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바른상조 만들기 위원회 원문보기 글쓴이: 바르게살자
|
제사상차림의 기준위치는 지방(신위)가 있는 쪽이 북쪽이다. |
신위의 오른쪽은 동쪽, 신위의 왼쪽은 서쪽이다 |
남자조상은 서쪽(왼쪽) 여자조상은 동쪽(오른쪽)에 위치한다. |
남좌여우(男左女右) 즉 남자조상의 신위(지방), 밥, 국, 술잔은 왼쪽에 놓고 여자조상은 오른쪽에 놓는다. |
조상의 제사는 배우자가 있을 경우 함께 모신다. |
합설(合設) 밥,국,술잔은 따로 놓고 나머지 제수는 공통으로 한다 |
밥은 서쪽(왼쪽) 국은 동쪽(오른쪽)에 위치 한다. |
반서갱동(飯西羹東) 즉 산 사람의 상 차림과 반대이다. 수저는 중앙에 놓는다. |
고기는 서쪽(왼쪽) 생선은 동쪽(오른쪽)에 위치한다 |
어동육서(魚東肉西) |
꼬리는 서쪽(왼쪽) 머리는 동쪽(오른쪽)에 위치한다 |
두동미서(頭東尾西) |
적은 중앙에 위치한다. |
적전중앙(炙奠中央) 적은 옛날에는 술을 올릴 때마다 즉석에서 구워 올리던 제수의 중심 음식이었으나 지금은 다른 제수와 마 찬가지로 미리 구워 제상의 한가운데 놓는다. |
탕은 3열에 위치한다. |
신위를 기준으로 1열은 밥과국, 2열은 적과전, 3열은 탕, 4열은 포와나물, 5열은 과일 및 과자류 순으로 |
나물은 서쪽(왼쪽) 김치는 동쪽(오른쪽)에 위치한다 |
생동숙서(生東熟西) |
포는 서쪽(왼쪽) 젖갈은 동쪽(오른쪽)에 위치한다 |
좌포우해(左脯右해) |
밤,대추,감.배의 순으로 놓는다. |
조율시이(棗栗枾梨) 보통 진열의 왼쪽에서부터 대추,밤,감,배의 순서로 놓고 있다 |
흰 과일 서쪽(왼쪽) 붉은 과일은 동쪽(오른쪽)에 위치한다 |
홍동백서(紅東白西) 예서에 따라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놓고 있다. |
제사 진행 순서
제사 순서 |
내 용 |
의 미 |
조상 모심 강신/降神 |
조상을 모심 (제주) 향을 피운다 |
선조를 모심 |
문안 인사 참신/參神 |
조상에 대한 인사 (전원) 제사 참가자 모두 합동으로 두 번 절한다. |
선조에 |
첫잔 드림 초헌/初獻 |
(제주) 향을 피운다. (집사) 남자조상 잔을 제주에게 주고 술을 가득 부어준다. (제주) 모사그릇에 조금씩 세 번 붓는다. (제주) 7부 정도 남은 술을 집사에게 준다. (집사) 술잔을 밥과 국 사이에 놓고 젖가락을 음식 위에 놓는다. (제주) 두 번 절한다. | |
축문 읽기 독축/讀祝 |
(전원) 모두 꿇어 앉는다. (제주) 축문을 읽는다. (전원) 두 번 절한다. | |
둘째잔 드림 아헌/亞獻 |
첫잔드림의 절차와 동일 (단, 모사그릇에 술 따르는 절차 생략한다.) | |
끝잔 드림 종헌/終獻 |
첫잔드림의 절차와 동일 (단, 모사그릇에 술 따르는 절차 생략. 술은 7부로 따른다.) | |
식사 권유 유식/侑食 |
조상의 음식 드심 (제주) 술주전자를 들고 남자조상의 잔과 여자조상의 잔에 술을 가득 |
선조께서 |
예전에는 식사권유 후 조상께서 편히 식사를 하시라는 의미로 문 밖에 나가 잠시 기다린 다음 숭늉을 올렸다. 요즘은 집 구조상 참사자들이 잠시 무릎을 꿇고 대기한 후 숭늉을 올리기도 한다. | ||
숭늉 올림 헌다/獻茶 |
(제주) 국을 물리고 숭늉을 올린다. (제주) 밥을 숭늉에 세 숫가락 말아 놓고 젖가락을 고른다. | |
작별 인사 사신/辭神 |
조상을 보내드림 (전원) 제사 참사사 모두 합동으로 두 번 절한다. |
선조를 |
지방 소각 납주/納主 |
(제주) 향 앞에서 지방과 축문을 소각하여 재는 향로에 담는다. | |
제상 정리 철상/撤床 |
안쪽에 있는 음식부터 차례로 음식을 내린다 |
http://amitar.com.ne.kr/data/jaesa.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