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5년 제작
감독: Clint Eastwood
주연: Meryl Streep+Clint Eastwood
음악: Lennie Niehaus & Clint Eastwood
미국, “Northern Iowa" 대학교에서 23년간이나 경제학을 가르쳤던, 교수님, “Robert James Waller”(1935, 아이오와)는 학교를 그만둔 다음해, 1992년에 발간한 소설, “매디슨 카운티의 다리“로 일약 세계적인 작가로 발돋움 하였다. 그는 너무나도 아름답게 어느 중년 남여의 사랑을 잘 묘사하여 그해 무려 37주나 동안이나 제2의 “Love Story”(Erich Segal)라는 극찬들과 함께, 미국 베스트 셀러 랭킹 1위의 올라 있었는데, 우리나라에서도 역시 대단한 반응을 불러 일으켰었다. (2002년에는 “매디슨 카운티의 추억“이라는 책도 발간 하였음)
그리고 3-4년 후, 이 소설을 본 사람들 중에서 이 영화를 보고난 후, 실망을 했다는 사람들도 매우 많았는데, 그건 아마 주인공의 모습이나 장소 등을 독자들 나름대로 마음껏 상상할 수 있는 소설의 특성과 또 있는 걸 그대로 보여줄 수밖에 없는 사진이라는 특성의 차이가 낳은 결과가 아닌가 싶다. (원래 소설에 푹 빠져 있으면 실망은 항상 하게 마련이다.) 그러나 일부 사람들의 실망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는 나름대로 “Waller”의 원작 소설을 상당히 로맨틱하게 잘 표현하였다는 평을 받고 있다. 더군다나 로맨스 영화와는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았던 “Clint Eastwood“(1930, SF)가 65세의 나이로 제작에, 감독에, 출연까지 그리고 음악(공동 OS)까지 만들어 내어 상당한 화제가 불러 왔고, 거기다 작품성 까지 인정을 받게 되면서 그의 끝없는 재능이 다시 한번 인정을 받는 계기가 되었었다. (그의 꺼지지 않는 열정은 현재, 75세의 나이에도 "Million Dollar Baby" 등으로 계속 불타오르고 있다. 부디 장수하시길....)
“Clint Eastwood“는 20대중반에 영화산업에 뛰어 들기 전까지는, 사실은 10대 때부터 재즈 뮤지션으로 평생을 살고 싶어 하였다고 한다. (1997년도 영화, “Eastwood After Hours“ 참고) 어려서부터 재즈에 열광을 하여 재즈 피아노도 배우고 곡도 여러 곡, 만들기 까지 하였으나 환경은 희한하게도 그를 1960년대 의 서부극의 영웅으로 만들었고, 또 그런 “황야의 무법자”로서의 “마초” 이미지는 대중들에게 쉽게 지워지질 않았다. 그러다 1970년대에 들어와 “Malpaso"라는 자신의 프로덕션을 차리고, 첫 번째 감독 작품인 “어둠속에 벨이 울릴 때”(“Play Misty For Me" -1971)를 만들면서 부터, “Erroll Garner"(1923-1977)의 ”Misty"를 필두로 하여 그의 영화들에서는 항상 재즈를 빼 놓지 않았다. 그리고 이 영화역시 예외는 아니다. 1988년에는 “Charles Parker"(1920-1955)의 일대기인 ”Bird"를 만들기도 하였지만 오히려 세월이 가면서 그의 재즈사랑은 더욱 더, 뜨거워지는 느낌이다.
사진작가, “킨케이드”(Clint Eastwood) 와 “프란체스카”(Francesca Johnson/Meryl Streep,1949, 뉴저지)가 함께 같이 한 나흘의 시간 중, 세 번째 날밤인가, 그들은 남의 눈에 잘 뜨이지 않게 “아이오와“ 주경계선에 있는 한 술집에 들르게 되는데, 바로 그곳에서 신나는 재즈 공연이 열리고 있다는 설정도 결코 이 재즈광, “Clint Eastwood“에게는 우연이 아닌 것이다. 심지어 배우이며 재즈 베이스 연주자이기도 한 아들, “Kyle Eastwood”(1968, LA)까지 출연을 하여 연주를 하고 있는데, (그의 못 이룬 꿈을 이 아들이 이루고 있다고 말한 적도 있다.) 바로 이 장면에서는, “Jam With JR" 이라는 재즈곡이 JR, 즉, “James Rivers“의 즉흥 연주로 신나게 흐르고 있고, 또 이 영화에서 모두 3곡의 재즈 발라드를 들려주는 “Johnny Hartman“의 ”For All We Know”라는 곡("Carpenters"의 동명의 곡과는 다른 곡이다.)도 잠시 후 주인공들이 서로 껴안고 Slow Dance를 출 때 나온다.
