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안반도의 낙조 간월도와 안면도
해안선 따라 1천3백 리, 서해안 태안반도는 지는 해를 보기 위해서라도 가 볼 만한 곳이다. 일출의 화려함이 동해의 맛이라면 일몰의 고즈넉함은 서해의 멋이라고 할까. 반도의 북단 학암포의 학바위에서 안면도의 방포 해변에서 조망하는 낙조가 은은한 적막감이 있고, 불타던 노을이 재로 식어 갈 무렵 달빛 속에 어리는 간월도의 풍정이 더할 나위 없이 아름답다. 어리굴젓으로 유명한 간월도(看月島)는 이름 그대로 달을 감상하는 섬이다. 섬이라고도 할 수 없는, 이 작은 섬은 조선시대 이태조의 왕사(王師)였던 무학대사로 인해 이런 멋진 이름을 얻었다고 한다. 달빛 속에 안긴 이 섬을 보면서 우리네 속인들은 가벼운 탄사를 발하지만 그 옛날 무학은 도를 깨쳤다고 한다. 간월도, 간월암, 간월도리라는 이름은 여기에 연유한다. 무학대사의 무학을 무학(無學)으로 적기도 하는데 이 이름은 두 가지 상반된 뜻으로 해석된다. 곧 전혀 배운 바가 없다는 의미도 되지만, 더 이상 배울 것이 없을 정도로 박식하다는 뜻도 된다. 그러나 후세인들은 이 스님의 출생 전설을 고려했음인지 춤추는 학, 곧 무학(舞鶴)으로 적기를 더 좋아하는 것 같다. 무학은 이 고장 모월리의 학돌재에서 태어났다. 그가 어머니 뱃속에 있을 때 아버지가 나라에 진 빚을 갚지 못하여 도주하자 어머니가 대신 옥에 갇히게 되었다. 온 천지가 눈으로 뒤덮인 겨울날, 포졸들에게 끌려가던 어머니는 산기를 느껴 그만 눈 속에서 해산을 하고 말았다.
무심한 포졸들은 이런 절박한 사정을 돌보아 주지 않았다. 하는 수 없이 산모는 급한 김에 옷가지로 핏덩이를 덮어둔 채 현청까지 끌려가야만 했다. 뒤늦게 사정을 들은 현감이 산모를 풀어 주었는데 현장에 달려간 그녀는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눈 속에서 당연히 얼어 죽었어야 할 아기가 두 마리 학의 보살핌으로 생생히 살아 있었던 것이다. 한 마리의 학이 아기를 포근히 감싸 주고 또 한 마리의 학이 먹이를 물어 와 아기를 먹이고 있었던 것이다.
무학
무학대사가 어머니 뱃속에 있을 때 그의 아버지가 빚을 갚지 못해 도주하자 어머니가 대신 옥에 갇히게 되었다. 포졸에게 끌려가던 어머니는 그만 눈 속에 해산하고 말았다. 하지만 포졸들이 막무가내로 끌고 가자 급한 김에 옷가지로 덮어두었다. 뒤늦게 사정을 들은 현감의 배려로 현장에 달려간 어머니는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두 마리의 학이 아기를 감싸 주고 있었던 것이다. 무학은 이처럼 출생부터가 범상치 않았다. 춤추는 학, 무학(舞鶴)은 이런 연유로 어머니가 지어 준 이름이고, 학이 아이를 돌본 고개, 곧 ‘학돌재’는 마을 사람들이 붙여 준 출생지의 지명이다. 간월암, 간월도의 풍정이 그토록 깊고 그윽했던 것도 그곳이 바로 오도(悟道)의 섬이었기에 그랬던 모양이다.
▲서산 간월도무학대사가 이곳 암자에서 수도하던 중 달을 보고 도를 깨쳤다고 하여 간월도
(看月島)란 이름을 얻었다. 낙조 때 보면 이곳의 풍정이 깊고 그윽하여 ‘오도(悟道)’의 섬임을 실감나게 한다.
