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진군 영흥도(靈興島)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에 속하는 섬.
개설
인천에서 남서쪽 23.7㎞ 떨어져 있으며, 동쪽으로 1.2㎞ 지점에 선재도가 있다.
동경 126°28′, 북위 37°15′에 위치하며, 면적 23.46㎢, 해안선길이 42.2㎞, 영흥면의
인구는 1,864명(1994년 당시)에서 4,436명(2008년 현재)으로 대폭적으로 증가하였다.
명칭 유래
옛날 중국에서 오던 배가 풍랑을 만나 암초에 부딪혀 파손되어 침몰 직전에 있었는데,
거북이 한마리가 나타나 구멍을 막아 육지로 인도해주었다. 그 뒤 신령이 도와준
섬이라 하여 영흥도라 부르게 되었다 한다.
자연환경
섬 중앙의 최고봉인 국사봉(國思峯, 128m)을 제외하면 대체로 저평한 지형이며
, 해안에는 간석지가 넓게 발달하고 곳곳에 사빈해안이 나타난다. 1월평균기온 -3℃,
8월 평균기온 25.5℃, 연강수량 1,273㎜, 연강설량 91㎜로 겨울에 눈이 많이 내린다.
경지면적은 논 3.02㎢, 밭 2.07㎢, 임야 16.23㎢이다. 주민의 1990년대 초반까지는 80%
이상이 농업에 종사하며, 어업의 비율은 낮은 편이었으나, 육지와 연륙된 이후 사업체
수는 424개 종사자수도 1,705명에 달할 정도로 산업구조가 바뀌었으며, 농업인구도
897명에 이른다. 농산물로는 쌀ㆍ보리ㆍ콩ㆍ땅콩ㆍ마늘ㆍ고추가 생산되며, 근해에서
낙지ㆍ숭어 등이 어획된다. 굴ㆍ바지락ㆍ김ㆍ대합 양식업이 활발하고,
제염업도 일부 행하여지고 있다.
형성 및 변천
조선시대에는 남양군에 속하였으나, 1914년 행정구역개편으로 부천군에 편입
되었으며, 1973년부천군의 폐지로 옹진군에 1995년에는 인천광역시에 속하게
되었다. 영흥면은 3개의 유인도서와 19개의 무인도서로 구성되어 있다.
현황
인천과의 사이에 정기여객선이 운항되었으나, 현재는 2001년 11월에 개통된
동쪽으로 선재도와 연륙이 된 대부도를 거쳐 경기도와 인천으로 연결되었으며
영흥면 외리에는 수도권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화력발전소와 태양광 발전소가
위치하고 있다. 영흥화력발전소는 2009년 3, 4호기(총시설용량 174만 KW)를 완공
하여 수도권에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는 영흥
초등학교에 199명(2008 현재), 영흥중학교에 90명이 재학 중이다. 영흥도 장경리에
위치한 장경리해수욕장과 십리포해수욕장, 그리고 용담리 해수욕장의 3개 해수
욕장이 개발되어 있으며, 수도권에서 가까운 지리적 이점을 이용하여 많은 수의
펜션이 건설되는 등 관광산업의 발달하고 있다.
참고문헌
『통계연보(統計年報)』(인천광역시, 2008)
『한국도서백서(韓國島嶼白書)』(전라남도, 1996)
『한국지명요람(韓國地名要覽)』(건설부 국립지리원, 1982)
『도서지(島嶼誌)』(내무부, 1985)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오늘은 멀리 인천시 옹진군 영흥도로 야생화 탐사를 갑니다.

산자고
언제:2017년 3월 17일 금요일 날씨 : 맑음(연무)기온:인천12:00 12.3℃
누 구 랑 : 나혼자
어디를 : 인천 옹진군 영흥면 '국사봉'
산행 코스:장경리 해수욕장입구 ~ 통일사 ~ 국사봉 (원점회기)
퇴근길 제기동에서 출발하여 지하철 4호선 종점 오이도 역으로 이동(2시간 소요) 한 후
역앞 횡단 보도를 건너자 이내 도착하는(09:35) 790번 버스를 타고 영흥도 버스터미널에 하차 합니다.
터미널엔 마을버스가 2대 대기하다 손님들을 받아 싣고 섬을 좌우로 나뉘어 돌아 갑니다.

영흥도 안내판
주 산행코스는 우체국 앞 등로를 이용 하게 되지만 저는 짧고
코스인 섬 뒤편 통일사 입구에서 산행을 시작 합니다.

장경리 해수욕장 입구에 하차하여 통일사로 들어 갑니다.
(이쪽 코스는 왕복 1시간이면 국사봉을 다녀 올 수 있는 코스.....)



10분쯤 걷자 통일사에 당도 합니다.