소설의 배경시대인 1965년 하면 이미 미국의 시골에 까지도 TV 문화가 상당히 보급되었던 시절이었지만, 이 영화에서는 “프란체스카”의 부엌에(위의 사진) 있던 낡은 (흰색)라디오 한 대가 음악적으로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태리에서 시집을 온 그녀는 혼자 있을 때마다 항상 고향인 이태리 오페라곡이나 가곡 등을 주로 듣고 있는데, 그래서 "Maria Callas"(1923-1977)가 부르는 "Samson & Delilah"와 "Norma" 의 수록곡들도 라디오에서 흘러나오지만(영화 초반부) 일요일 저녁식사 때는 십대인 딸이 (얄밉게)채널을 돌려 당시의 최신 곡으로서 유행하던 “Shangli-La"의 "Leader Of The Pack“이나 "Barbara Lewis"의 ”Baby I'm Yours"를(아래 노래) 듣는 장면도 나온다.
이 부엌의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며, “킨케이드”와 “프란체스카”의 사랑에 무드를 조성해준 몇 곡을 더 살펴보자면(아래 OST 수록곡들 참조),
*I'll Close My Eyes: 그들이 만난 후 둘째 날의 늦은 시간에 저녁을 함께 하는데 “Dinah Washington"(1924-1963) 이 부른 이곡이 나오면서 둘은 부엌에서 같이 춤을 추게 되고 이 장면은 이어서 이들의 정사장면으로 계속 연결이 된다.
*I See Your Face Before Me:
“프란체스카”가 2층에서 샤워를 한 후 새로 산 원피스 드레스를 입고 부엌에 들어올 때 “Johnny Hartman“의 무드 있는 이곡이 흐르는데, 그녀를 놀란 얼굴로 쳐다보는 “킨케이드”의 표정에는 어느새 사랑이 가득 차 있다. 노래 제목이 “킨케이드”의 심정을 표현하는 듯하다.
*It Was Almost Like A Song:
“킨케이드”가 떠나야만 하는 전날의 만찬 식탁에 두 개의 촛불을 킬 때 부터 흐르는 이곡도 역시 저음이 매력인 “Johnny Hartman“의 노래이다. 같이 지금 떠나버리자는 “킨케이드”의 요구에 “프란체스카”가 매우 고민을 하면서 대화를 나눈다. 비록 짐을 꾸리긴 하였지만 선뜻 따라나설 수 없는 그녀, 이 노래의 제목이 암시하듯, 아름다운 노래와도 같은 나흘간의 그 사랑을 추억으로 간직할 수밖에 없다.
둘째 날 서부터 본격적으로 사랑을 느끼기 시작하는 “프란체스카”의 혼란스러운 표정위에서 부터 흐르는 이 영화의 Love Theme 은 그들이 산책을 하거나 사랑을 나눌 때도 나오고 또 Ending Credits에서는 전곡을 다 들을 수도 있는데, 바로 전체적인 OS를 만든 “Lennie Niehaus“ 와 ”Clint Eastwood“가 공동으로 만든 “DOE EYES“ 란 제목이 붙은 매우 아름답고 서정적인 음악이다(아래 음악).
“Lennie Niehaus“ 는 1984년, ”Tightrope"때부터 “Eastwood“와 음악작업을 함께 해온 이래 2002년의 “Blood Work"까지 벌써 10편 이상을 명콤비로 지내고 있는데, “Clint Eastwood“ 가 만든 영화 속의 재즈곡들을 연주한 카네기홀 실황 영화인 “Eastwood After Hours“에서는 지휘를 한 적도 있었다.
나흘밖에 사랑을 나누지 못하였다고 하면 일반적으로는 살아가면서 곧 “잊혀진 사랑”이 되기 십상이다. 그러나 이들의 특별한 사랑은 “킨케이드”의 말대로 일생에 한번밖에 없는 운명적인 사랑이 되어 한평생의 그리움으로 변해 가는데, 현실에서는 좀처럼 보기 힘든 바로 이런 점이 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큰 이유 중의 하나가 된듯하다. 그러기 때문에 세속적으로 말하는 불륜이다. 아니다 라는 잣대로 이들의 사랑을 규정지을 필요는 없을 것 같다. 남이 하면 불륜이고 내가 하면 로맨스라는 우스개 소리조차도 꺼내기가 감히 힘들 정도로 진지하고 심각한 상황이 아닌가? (빗속의 마지막 이별장면에서, 한마디의 말도 할 수 없었던 “킨케이드“의 아래사진의 안타까운 표정을 생각하면 더욱더..........) 더군다나 (22년 후)“킨케이드”가 죽고난후, 소포꾸러미와 함께 그가 남긴 시의 구절과도 같은 편지의 내용들은 자못 비장하기 까지도 한데 과연 우리들의 인생에서 진정한 사랑이란 무엇이란 말인가 하는 (사전적이지 않은) 수많은 생각들을 결코 떨칠 수가 없다.
