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컵라면, 플라스틱 용기 사용하면 환경호르몬 나와
- 전자레인지로 물 데우면 물 분자 배열 달라져 건강에 나쁘다는 건 거짓
<전자레인지 가열원리>
전자레인지는 외부에서 열을 가해 음식 표면부터 내부로 열이 전해지는 가스레인지나 오븐과 달리, 마이크로파(전자파)를 이용해 식품에 존재하는 수백 만 개의 물분자들을 진동시켜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해 음식이 내부로부터 가열되는 원리로 작동된다.
※마이크로파(microwave) : 2,450 MHz의 진동수를 가진 전자파
최근 전자레인지에 데운 물은 진동으로 인해 분자배열이 바뀌어 건강에 유해하다는 내용이 인터넷을 통해 유포되고 있으나, 물의 특성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안심해도 좋고, 또한, 전자파에 대한 소비자들의 건강상 유해 우려가 높으나, 전자레인지 작동 중 전자파가 외부로 나오는 것을 막기 위해 전자레인지 투시창에 금속망이 설치되어 있으며, 작동을 멈추면 전자파가 즉시 사라지므로 몸에 닿을 위험은 거의 없다.
<전자레인지 사용 가능한 용기>
전자레인지에 사용할 수 있는 재질로는 전자파가 투과할 수 있는 종이제, 유리제, 도자기제와 합성수지제 중 폴리프로필렌(PP) 등이 있으며, 소비자들이 전자레인지를 이용해 식품을 조리하거나 데울 경우에는 전자레인지용으로 표시된 용기 또는 포장인지 확인 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플라스틱 용기의 경우 전자레인지용으로 표시된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HDPE) 등은 사용이 가능하며, 폴리에틸렌(HDPE)의 경우 지방이나 설탕이 많은 식품은 100℃ 이상에서 녹을 수 있으므로 수분이 많은 식품에만 사용해야 한다.
특히, 전자레인지에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하면 내분비계장애물질이 검출된다는 소비자들의 인식과 달리, 폴리프로필렌(PP)은 DEHP나 비스페놀A를 원료로 사용하지 않으므로 전자레인지 사용 시에도 내분비계장애물질이 검출될 우려가 없다.
※ DEHP : di-(2-ethylhexyl)phthalate로 플라스틱 제품을 유연하게 하기 위한 가소제
※ 비스페놀A : 폴리카보네이트(PC), 에폭시수지(epoxy resin) 제조 시 사용되는 원료물질
종이제는 젖었을 때 종이 강도가 약해질 수 있고, 쿠키 포장 등에 사용되는 왁스코팅 종이는 식품에 왁스가 오염될 수 있어 전자레인지용으로 표기된 제품만 이용하는 것이 좋다.
<전자레인지 사용 불가능한 용기>
플라스틱 중 컵라면이나 요구르트 용기 등에 사용되는 폴리스티렌(PS)은 내열성이 낮아 고온에서 녹을 수 있어 전자레인지에 사용에 주의해야 하고, 멜라민수지, 페놀수지 및 요소수지는 원료물질로 사용된 포름알데히드가 고온에서 용출될 우려가 있으므로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알루미늄호일(은박지)과 금속 용기는 마이크로파가 투과하지 못하고 반사되기 때문에 식품이 가열되지 않을뿐더러 끝이 날카로운 금속은 마이크로파가 집중되어 불꽃이 일어나므로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전자레인지 사용 시 주의사항>
밤, 계란, 소시지 등 껍질이 있는 음식을 그대로 전자레인지에 넣고 작동하면 터질 수 있으므로, 껍질을 제거하거나 칼집을 내어 조리해야 하며, 전자레인지에 물을 끓이는 경우 끓는 모습이 보이지 않지만 끓는점 이상으로 온도가 올라 과열되는 경우가 많은데, 여기에 바로 커피믹스를 넣으면 물이 끓어 넘칠 수 있어 최소 30초 이상 기다리는 것이 좋다.
기름이 많은 식품을 랩을 사용해 조리하면 100℃ 이상 고온으로 올라가 랩 제조 시 사용된 가소제 등이 이행될 수 있어 직접 식품과 접촉해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품이 밀봉된 용기나 포장에 들어있는 경우에는 뚜껑을 조금 열고 가열하도록 한다.