통일사의 지장전 뒤편길을 택해 갑니다. (이 지장전 뒤편에 복수초 군락이 있다는 정보를 가지고 왔음)

지장전 뒤편으로 10m 쯤 올라가자 복수초가 자라고 있습니다.(아직 해가 들지 않아 꽃송이를 닫고 있네요.)

급경사지를 올라가 능선에 다다르자

저 위쪽에 정자가 보입니다.

버스에서 하차한지 30여분만에 국사봉의 정상에 올라 왔습니다.

국사봉 정상엔 오래된 소사나무 군락이 자리하고 있네요.
영흥도의 소사나무 군락은 천연기념물로 보호되고 있다고 합니다.



정자 전망대로 올라 갑니다.

우선 날씨가 매우 탁하지만 장경리 해수욕장 방면을 조망해 봅니다.

당겨 보니 풍력 발전기가 설치 되어 있구요.

그 좌측으론 영흥도 화력발전소가 위치 하네요.

전망대에서 잠시 숨을 고르고..... 오늘 이곳 국사봉을 선택해
오른 이유중 하나인 산자고를 찾아 보러 내려 갑니다.
그러나 한참을 찾아도 산자고가 올라 온 것이 보이지 않습니다. '아직 많이 이른가!'

어렵게 찾은 개체도 꽃망울을 열지 않았네요.

해볕을 좀더 받으면 꽃잎을 열지 싶어 조금 아랫쪽의 노루귀와 복수초를 담으러 내려 갑니다.

홍노루귀

흰노루귀

분홍노루귀


복수초



복수초는 제법 많이 올라왔습니다.
복수초 까지 담고..... 산자고가 꽃잎을 열었는가 다시 올라 가 봅니다.

한시간 정도의 시간이 흘렀을 뿐이지만 따스한 봄볕에 꽃잎을 열었습니다.

산자고





눈에 보이는 대로 산자고를 다 담고 이제 통일사 방면으로(정식 등로) 하산을 합니다.



통일사 좌측편으로 내려서며....... 이곳에도 약간의 노루귀가 있네요.

통일사를 지나 내려가 버스승강장으로 가니 벌써 버스가 지나갑니다.
이것을 놓치면 한시간을 기다려야 해서 손을 흔들며 뛰어 갔더니 기사분이 저를 보고 세워 주네요.
터미널에 도착하니 790번 버스가 대기하고 있는데 아직 시간이 있어 영흥대교 방면으로 이동 합니다.
걷다보니 들어 올 때 보았던 선재도의 목섬을 보고픈 욕심이 생깁니다
자주 올 수 있는 곳도 아니니 한시간 정도 더 투자하자 .....

영흥대교를 지나며 내려다 본 진두 선착장


영흥대교를 걸어 건너며 물빠진 다리아래의 풍경을 바라 봅니다.

영흥대교


선재도로 건너 왔습니다.

790번 버스는 지나가고.... 다음차를 타면 됩니다.

선재도로 건너와서....

도로를 따라 선재대교 방면으로 걸어 갑니다. - 뒤쪽 보이는 다리는 영흥대교
한시간 정도를 걸으니 선재대교 까지 당도 합니다.

선재대교에서 바라보는 목섬

물빠진 갯벌이 반짝반짝 빛납니다.

목섬안내


버스가 곧 올 시간이 되어 목섬까지 건너가 보지는 못하겠네요.

영흥도를 찾아 야생화들을 접견하고 한번쯤 와보고 싶었던 목섬을
이렇게 바라 볼 수 있어 잠시 행복에 젖어봅니다. 감사합니다.

영흥도에 도착하자마자 저는 350여 그루나 되는 소사나무들이
군락지를 이루며 살고 있다는 십리포해수욕장을 향해 설레이는
마음을 안고 곧바로 찾아가 보았습니다. 십리포해수욕장은 약 4㎞의
왕모래와 자갈이 섞인 해변과 1㎞의 고운 모래밭이 주변 풍경과 어우
러져 있는 아름다운 서해안 해수욕장중 한 곳이었는데요. 특히 이곳에는
해수욕장 주변을 따라 100년 이상된 수령의 소사나무숲
이 있어 장관을 이루고 있었습니

영흥도 소사나무군락지가 특히 더욱 중요한 것은 국내 유일이자 최대
규모의 군락지라는 점과 2007년에는 산림청이 ‘산림유전자원보
호림’으로도 지정할 만큼 그 가치가 인정된 곳이기 때문입니다
십리포해수욕장에서 드디어 마주하게 된 소사나무군락지는 울타리
쳐 있어 출입은 통제되어 직접 안으로 들어가진 못하고 가까운 곳에서
바라볼 수 있었는데 소사나무숲 안으로 여름 햇살 한 점 들어오기도
빽빽할 정도로 우거진 숲을 이루며 신령스러운
느낌까지 전해지는 곳이었습니다.