실제로 가보면 별거 아니라고 들은 하지만 이 소설과 영화 덕분에 아이오와 주에 있는 매디슨 카운티의 지붕 덮인 다리들은 1990년대 중반서부터 많은 이들이 찾는 인기 관광지가 되었다고 하는데, (아래사진은 카운티 홍보 사진) 그중의 하나인 “시더 브리지”는 불행하게도 2002년9월에 방화로 인하여 심하게 파손이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킨케이드”가 길을 물어보았던 “로즈만 브리지”를 비롯하여 이곳의 5개 지붕 덮인 다리들은 모두 국가 사적지로 지정되었다고 하는데 “Clint Eastwood“ 는 소설에서 언급한 정확한 장소들에서 이 영화를 촬영 하였으며 또 어떤 특수효과도 사용하지 않고 최대한 단순하고 담담하게 이곳 경치를 담으려 노력 했다고 말하였다. 전쟁 영화가 아니면서도 참으로 특이한 경우로 영화의 소재가 된 이곳 다리들의 수려한 경치와 “예이츠”의 시까지 등장을 한 이들의 짧고도 아주 긴사랑, 그리고 아름다운 재즈 선율들은 아직까지도 여전히 우리들의 마음을 촉촉하게 만든다.
사족)“The Way We Were"(추억,1973)를 만든바 있는 ”Sidney Pollack“이 ”Robert Redford“를 기용하여 이 소설을 영화화하려한 적이 있었는데, 일부 여성 팬들은 오히려 그게 더 나을 뻔 했다고 말하는 경우도 있다. 글쎄, “Clint Eastwood“의 이미지 때문일까?
* 다음은 OST 의 수록곡들:
* 곡명을 크릭하시면 음악을 들을 수 있습니다.*
| |
|
| |
|
|
|
|
|
미소
 |
 |
이 편지가 당신 손에 제대로 들어가길 바라오 언제 당신이 이걸 받게 될지는 나도 모르겠소 내가 죽은후 언젠가가 될거요 나는 이제 예순 다섯살이오 그러니까 내가 당신 집 앞길에서 길을 묻기 위해 차를 세 운 것이 13년 전의 바로 오늘이오
이 소포가 어떤 식으로든 당신의 생활을 혼란에 빠뜨리지 않으리라는데 도박을 걸고있소 이 카메라들이 카메라 가게의 중고품 진열장이나 낯선 사람의 손에 들어가는 것을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참을 수가 없었소 당신이 이것들을 받을때 쯤에는 모양이 아주 형편없을 거요 하지만 달리 이걸 남길 만한 사람도 없소 이것들을 당신에게 보내는 위험을 당신으로 하여금 무릅쓰게 해서 정말 미안하오
나는 1965년에서 1975년까지 거의 길에서 살았소 당신에게 전화하거나 당신을 찾아가고픈 유혹을 없애기 위해서였소
깨어 있는 순간마다 느끼곤 하는 그 유혹을 없애려고 얻을 수 있는 모든 해외작업을 따냈소 "빌어먹을, 난 아이오와의 윈터셋으로 가겠어 그리고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프란체스카를 데리고 와야겠어."라고 중얼거린 때가 여러 번 있었소
하지만 당신이 한 말을 기억하고 있고 또 당신의 감정을 존중해요 어쩌면 당신 말이 옳았는지도 모르겠소
그 무더운 금요일 아침 당신 집 앞길을 빠져나왔던 일이 내가 지금까지 한일과 앞으로 할일 중에서 가장 어려운 일이었다는 점만은 분명히 알고 있소 사실, 살면서 그보다 더 어려운 일을 겪은 사람이 몇 사람 이나 있을지 의아스럽소
나는 1975년 "내셔널 지오그래픽" 을 그만두고 나머지 세월을 대부분 내가 직접 고른 일에 바치고 살고있소 한번에 며칠 정도만 떠나면 되는 작은 일을 골라하고 있소
재정적으로 힘들긴 하지만 그런대로 살아나가고 있소 언제나 그랬듯이 말이오 작업의 많은 부분이 푸겟 사운드 주변에서 이루어지오 나는 그런 식으로 일하는게 마음에 들어요
남자들은 나이가 들수록 물을 좋아하게 되는 것 같소 강이나 바다 말 이오 아 그렇소 이젠 내게 개도 한마리 생겼소 황금색 리트리버
