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워렌버펫,벤저민그레이엄 연구모임
 
 
 
 

최근 댓글 보기

 
최신 댓글이 없습니다.
 
카페 게시글
기업분석노트 현대모비스 기업분석 Revised
Cypher 추천 0 조회 234 04.10.24 01:21 댓글 12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04.10.08 00:19

    첫댓글 두번 읽어보는군요...많은 시간의 열정이 묻어있는것같습니다. 저는 아직 현대모비스를 분석해보지는 않았는데... 전세계적인 모듈화기업중 가장 낮은 기업가치를 평가받고 있습니다. 또 내수차비중이 95%인 한국이라는 나라에 대해서 심도있게 계속 생각중입니다.

  • 04.10.12 01:56

    너무나 훌륭한 분석입니다. 모듈화 회사가 완성차와 분리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현대모비스가 현대차의 품안을 떠나서 다른 자동차회사에 모듈을 공급할 가능성이 있나요? 모듈을 intergration하는 작업은 완성차 회사의 기술적 노하우와 직접 연결되는 것 아닌지 모르겠네요.

  • 작성자 04.10.24 01:25

    모듈화 회사와 완성차가 분리되는 이유는 솔직히 모르겠습니다. 개인적으로도 자동차 회사가 그냥 모듈화까지 해버리면 안되나라고 생각을 한 적이 많은데요. 전문성 문제때문인 것 같은데... 그냥 세계 자동차 회사를 봐도 부품 업체는 전부 따로 있더라고요. 이유는 기회가되면 IR담당자나, 자동차 전문가에게 여쭤봐야

  • 작성자 04.10.24 01:28

    겠네요. 현대모비스는 이미 다임러크라이슬러에게 모듈을 공급하기(2단계 수준) 시작했습니다. 현대모비스가 현재 해외 판매망을 늘릴 계획을 세우고 있는 것은 확실합니다. 문제는 그 비중이 얼마나 되느냐겠지요. 제가 정몽구 회장이라면 현대모비스와 현대차의 완전한 분리는 원하지 않을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 작성자 04.10.24 01:30

    모듈을 인테그레이션 하는 작업은 완성차 회사의 기술 노하우보다는 완성차 회사와의 긴밀한 협력 관계가 더 중요한 듯 합니다. 3단계 부터는 자동차 설계 단계부터의 긴밀한 협조가 요구되기 때문에... 이러한 점에서는 모비스가 덴소, 비스티온, 델파이 등보다 약간 유리하다고 볼수도 있을 것 같네요.

  • 04.10.25 16:52

    제 말은 모듈화 정도가 높을 수록 완성차제조사의 부가가치는 적어지지 않을까 싶어서 입니다. 예를 들어 다임러가 모비스와의 모듈화를 하면, 다임러의 know how가 유출될 위험때문에 어느 정도 한계가 있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요.

  • 작성자 04.10.25 23:04

    흠... 그럴 가능성도 높은 것 같네요. 결국 4단계 수준의 모듈화는 모비스-현대기아차, 도요타-덴소, 다임러-보쉬, GM-델파이 형식으로 가야하는 것인가요. 다만, 제가 들은바로는 현대차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부품사의 경우 이미 모 자동차 기업과 분리가 이루어져서 50%정도의 매출을 타 회사에서 낸다고하더군요.

  • 작성자 04.10.25 23:05

    분리라고해도 완전 분리가 아닌 이상에는 결국 팔은 안으로 굽겠지만... 음... 사실 자동차 산업에대해 아는바가 별로 없어서 잘 모르겠습니다. 이런건 자동차회사에서 근무하시는 에스테반님(...이셨나요? 누구셨더라 현대차에 근무하시는 분이)이 잘 아시지 않을까요? 음하하. 떠넘기기.

  • 04.10.26 18:12

    완벽한 모듈화 기술력을 이뤄내려면..완성차 수준의 노하우와 기술력이 필요합니다. 근데 현재의 모듈화 기술추세는, 부품업체들이 기술을 따라가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죠. 모듈화가 완벽하게 정착된다면, 자동차가 컴퓨터 산업(부품조립.. DIY라고 하나요.. --)같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04.10.26 18:17

    부품업체에 자동차 설계/생산같은 hard한 부분을 맡기고..완성차업체는 판매/서비스 등 고부가가치적인 soft한 분야로 나가는 것이죠. 해외 메이커가 모듈화를 도입하는 것도 비용절감의 측면도 있지만 이런 맥락도 같이 있는 것입니다. 물론 이런 사업방식을 구축하고 효율성을 달성하기 위해선 엄청난 투자가

  • 04.10.26 18:19

    있어야 할 것이고... 상당한 시간 후의 일일 것으로 보입니다. 자동차는 생산자동화에 한계가 있는 사업이니만큼 노동력의 반발도 있을테고, 또 품질문제와 관련하여 생산자동화의 한계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도 있겠죠.

  • 04.11.14 20:09

    한보철강 인수로 인하여 현대자동차그룹은 또 한 번의 변환기를 맞이할 것 같은데, 저는 조금 조심스럽게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