소사나무는 우리나라 서남해안과 특히 제주도에 많이 분포되어 있는
자작나무과의 나무로 잎은 작고 귀여우면서도 싹이 잘 돋고 수형이
아름다워 분재용나무로도 무척 애용되는 나무중 하나입니다.
소사나무라는 이름은 같은 자작나무 집안의 서어나무보다 작은 나무라는
뜻의 ‘소서목’으로 불려지다가 소사나무가 되었다고 합니다.

지금처럼 전국에서 유일하게 영흥도 십리포해수욕장에 소사나무
군락지가 생겨난 데에는 이곳의 어촌주민들이 오래전 해풍의 피해
로부터 농사 피해를 막기 위해 방풍림으로 조성했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보통 전국의 해수욕장에 소나무들이 군락지를 이룬 모습들은 흔하게
보아왔지만 '소사나무'라는 드문 수종이 이렇게 군락지를 이룬
모습은 저도 처음 보는 풍경이라 더욱 신비롭고 귀하게
느껴지는 풍경이었습니다.

그 전까지는 소사나무를 분재원 등에서 간혹 마주한 적은 있었지만 이렇게
군락을 이루며 큰 나무들이 그들만의 숲을 이루고 있는 모습을 보니 특히
다소 구불구불한 고목들의 운치가 더해지기도 했습니다.

영흥도를 다녀와 얼마전 우연히 영흥도 소사나무 관련 기사를 보게
되었는데 일부 이기적인 피서객들이 소사나무군락지 안으로 들어가
나무사이에 해먹을 걸거나 소사나무 군락지를 훼손하는 일이 많아
졌다고 하는 안타까운 소식을 접하게 되었는데요.

영흥도 탐방
2016년11월20일 오랫만에 영흥도로 탐석여행을 떠난다. 정말 오랫만에 찾은 영흥도 해변은 예전이나
다름없고 팬션은 많아졌고. 약간은 변화가 있는듯하다 옛날을 생각하며 해변을 운동삼아 걸어본다.

영흥도를 들어가며 바라본 다정해 보이는 부부바위섬
오랫만에 영흥도 생각이나서 탐석겸 탐방겸 아내와 같이 영흥도의 맑은 공기를 마시러 간다.
마침 오늘이 일요일이라 많은사람들이 영흥도를 찾아 자연을 즐기는듯하다.현송도 바다를
바라보고 해변을 거닐어본다,

저앞에 영흥대교가 바다에 걸쳐있다

십리포 해수욕장
많이 신경을 써서 모래도 깔아놓고 정리를 한듯하다

내가 한참동안 안온사이 다리의 편의시설도 설치되어 있는것 같다

요즘 사리때인지?바닷물이 물거품을 일으키며 부지런이 움직인다

운치있어보이는 십리포 해수욕장

해수옥장을 넓게 바라본다

영흥도의 바위산

영흥도 해변


산아래~~돌밭

이러한 돌밭이 구미를 당긴다

주워서 한번보고~~

문양이 보여서~~

반대로 한번더보고~~~

주름돌도 보이고~~

가까운 돌밭


십리포 해변에 사람들

일요일이라 해변으로 나온 사람들

해변을 들기는 사람들

문양이 보여 사진한장

해변을 즐기는 사람들

시원한 십리포 해수욕장

깨끗한 모래사장의 해수욕장

저보이는 해변길을 걸어본다

십리포 해수욕장

절벽난간에 나무

난간 인공 산책로

저멀리 해수욕장

물나간 영흥도 해변

해수욕장이 보이는 곳에서 아내

인공 산책로

영흥도의 유래

아름다운 해변풍광이다

물나간 영흥도 해변

해변에 소사나무

소사나무가 군락을 이루고있다 자리를 옴겨 장경리로 가본다

장경리 해변

장경리 농어바위

해변이 모두 펜션으로~~

넓은 해변

사진만 찍고~~

그림이 그럴듯하여 사진을~~

펜션이 있는 영흥도 해변

오늘은 물이 많이 나간듯하다

영흥도 해변

해변의 돌밭

넓게 보인다

정원석 같은 바닷가 바위들



사랑은 눈물의 씨앗
남국인:작사
김영광:작곡
나훈아:노래
사랑이 무어냐고 물으신다면
눈물의 씨앗이라고 말하겠어요
먼훗날 당신이 나를 버리지
않겠지요 서로가 헤어지면
모두가 괴로워서 울테니까요
♥
*이별이 무어냐고 물으신다면
눈물의 씨앗이라고 대답할테요
먼훗날 당신이 나를 버리지
않겠지요 서로가 헤어지면
모두가 괴로워서 울테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