간월도 지척에 섬 아닌 또 하나의 섬이 남북으로 길게 누워 있다. 섬 전체가 온통 솔내음으로 그득한 안면도(安眠島), 지명 그대로 서해를 배경으로 편안히 잠들어 있는 형상이다. 뒤틀리고 외틀어진 소나무만을 보아 왔던 우리의 눈에 죽죽 미끈하게 뻗은, 이 섬의 홍송(紅松)들은 마치 슈퍼모델의 다리를 보는 듯한 느낌이다. 조선시대 황월장봉산(黃月長封山)이라 하여 왕실의 관을 짜는 데만 쓰였다는 소나무 숲은 이 섬의 중심지인 승언리에 이르면 절정에 달한다.
▲ 안면도의 홍송 군락죽죽 미끈하게 뻗은 이 소나무들로 섬이 온통 솔내음으로 가득
하다. 옛날 왕실의 관을 짜는 데만 쓰였다는 이 소나무는 승언리 일대에 집중되어 있다.
솔내음에 취해 승언리 곁의 ‘젓개’(방포) 포구에 나가면 탁 트인 바다 풍경과 함께, 그 가운데 우뚝 솟은 두 바위섬이 우리를 반긴다. 할아버지바위와 할머니바위라 불리는, 이 두 바위섬에는 노부부의 애틋한 사랑의 전설이 있다. 신라 흥덕왕 때의 이야기라 한다.
▲방포 앞바다의 할아버지바위신라 때 이곳 견승포(안면도)를
지키던 승언이란 장수의 시신이 굳어진 바위라고 한다.
당시 청해진을 거점으로 해상을 주름잡던 장보고가 이곳 견승포(지금의 안면도)에 전진기지를 두고 승언(承彦)이란 장수로 하여금 이곳의 책임자로 삼았다. 승언은 미도라는 아내와 함께 살면서 이 기지를 굳게 지키고 있었는데, 한 번은 출전하였다가 영영 귀환하지 못한다. 매일 해변에 나가 남편을 기다리던 아내는 끝내 그 자리에 선 채 돌이 되었고, 훗날 시신으로 돌아온 남편도 아내 옆에 서서 똑같은 바위가 되었다. 세월이 흐른 후 이들 부부가 노인이 되었을 무렵 이곳 주민들은 이 둘을 각각 할아버지바위, 할머니바위로 불러 주게 되었다. 망부암이라 할까 망부도라고 할까, 어떻든 그것이 비록 바위라 하더라도 금실 좋은 부부상은 언제 보아도 싫증이 나지 않는다. 읍소재지명을 남편 승언의 이름에서 따 온 것도 이런 부부애를 기리기 위함이리라.
