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강화도 [ 江華島 ]
|
면적 302.14㎢, 남북길이 30㎞, 동서길이 12㎞, 해안선길이 99㎞이다. 1999년 12월 현재
2만 96세대에 6만 565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인천광역시 강화군에서 가장 큰 섬으로, 최고점은 마니산(摩尼山:468m)이다. 삼국시대부터 중요한 군사적 요충지였으며, 고구려의 영토에 속하였던 400년경에는 혈구(穴口...
|
|
|
[항목] 강화도령 [ 江華道令 ]
|
1963년 신(申)필름 작품. 이서구(李瑞求)의 방송극을 신상옥(申相玉)이 제작 ·감독한
흑백 궁중사극(宮中史劇) 영화로, 임희재(任熙宰)가 각색을 하였다.출연은 최은희(崔銀姬) ·신영균(申榮均) ·김승호(金勝鎬) ·도금봉(都琴峰) 등이 하였다. 조선 후기
철종이 왕위에 즉위하기까지의 이야기이다.
|
|
|
[항목] 강화도조약 [ 江華島條約 ]
|
한 ·일수호조약(韓日修好條約) ·병자수호조약(丙子修好條約)이라고도 한다. 이 조약이 체결됨에 따라 조선과 일본 사이에 종래의 전통적이고 봉건적인 통문관계(通文關係)가 파괴되고, 국제법적인 토대 위에서 외교관계가 성립되었다. 이 조약은 일본의 강압 아래서 맺어진 최초의 불평등조약이라는 데 특징이...
|
|
|
[확장] 운요호사건 [ 雲揚號事件(운양호사건) ]
|
강화도사건이라고도 한다. 조선측의 대일문호개방(對日門戶開放)에 대한 미온적인 태도에, 일본은 열강세력에 앞서 조선에의 진출을 시도한 계획이 지연됨에 따라, 그 타개책으로 무력시위로써 조선당국을 굴복시키고자 군함 30척을 조선연해에 파견하기로 결정하였다. 이와 같은 무력위협정책의 일환으로 운요호를 조...
|
|
|
[확장] 강화역사관 [ 江華歷史館 ]
|
1984년에 경제사회발전5개년계획 사업으로 착공되어 1988년에 준공하고 9월 14일에 개관하였다. 역사관은 지하 1층, 지상 2층의 총건평 267평 건물로, 홍이포 1문과 소포 2문
등 대포 3문을 비롯하여 철재 종류가 38종, 석재 종류가 69종, 목재와 지기 종류가 49종,
기타 문구 종류와 의상 등 총 169점의 유물들이 보...
|
|
|
[확장] 군신기고문 [ 君臣祈告文 ]
|
원제목은 대장각판 군신기고문(大藏刻版 君臣祈告文)이다. 1237년 이규보(李奎報)가 지은 《동국이상국집》에 실려 있다. 1011년(현종 2) 거란군이 침입하였을 때 대장경을 새겨 적을 물리쳤음을 예로 들며 대장경을 다시 새기게 된 동기를 밝힌 글로서, 부처의 힘으로 몽고군을 물리치고자 하는 고려의 임금과 신...
|
|
|
[확장] 전원미술관 [ 田園美術館 ]
|
연건평 561㎡, 총소장품 120점이다. 1995년 9월 6일 문을 열어 전원 유광상의 작품 120여 점을 전시하고 강화지역 문화발전과 국내 미술발전을 위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1948년 강화에서 태어난 유광상은 평면화이면서도 입체적으로 보이는 시각적 표현 양식, 전통성과 현대 감각을 아우른 회화적 불교미술 등 독보적...
|
|
|
[확장] 해운사 [ 海雲寺 ]
|
언제, 누가 창건하였는지는 알 수 없다. 1682년(조선 숙종 8) 강화도에 설치한 금위영(禁衛營)에 속하였던 적이 있는데, 이때 일초(一哨)가 총섭(摠攝)을 맡았고, 절 이름을 진해사(鎭海寺)로 바꾸었다. 1690년대에 이형상(李衡祥)이 편찬한 《강도지(江都志)》에 폐사되었다는 기록으로 미루어 17세기 후반에 폐사...
|
|
|
[확장] 강화학파 [ 江華學派 ]
|
1709년(숙종 35) 정제두는 자신과 가까이 지내던 소론들이 정치적으로 어려움에 처하자
강화도로 물러나 은거하였다. 이후 그의 친인척들과 이광사(李匡師), 이광려(李匡呂),
신대우(申大羽), 심육, 윤순(尹淳) 등의 소론 학자들이 모여들어 학문을 익히거나 혈연관계를 맺어 200여 년 동안 학맥을 이어나갔다. 이...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