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테너 김동원
중앙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 실기수석 졸업
독일 Karlsruhe 국립음대 디플롬 및 최고연주자과정 최우수 졸업
음악춘추콩쿠르, 이대웅장학재단 한국성악콩쿠르, 성정문화재단 난파음악콩쿠르,
삶과 꿈 성악콩쿠르 등 국내 대회 우승
스페인 바르셀로나 Francisco Viňas 콩쿠르 특별상
독일 코부르크 Alexander Girardi 콩쿠르 1등
크로아티아 트로기르 International Tenor Campetition 1등
그 외 루마니아 Hariclea Darclee, 이태리 베르첼리 G.B.Viotti, Ottavio Zino 등 다수의 국제 콩쿠르에서 우승 및 입상
오페라전문지 OPERNWELT 주관 50인의 평론가가 선정한 “올해의 가수(2008)” 에 요나스 카우프만, 후안 디에고 플로레스, 디아나 담라우 등과 함께 노미네이트
독일 프라이부르크시립극장 오페라단소속 솔리스트 장학생 및 전속주역가수 역임
독일 카셀국립극장 오페라단 전속주역가수 역임
독일 뮌헨국립극장을 비롯, 뉘른베르크, 자르브뤼켄, 브레멘, 도르트문트, 아우구스부르크, 오스트리아 클라겐푸르트, 스위스 바젤, 상트 갈렌 등 유럽 주요 오페라극장 초청 주역가수로 활동
오페라 <코지 판 뚜떼>, <마술피리>, <세빌리아의 이발사>, <돈 파스콸레>, <루치아>, <베르테르>, <파우스트>, <라보엠>, <나비부인>, <진시황>, <한 여름 밤의 꿈> 등 30여개 오페라 300여회 출연
독일 슈벳징엔 국제 음악 페스티벌, 영국 리버풀 코너스톤 페스티벌, 독일 코부르크 요한 슈트라우스 페스티벌, 스위스 바젤 Art Basel 국제 예술제 등 주요 국제 음악제 초청 공연
헨델의 메시아, 바흐 칸타타 및 수난곡, 베토벤 9번 교향곡, 롯시니의 Stabat mater, 호네거의 Le Roi David 등 오라토리오와 슈만, 브람스, 볼프, 리스트, 말러 등의 주요작품 리더 아벤트 60여회 연주 -
이탈리아 타필리아노, 독일 칼스루에, 카셀에서 독창회 6회 개최
Karen Kamensek, Gerhard Markson, Guido Mancusi, Marco Comin, 정명훈, 구자범 등 주요 지휘자들과 연주활동 및 음반녹음
독일 괴팅엔 국제극장아카데미 외래교수 역임
2012년 국립오페라단50주년기념 오페라 <라보엠>의 로돌포 역으로 국내 무대 데뷔 및 복귀
서울시립교향악단, 광주시립교향악단, KBS교향악단 등 국내 주요 오케스트라 협연
사사: 강무림 교수, 신동호 교수, Prof. Klaus Dieter Kern, M. Maria Candida
2012년 12부터 일본 도요타문화재단 초청연주자 및 후지와라 필하모닉오케스트라 객원 아티스트로 활동
현재 뮤직모아 매니지먼트 베스트 아티스트로 한국과 일본 등 아시아를 중심으로 국제적 활동
Piano 이영민
추계예술대학교 수석입학 및 수석졸업
로마 '산타 체칠리아' 국립음악원 및 페스카라 고등음악원 오페라 코치과 졸업
부산시립교향악단 협연 및 조선일보 신인음악회, 음연주최 우수신인 피아니스트 데뷔음악회 연주
이태리 '아그로' 국제 피아노콩쿨 심사위원 역임
이태리 '죠르다노', '카루소', '알카모', '레온카발로' 및 '서울국제콩쿨' 등 7개 국제 성악콩쿨 상임반주자 역임
이태리 '디보 판 오페라 페스티벌' 음악코치 역임
<돈죠반니>, <사랑의 묘약>,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일트로바토레>, <아이다>, <나비부인>, <마농레스코>, <투란도트>등 십여편의 오페라 음악코치 및 반주
한국 및 이태리, 미국, 캐나다, 프랑스, 영국, 독일, 러시아, 호주, 중국, 일본에서 독창회 및 콘서트 850여회 반주
현 성신여대 대학원 반주과 교수
Program
Arthur Honegger (1892-1955)
"Ne crains rien" 두려워 말라
"pitiè de moi, mon Dieu" 은혜로운 나의 주여
"Je lève mes regards vers la montagne" 눈을 들어 산을 보리라
-from Oratorio <Le Roi David> 오라토리오 <다윗왕> 중에서
Franz Liszt (1811-1886) - Tre sonetti di Petrarca 페트라르카에 의한 세 개의 소나타
1.Pace non trovo 나는 평화를 잃었네
2.Benedetto sia'l giorno 축복 있으리라
3.I vidi in terra angelici costumi 이 땅에서 천사의 모습을 보았네
Richard Strauss (1864-1949)
Heimliche Aufforderung Op.27, Nr.3 (John Henry Mackay) 은밀한 초대 (존 헨리 메케이)
Cäcilie Op.27, Nr.2 (Heinrich Hart) 체칠리에 (하인리히 하르트)
- Intermission -
Charles Gounod (1818-1893)
"Salut! demeure chaste et pure" 안녕! 순결하고 순수 하여라
–from Opera <Faust> 오페라 <파우스트> 중에서
Pyotr Ilyich Tchaikovsky (1840-1893)
"Kuda, Kuda, kuda vi udalilis" 어디로 갔는가, 내 황금 같은 젊음의 날이여
-from Opera <Eugene Onegin> 오페라 <예프게니 오네긴> 중에서
Franz Lehár (1870–1948)
"Freunde, das Leben ist lebenswert" 친구여, 인생은 살만한 가치가 있는 것
"Schönste der Frau'n.." 가장 아름다운 여인
-from Operetta <Giuditta> 오페레타 <쥬디타> 중에서
Jules Massenet (1842-1912)
"Pourquoi me réveiller" 왜 나를 깨우는가, 봄의 산들 바람아
–from Opera <Werther> 오페라 <베르테르> 중에서
Francesco Cilea (1866-1950)
"È la solita storia del pastore" 한 양치기의 평범한 이야기 (페데리코의 탄식)
-from Opera <L'Arlesiana> 오페라 <아를르의 여인> 중에서
공연에 대한 자세한 문의는 02-866-2009 뮤직모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