할아버지바위·할머니바위
해상왕 장보고가 견승포(지금의 안면도)에 기지를 두고 승언이란 장수를 책임자로 삼았다. 어느 날 승언은 출전하였다가 영영 돌아오지 못한다. 남편을 기다리던 아내는 끝내 그 자리에 선 채 돌이 되었고, 후에 시신으로 돌아온 남편도 아내 옆에 서서 바위가 되었다. 그리고 세월이 흘러 그들이 노부부가 되었을 무렵 주민들이 두 바위를 할아버지바위·할머니바위라 부르게 되었다. 안면도는 태안반도 끝에 붙은 ‘태안곶’으로서 본래는 섬이 아니라 뭍의 일부였다고 한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중국의 이여송 장군이 임진왜란으로 파병되었을 때 이 지역에서 큰 인물이 날 것을 우려하여 그 지맥을 끊고자 일부러 섬으로 만들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안면도는 삼남의 조세품을 배로 수송하는 과정에서 이곳으로 물길을 트고자 섬으로 만들었고, 또 훗날 그 지점에 다리를 놓음으로써 다시 뭍과 이어지게 되었다. 조선시대 이 섬에 안면소(安眠所)를 설치한 데서 안면도란 이름을 얻었지만, 최근 원자력발전소 건설 문제가 불거져 그 이름처럼 편안하지는 못했다. 한국 소나무의 그 청정한 모습을 보기 위해서라도, 또 그윽한 솔내음과 모감주나무의 향내를 맛보기 위해서라도 안면도는 언제까지나 편히 잠자는 섬으로 남아 있었으면 좋겠다. 크게 편안하다는 태안(泰安), 그 태안반도 해안은 빼어난 경관과 함께 해안선을 따라 포도송이처럼 줄줄이 해수욕장들을 매달고 있다. 북단 학암포에서 시작하여 남단 영목항에 이르기까지 무려 서른 개가 넘는 해수욕장들이 그 뛰어난 경관 못지않게 저마다 아름다운 이름을 뽐내고 있다. 만리포·천리포·백리포·연포·몽산포·꽃지·바람아래 등등, 어느 것 하나 예쁘지 않은 이름이 없다. 용이 승천할 때 거센 바람과 함께 조수가 일어 조개바람과 모래둑이 형성되었다는 ‘바람아래해수욕장’에서는 지금도 바람의 여신이 이 포구를 포근히 감싸고 있다. 만리포(萬里浦)란 이름은 옛날 중국 사신을 전송할 때 수중만리(水中萬里) 무사항해를 기원한 데서 생긴 이름이다. 그러나 대중가요 〈만리포사랑〉이 나온 이래 이곳은 청춘남녀가 사랑을 나누는 포구로 변모하였다. 인근에 있는 연포도 마찬가지다. 본래 솔개가 많이 서식하는 곳이라 하여 연포(鳶浦)라 했으나 이 노래가 유행된 이후 자연스레 연인의 포구, 즉 연포(戀浦)로 변신한 것이다.
▲태안반도 북단의 학바위용의 승천과 관련된 전설이 있다. 학바위
밑에는 용이 살던 용굴이 있고 용이 베고 잔 용베개까지 남아 있다.
용의 승천과 관련하여 학암포에도 이와 유사한 전설이 있다. 백사장 뒤로 해당화 피는 언덕에 둘러싸인 이 포구에는 바다를 향해 막 비상하려는 학모양의 바위가 있다. 원북면 방갈리, 이 학바위 밑에는 용이 살던 용굴이 있고, 그 굴 속에는 용이 베고 잔 용베갯골까지 그대로 남아 있다. 이 용굴은 대방이섬까지 뚫려 있는데 용은 이 통로를 이용하여 승천했다고 한다.
태안반도는 1백70여 개의 크고 작은 섬을 거느리고 있다. 이들 섬 풍경을 즐기려면 안흥항에 가서 유람선을 타는 것이 최선이다. 인천·군산과 함께 예로부터 서해안 3대 어항으로 꼽히던 안흥항은 이제 낚시꾼이나 찾는 한적한 포구가 되었다. 그 대신 서해의 낙조와 태안반도의 경관을 둘러보기에 이보다 더 좋은 포구는 없을 듯하다. 안흥항에서는 멀리 가의도가 희미하게 보인다. 옛날 중국의 가의(賈誼)라는 충신이 억울하게 죄를 뒤집어쓰고 귀양살이했다던 섬, 그 가의도는 지금도 애타게 중국땅을 응시하고 있다. 또한 거기에는 중국 대륙을 노려보면서 우리 땅을 지키고 있는 사자바위도 있고, 서해의 해신이 무시로 드나든다는 독립문바위도 있다. 아무튼 삽교를 거쳐 서해안을 내리닫이로 뻗어 장항까지 이어지는 서해고속도로가 뚫리는 날이면 이 작은 포구도 유람객의 발길로 들끓게 될 것이다.
출처:(물의 전설)
2024-05-16 작성자 청해명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