식약청은 "이번 정보 제공을 통해 소비자들이 전자레인지용 용기·포장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올바른 정보를 얻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 정보의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http://www.kfda.go.kr>정보자료>용기포장정보 또는 블로그(식약지킴이, http://blog.daum.net/kfdazzang, http://blog.naver.com/kfdazzang)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자레인지에 관해 묻고 답하기>
Q1. 전자레인지의 식품 가열원리는 무엇인가요?
전자레인지는 외부에서 열을 가해 음식의 표면부터 내부로 열이 전해져 요리되는 가스레인지나 오븐과 다르게, 높은 진동수를 가진 마이크로파(microwave)를 식품에 조사하여 음식물을 구성하고 있는 수백만의 물분자들을 매우 빠르게 회전시키고, 좌우로 서로 부딪쳐 발생되는 내부의 마찰열에 의해 음식의 내부로부터 가열됩니다.
* 마이크로파 특성
마이크로파 |
물 체 |
흡수하는 것 |
식품 |
투과하는 것 |
플라스틱, 종이제, 유리제, 도자기제 |
반사하는 것 |
금속제 |
Q2. 전자레인지 안에는 왜 회전유리접시(turn table)가 있나요?
전자레인지에서 마이크로파(microwave)는 일정 방향으로 발산되어 음식이 골고루 익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음식이 고르게 가열되도록 회전접시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Q3. 전자레인지 투시창에는 왜 금속망이 부착되어 있나요?
투시창을 통해 마이크로파(microwave)가 외부로 나오는 것을 막기위해 마이크로파를 반사하는 금속망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또한, 전자레인지를 끄면 마이크로파가 사라지므로 우리 몸에 닿을 위험은 없습니다.
Q4. 전자레인지에 사용할 수 있는 재질은 무엇인가요?
1) 플라스틱 : 폴리프로필렌(PP), 결정화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C-PET) 등이 있습니다. 다만, 폴리에틸렌(HDPE)은 수분이 많은 식품에 사용하여야 하며, 지방이나 설탕이 많은 식품의 경우 전자레인지 가열 중에 100℃를 넘어 폴리에틸렌이 녹을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2) 종이제 : 젖었을 때 종이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으며, 왁스코팅 종이는 식품에 왁스가 오염될 수 있어 별도로 전자레인지용으로 표기된 제품을 사용하여야 합니다.
3) 유리제 : 전자레인지용으로 표기된 제품을 사용하여야 합니다. 다만, 간단히 우유를 덥히는 정도는 일반 유리제도 사용가능합니다.
4) 도자기제 : 금속제 테두리가 있는 제품은 스파크를 발생하므로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Q5. 전자레인지에 사용할 수 없는 재질은 어떤 종류가 있나요?
식품을 전자레인지에서 가열 조리 시에 내열성이 낮아 녹을 수 있는 컵라면이나 요구르트 용기 등에 사용되는 폴리스티렌(PS)*과 고주파에 의해 수지가 파손되어 원료물질로 사용된 포름알데히드가 고온에서 용출될 우려가 있는 멜라민수지, 페놀수지 및 요소수지는 전자레인지에 넣어 사용하면 안됩니다. 또한, 알루미늄호일(은박지)과 금속 용기는 마이크로파가 투과하지 못하고 반사되기 때문에 식품이 가열되지 않을뿐더러 끝이 날카로운 금속에서는 마이크로파가 집중되어 스파크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PS : 최근 외국에서는 내열성을 향상시켜 전자레인지에 사용 가능하도록 한 제품이 있음
Q6. 전자레인지용 즉석밥 용기는 어떠한 구조로 되어 있나요?
|
구분 |
재질구성 |
역 할 |
뚜껑 |
PA |
내열성, 내충격성, 내핀홀성 |
EVOH |
산소 차단 |
PP |
내열성, 봉합성 |
용기 |
PP |
내열성, 봉합성 |
EVOH |
산소 차단 |
PP |
내열성, 봉합성 |
* PA : 폴리아미드(나일론)
EVOH : 에틸렌비닐알콜
PP : 폴리프로필렌 |
가열하는 동안에 파손이나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내용물인 식품이 변질되지 않도록 하기위하여 내열성, 내충격성, 산소차단성이 좋은 PA, EVOH, PP로 구성된 용기가 사용됩니다.
* 상기 구성재질은 대표적인 사례를 소개한 것으로 제품에 따라 다름.
Q7.
전자레인지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은 어떻게 관리되고 있나요?
