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日干대 柱中全體로 構成되는 例
①종인격, ②종재격, ③종아격, ④종살격, ⑤곡직격, ⑥염상격
⑦가색격, ⑧종혁격, ⑨윤하격, ⑩화기격, ⑪천원일기격
⑫지지일기격, ⑬간지동체격, ⑭복덕격, ⑮정란차격
⑯현무당권격, ⑰구진득위격
1)從印格(종인격)이란 一名 從旺格(종왕격)이라고도 하는데 地支全 印綬局으로서 印綬(인수)가 太旺한 四柱
2)從財格(종재격)이란 日主가 最弱(최약)하고 地支全 財局으로 이루어져 있을 때 財를 따라간다 하여 從財格이라고 하였으며 柱中에 一点(일점)의 傷食이나 官殺을 만나는 것은 妨害(방해)되지 않으나 印綬, 肩劫(견겁)은 大運에서 만나면 大忌하게 된다,
3)從兒格(종아격)이란 日主가 最弱하고 地支全 傷官, 食神으로 따라간다하여 從兒格이라고 하는데 大運에 있어서 印綬나 肩劫 또는 官殺運은 大忌하나 財運이나 傷食運을 만나면 吉하다,
이와같이 構成된 四柱는 技藝(기예)에 特出(특출)한 才能(재능)이 뛰어나며 또 育英事業(육영사업)에서 大成하게 된다, (食神, 傷官은 子孫이기 때문에 兒(아)라고 함)
4)從殺格(종살격)이란 地支가 全 官殺局으로 이루어져 있으면 日主는 自然 最弱이 되는데 이때는 日主가 의지할곳이 없기 때문에 從殺하여야 되므로 從殺格이라고 하는 것이다,
그리고 運에서 印綬 肩劫 傷食運은 大忌하며 財官運을 喜 하는데 특히 得局(득국)을 하여야 (三合財官局)더욱 吉命이 되는 것이다,
5)曲直格(곡직격)이란 木이란 많으면 바르게(直), 적으면 굽어져서 (曲), 자라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인데 日主가 木日主로서 地支 全木局으로 구성되어 있을 때를 曲直格이라고 한다,
이도 得局을 要하며 運에 있어서도 土金運은 大忌하며 水木火運에 大發하게 되는데 이와같이 構成된 四柱는 敎育界나 法官, 그리고 醫師職(의사직)으로 進出(진출)하면 大吉하다,
6)炎上格(염상격)이란 火日主가 柱中에 全火局으로 構成되어 있을때를 炎上格이라고 하는데 이도 得局을 하여야 더욱 吉命이 된다,
炎上이란 火가 많으면 炎字가 되고 또 火氣는 上昇(상승)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인데 運에서도 木火土運에 發福(발복)하고 金水運에서 大忌한다, 職業(직업)은 電子工學係通(전자공학계통)이나 敎育家가 吉하다,
7)稼穡格(가색격)이란 土日主가 地支全 土局으로 이루어져 있을때를 稼穡格이라고 하는데 다만 燥土(조토)는 不可(불가)하다,
稼穡이란 土는 흙으로서 田畓(전답)이요, 田畓은 논과 밭으로서 씨앗을 뿌려 수확을 하는 곳이므로 이를 이름하여 稼穡이라 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며 運에 있어서도 火土金運에는 發福을 하나 水木運에는 大忌하며 職業으로는 宗敎에 心醉(심취)하고 歸依(귀의)하는 경우가 많다,
8)從革格(종혁격)이란 金日主가 地支에 全金局이 되었을 때 從革格이라고 하는데 이 또한 得局하여야 吉命이 된다,
그리고 革이란 金이 變革(변혁)의 뜻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며 또 運에 있어서도 土金水運에 發福하고 木火運에는 大忌하게 된다, 職業으로는 군인이나 경찰직이 適格(적격)이며 機械(기계), 金屬工學(금속공학)에도 有能(유능)하다,
9)潤下格(윤하격)이란 水日主가 地支에 全水局을 이루고 있을 때 潤下格이라고 하는데 이 또한 得局을 하여야 吉命이 된다,
그리고 潤下란 물이 모이면 불어나고 또 流下之性(유하지성)으로 물이 흐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또 運에서는 金水木運에 發福하고 火土運에 大忌한다, 職業으로는 宗敎係通(종교계통)이나 政治外交 係通에서 出世를 하게된다, (계속)
(사주정해2 편)
윤창 개운상담소 쌍문역 010985037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