나는 녀석을 "하이웨이"라고 부르는데 여행할 때도 대부분 데리고 다녀요 녀석은 창문에 고개를 내밀고 좋은 촬영거리가 없나 두리번거리곤 하지
1972년, 메인주의 아카디아 국립 공원에 있는 벼랑에서 떨어지는 바람에 발목이 부러졌소 떨어지면서 목걸이와 메달도 달아나버렸소 하지만 다행스럽게도 그 주변에 떨어져 있었소 보석상에 가서 목걸이 줄을 고쳐야 했소
나는 마음에 먼지를 안은 채 살고 있소 내가 표현할 수 있는 말은 그정도요 당신 전에도 여자들이 몇 몇 있었지만 당신을 만난 이후로는 없었소 의식적으로 금욕 생활을 하는 것은 아니고 그냥 관심이 없을 뿐이오 한번은 제 짝꿍을 사냥꾼의 총에 잃은 거위를 보았소 당신도 아다시피 거위들은 평생토록 한쌍으로 살잖소 거위는 며칠동안 호수를 맴돌았소 내가 마지막으로 거위를 봤을때는 갈대밭 사이에서 아직도 짝을 찾으며 헤엄치고 있었소 문학적인 면에서 약간 적나라한 유추일지 모르지만 정말이지 내 기분이랑 똑같은 것 같았소
안개 내린 아침이나 해가 북서쪽으로 기울어지는 오후에는 당신이 인생에서 어디쯤 와 있을지 내가 당신을 생각하는 순간에 당신은 무슨 일을 하고 있을지 생각하려고 애쓴다오 뭐 복잡할 건 없지 당신네 마당에 있거나 현관의 그네에 앉아 있거나 아니면 부엌의 싱크대 옆에 서 있겠지
그렇지 않소?
나는 모든 것을 기억하고 있소 당신에게 어떤 향기가 나는지 당신에게 얼마나 여름 같은 맛이 나는지도 내 살에 닿는 당신의 살갗이며 사랑을 나눌 때 당신이 속삭이는 소리
로버트 펜 워렌은 "신이 포기한것 같은 세상"이란 구절을 사용한 적이있소 내가 시간에 대해 느끼는 감정과 아주 가까운 표현이오 하지만 언제나 그런 식으로 살 수는 없잖소 그런 느낌이 지나치게 강해지면 나는 하이웨이와 함께 해리를 몰고 나가 며칠씩 도로를 달리곤 한다오
나 자신에게 연민을 느끼고 싶지는 않소 나는 그런 사람이 아니니까 그리고 대부분은 그런 식으로 느끼지도 않고 대신 당신을 발견한 사실에 감사한 마음을 안고 살아가고 있소
우리는 우주의 먼지 두 조각 처럼 서로에게 빛을 던졌던 것 같소
신이라고 해도 좋고 우주자체라고 해도 좋소 그 무엇이든 조화와 질서를 이루는 위대한 구조하에서는 지상의 시간이 무슨 의미가 있겠소 광대한 우주의 시간 속에서 보면 나흘이든 4억 광년이든 별 차이가 없을거요 그 점을 마음에 간직하고 살려고 애쓴다오
하지만 결국 나도 사람이오 그리고 아무리 철학적인 이성을 끌어대도 매일 매순간 당신을 원하는 마음까지 막을 수는 없소
자비심도 없이 시간이 당신과 함께 보낼수 없는 시간의 통곡 소리가 내 머리 속 깊은 곳으로 흘러들고 있소
당신을 사랑하오 깊이 완벽하게
그리고 언제나 그럴 것이오
/메디슨 카운티의 다리" 의 음악들... <펌> | | | |
첫댓글 이 책을 처음 읽었을 때의 감동이 생각납니다 책으로 세 번, 영화로 2번을 봤어요. 올려주신 음악을 들으며 하루종일 아무 것도 할 수 없었답니다. 마음이 그랬어요...^^
한동안 잊고 있었는데.....다시한번 아련한 사랑의 감동이 되살아 오는 듯 합니다. 내 정겨운 친구들에게도 기회를 주고 싶어요.정말 고맙습니다.^^
처음 이 책을 읽었을 때의 느낌과, 비디오를 빌려서 영화를 봤던 때의 감동이 다시 되살아 나네요. 세월이 흘러 희미했질 때쯤...2년전에 다시 책을 구입하여 봤던 기억도 함께..무엇이 그리 감동이였을까..무엇이 그리 내 마음을 잡는 것일까..스스로 되내이며...다시 한번 음악과 함께 지나간 시간에 머물러 봅니다.
인간이 아름답고 사랑이 아름다운것을 강렬히 느끼고 안타까움은 충격으로 다가왔던 기억, 참 오래전에 보았는데도 그 기억은 새롭군요. 사랑은 오는 순간 너무 멋있어 죽는 순간까지 잊을수 없고 갔고 가야만 하는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