우리나라에서 전자레인지에 사용되는 재질은 주로 폴리프로필렌(PP)으로 전자레인지 사용과정에서 PP 재질로부터 식품으로 이행될 우려가 있는 유해물질을 관리하기 위해서 식품위생법에서 정한 기준·규격을 준수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 PP 재질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유럽연합(EU), 미국, 일본 등 제외국에서 전자레인지용 재질로 널리 사용되고 있음
* PP의 안전관리 규격
항 목 |
규 격(ppm) |
납 |
1.0 이하 |
과망간산칼륨소비량 |
10 이하 |
증발잔류물 |
30 이하 |
Q8. 폴리프로필렌(PP)을 전자레인지에 사용하면 DEHP, 비스페놀 A와 같은 내분비계장애물질이 나올 수 있나요?
폴리프로필렌(PP)에는 DEHP*와 같은 가소제 성분이나 비스페놀 A 원료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이들이 검출되지는 않습니다. DEHP와 같은 가소제는 딱딱한 성질의 폴리염화비닐(PVC)를 유연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비스페놀 A는 폴리카보네이트(PC)의 원료물질로 사용되기 때문에 PP에 별도로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 DEHP : di-(2-ethylhexyl)phthalate
Q9. 전자레인지용 플라스틱에 대한 검사는 어떻게 하고 있습니까?
전자레인지용 플라스틱에 대하여 내용물인 식품의 종류에 따라 4가지 침출용매(n-헵탄, 20%에탄올, 4%초산, 물)를 선택하여 95℃에서 30분간 용출시킨 용출액에서 증발잔류물의 양을 측정합니다.
식품유형 |
침출용매 |
유지 및 지방성식품 |
n-헵탄 |
주 류 |
20%에탄올 |
유지 및 지방성식품과 주류 이외의 식품 |
pH 5이하인 식품 |
4%초산 |
pH 5를 초과하는 식품 |
물 |
* 식품유형별 침출용매
Q10. 시중에 유통․판매되고 있는 전자레인지용 기구 및 용기․포장은 안전한가요?
시중에 유통․판매 중인 전자레인지용 기구 및 용기․포장40건에 대하여 물, 4%초산, n-헵탄을 용출용매로 하여 과망간산칼륨소비량, 증발잔류물, 납 등 유해물질에 대한 용출시험 결과, 모두 기구 및 용기․포장의 기준 및 규격에 적합하였습니다.
Q11. 전자레인지에 넣어 사용할 수 있는 플라스틱은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요?
전자레인지용 용기는 전자레인지용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식품등의 표시기준에 준하여 재질명, 업소명 및 소재지를 표시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제품에 표시된 정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추가로, 전자레인지에서의 사용시간 및 사용용도(요리용, 가열용) 등 주의사항을 반드시 확인하여 사용하여야 합니다.
Q12. 전자레인지에서 조리할 때 주의할 점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1) 껍질이 있는 음식(밤, 계란, 소시지 등)은 껍질을 제거하거나 칼집을 내어 조리하여야 터지지 않습니다.
2) 기름기가 많은 식품은 전자레인지에서 매우 빠르게 가열되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3) 전자레인지에 물을 끓이는 경우 끓는 모습이 보이지 않지만 끓는점 이상으로 온도가 올라가 과열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여기에 바로 커피믹스 등을 넣는 경우 물이 끓어 넘칠 수 있기 때문에 최소 30초 정도 기다려야 합니다. 또한, 목이 좁고 긴 매끄러운 용기도 과열의 원인이 됩니다.
4) 식품을 해동하는 경우 포장을 제거하고 전자레인지용 그릇에 담아서 가열하여야 합니다.
5) 식품이 밀봉된 용기나 포장에 들어있는 경우에는 뚜껑을 조금 열고 가열하여야 합니다.
6) 랩을 사용하여 조리를 하는 경우 지방성분이 있는 식품에는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사용하여야 합니다.
7) 전자레인지에서 조리시에는 전자레인지의 출력(예 : 700W, 1000W)에 따른 조리시간을 따라야 합니다.
8) 포장된 식품을 전자레인지에서 조리한 후, 사용된 용기․포장은 재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9) 플라스틱 또는 종이 용기 내에 넣은 식품을 가열할 때, 오랜시간 가열하면 화재의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10) 전자레인지에서 가열된 식품을 꺼낼 때에는 오븐장갑이나 냄비홀더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첫댓글 네~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오랫만이예요! 잘지내시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