪽으로 임진강, 남쪽으로 한강의 분수령이된다.
백봉에서 시작한 한북정맥은 백암산과 법수령을 지나 휴전선 가까운 오성산과 철책을 넘어 대성산으로 이어진다. 수피령을 깃점으로 광덕고개를 지나 포천의 백운산을 지나고, 운악산, 서울도봉산을 지나 임진강과 한강의 합수지점인 경기도교하의 장명산에 이른다.
낙동정맥(洛東正脈)
낙동강의 동쪽을 따르는 산줄기로 동해안지방의 담장이다.천의봉(매봉산,1303m)에서 시작하여 태백의 백병산, 통과산을 지나 백암산과 청송의 주왕산줄기를 지난후, 단석산과 가지산을 지나 신불산, 부산의 진산인 금정산을 지나고 백양산을 지난후, 다대포의 몰운대에서 끝난다.
한남금북정맥(漢南錦北正脈)
한강과 금강을 나누는 분수령이다.
속리산천황봉에서 시작하여 말티고개, 선도산을 지나 상당산성, 좌구산을 지나고 보현산을 지나 칠현산에서 한남정맥과 금북정맥, 그리고 한남금북정맥이 합류하는 능선분기점이다.
한남정맥(漢南正脈)
한강유역과 경기도 서해안지역을 분계한다.한남금북정의 칠현산북쭉 2킬로미터지점에 위치한 칠장산에서 시작된다. 백운산, 보개산, 수원의 광교산을 지나 안양 수리산을 넘는다.
이후, 김포평야의 낮은 등성이와 들판을 누비다가 인천의 진산인 계양산을 지나고 가현산을 지난후, 문수산에서 떨어지면서 보구곶리에서 끝을 맺는다.
금북정맥(錦北正脈)
금강의 북쪽울타리이다. 한남정맥과 헤어진후, 칠현산, 안성의 서운산, 아산의 광덕산을 지나고 청양의 일월산, 예산의 수덕산을 지난다.
산줄기는 예산 가야산에서 멈칫거리다가 성왕산, 백화산을 거쳐 태안반도의 지령산을 넘어 안흥진에서 끝을 맺는다.
금남호남정맥(錦南湖南正脈)
금강과 섬진강의 분수령이다.장수의 영취산에서 시작하여 장안산, 수분치, 팔공산, 임실의 성수산, 진안 마이산을 거쳐 주화산이 이른다.
금남정맥(錦南正脈)
전주의 동쪽 마이산에서 북으로 치달아 대둔산, 계룡산을 거친후, 서쪽으로 망월산을 지나 부여의 부소산 조룡대, 즉 구두레나루터에서 끝난다.
금강의 온전한 남쪽울타리를 이루지못하는 이산줄기는 운장산을 지나 왕사봉에서
남당산,까치봉,천호봉,미력산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호남정맥(湖南正脈)
낙남정맥과 함께 우리나라 남부해안 문화권을 구획하는 의미있는 경계선이다.정맥의 동쪽은 섬진강, 서쪽은 만경강, 동진강, 영산강, 탐진강이다. 금남호남정맥에서 갈래를친후, 내장산과 추월산, 무등산과 , 사자,제암산을 지나 조계산을 지나고 광양백운산을 거친후 섬진강변의 망덕산에서 끝난다.
*백두대간의 구성도
*백두대간 및 정맥 체계도
*백두대간의 지도참조(1:50.000)
*산경도
첫댓글 우와~!! 정말 대단하십니다. 샘님의 열정에 큰 박수 보내드립니다. ^^
시작하니까 이어지던데요
백두대간 강의 부탁드립시다^^
강의까지는아니고요.. 체험중심이죠
대단하십니다. 지도는 어떻게 사용하셨나요? GPS는 사용치 않으셨나요?
1:50.000 영진출판사와 인터넷 자료 병행 사용했읍니다
ㅉㅉㅉㅉㅉ 항상 건강함으로 우리 곁에 함께해 주시길... ~~~
이공간에 같이 있음에 행복이죠
와우 미치겠구만.. 선생님의 인생 업그레이드는 확실히 하셨겠는데요. 그 열정 앞으로도 쭉~~~
그래서 대간을 북진하면 남진욕심 생기나봐요
와~~정말 대단하시다는 말 밖에 ... 경축(^^)드립니다.
한가닥 마치니 시원함도 따르네요....
우리는 꿈에나 그리는 백두대간 종주, 대단 하십니다, 큰박수 보냅니다.
누구나 시작이면 끝이 있읍니다 ---
홀씨(우석순) 정말 ~~ 대단하시군요! 한 인생의 일생일대의 긴 서사시를 읽은것마냥 감동적입니다. 늘 건강하십시요. ---- 08. 08. 07
우선생님의 깊은 말씀에 더욱 건강일로에 증진입니다 ..우선생님도 ..항상 엔돌핀요...
샘님의 백두대간에 대한 열정과 대단함에 고개가 절로 숙여 집니다..저는 마음속에만 담아 두었던 그 길인데...
꽃님 일단 시작하세요 그럼 끝이 일단 확실히 보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