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미주현대불교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 내가 쓰 는 글 있다는 그것이노라[에흐예 아쉐르 에흐예]
해공 추천 0 조회 1,421 21.01.14 07:46 댓글 5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첨부된 파일
댓글
  • 작성자 21.01.17 16:41

    첫댓글 ‘나는 있게 하는 자이노라,’ ‘나는 있게 하는 자 그로다,’ ‘I am what lets there be (everything).’ 를 추가해보았습니다.

  • 작성자 21.01.19 14:50

    다음 부분으로 첨삭 보강하였습니다.
    --------
    이 에흐예(אהיה)가 야훼(YHWH)란 이름이 된다(출애굽기 3장 15절). 최근에 찾은 바로는 야훼는 ‘하야(haya)의 히필형 미완료 3인칭은 야흐예, 또는 야혜이며, 그 동의어 하와의 미완료 3인칭은 야흐웨 또는 야훼’라는 데에서 나왔다 한다( http://www.parusia.or.kr/bbs/zboard.php?id=bible_research&page=18&sn1=on&divpage=1&sn=on&ss=off&sc=off&sl1=off&keyword=%C7%D1%BF%F8%BD%C4&select_arrange=name&desc=asc&no=351&cno= ). 히필형은 사역 능동( https://godpeople.or.kr/board/5160835 )으로 (~게 하다[let])의 뜻이 있다. 즉 ‘에흐예’로 나타난 ‘하야’ 동사와 관련해서는 ‘있게 하다(let there be)’의 뜻이 나오므로 ‘야혜’ 또는 ‘야훼’에는 기본적으로 ‘있게 하는 자’라는 뜻이 들어간다( https://www.youtube.com/watch?v=GfJTBpi09sQ&t=381s 의 6분 8초).

  • 작성자 21.01.28 17:32

    다음으로 보강하였습니다.
    ------------------------------------------
    하나님이 3인칭 그분으로 말씀하시는 걸로 묘사할 때는 ‘예히 오르 와예히 오르’ (빛이 있으면 좋겠다 하시니 빛이 있어 지금도 있고 https://tongues.tistory.com/108​​​​​​​ )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qI5a2bViCaY 20분 45초). 그러면 하나님이 1인칭으로 직접 말씀하실 때는?
    ‘에흐예 오르 와예히 오르’(빛이 있게 하노라 하니 빛이 있어 지금도 있고) 정도가 되지 않을까? 이런 맥락은 고대 번역본 2 곳에서 '에흐예 아쉐르 에흐예'를 '말씀하시어 이 세상이 있게 하신 분'(“the one who said and the world came into existence”)이라고 번역한 데서도 보인다(「출애굽기 3:14의 번역에 대한 언어학적 고찰」: 14).

  • 작성자 21.01.30 11:39

    https://www.youtube.com/watch?v=TCAUbVXz3hI&t=417s 5분에 명확히 나오는 군요. 야훼는 "그분이 있게 하셨고, 있게 하고 계시며, 앞으로도 있게 하실 것이다"라는 뜻이군요.

  • 작성자 21.02.01 15:24

    다음으로 보강합니다.
    ---------------
    ‘아흐예 오르 와예히 오르’(빛이 있게 하자 하시니 빛이 있어 지금도 있고) 정도가 되지 않을까? 이런 맥락은 고대 번역본 2 곳에서 '에흐예 아쉐르 에흐예'를 '말씀하시어 이 세상이 있게 하신 분'(“the one who said and the world came into existence”)이라고 번역한 데서도 보인다(「출애굽기 3:14의 번역에 대한 언어학적 고찰」: 14). '에흐예 아쉐르 에흐예'에서도 뒤의 에흐예를 1인칭 미완료 히필형[사역형]로서 알브라이트 학파와 같이 “있게 하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http://theologia.kr/board_system/45455 https://m.blog.daum.net/soon4832/13398235 ). ‘있다’에 집중한 번역은 뒤의 에흐에를 현재 분사 being으로 번역하여 “그 ‘있는’ 이노라(ἐγώ είμι ὁ ὥν = I am the being)”로 번역한 70인역에서도 볼 수 있다(「출애굽기 3:14의 번역에 대한 언어학적 고찰」: 9-11).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