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음과 모음의 순서와 명칭
한글 자모의 수는 스물넉 자로 하고, 그 순서와 이름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
ㄱ(기역) ㄴ(니은) ㄷ(디귿) ㄹ(리을) ㅁ(미음) ㅂ(비읍) ㅅ(시옷)
ㅇ(이응) ㅈ(지읒) ㅊ(치읓) ㅋ(키읔) ㅌ(티읕) ㅍ(피읖) ㅎ(히읗)
*첫소리에 올 수 있는 글자
ㄱ,ㄴ,ㄷ,ㄹ,ㅁ,ㅂ,ㅅ, ㅇ, ㅈ, ㅊ,ㅋ,ㅌ,ㅍ,ㅎ,ㄲ, ㄸ,ㅃ,ㅆ,ㅉ(초성19)
*가운뎃소리에 올 수 있는 글자
ㅏ(아) ㅑ(야) ㅓ(어) ㅕ(여) ㅗ(오) ㅛ(요) ㅜ(우) ㅠ(유) ㅡ(으) ㅣ(이)
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ㅟ,ㅚ,ㅔ,ㅐ,ㅒ,ㅖㅘ,ㅝ,ㅙ,ㅞ,ㅢ(중성21)
*끝소리에 올 수 있는 글자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ㄲ,ㄸ,ㅃ,ㅆ,ㅉ,
ㄳ,ㄵ,ㄶ,ㄺ,ㄻ,ㄼ,ㄽ,ㄾ,ㄿ,ㅀ,ㅄ(종성 30개의 받침소리)
위의 초성19개, 중성21개, 종성30개 모두 70개의 자음과 모음만으로 조합하면 세상의 모든 소리를 적을 수 있는게 우리의 글 한글이다. 21세기 우리나라가 인터넷 강국으로 국력이 세계10위권 안에 드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세종대왕이 만든, 쉽고 편리한 한글의 덕임을 알고, 아끼면서 사랑하자.
위의 자모로써 적을 수 없는 소리는 두 개 이상의 자모를 모아서 적되, 그 순서와 이름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
ㄲ(쌍기역) ㄸ(쌍디귿) ㅃ(쌍비읍) ㅆ(쌍시옷) ㅉ(쌍지읒)
ㅐ(애) ㅒ(얘) ㅔ(에) ㅖ(예) ㅘ(와) ㅙ(왜) ㅚ(외) ㅝ(워) ㅞ(웨) ㅟ(위) ㅢ(의)
사전에 올린 자모 순서는 다음과 같이 정해져있다.
자음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ㅊ ㅈ ㅉ ㅊ ㅋ ㅌ ㅍ ㅎ
모음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ㅠ ㅝ ㅞ ㅟ ㅠ ㅡㅓ
ㅣ
자음(닿소리)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옆,밑
에 모음(홀소리) ㅏ,ㅓ,ㅗ,ㅜ,ㅡ,ㅣ붙이면 소리는 이렇게 난다.
가,나,다,라,마,바,사,아,자,차,카,타,파,하
거,너,더,러,머,버,서,어,저,처,커,터,퍼,허
고,노,도,로,모,보,소,오,조,초,코,토,포,호
구,누,두,루,무,부,수,우,주,추,쿠,투,푸,후
그,느,드,르,므,브,스,으,즈,츠,크,트,프,흐
기,니,디,리,미,비,시,이,지,치,키,티,피,히
남은 인생 이렇게 계획하라 ◀99, 88, 2, 3, 4하고
1, 10, 100, 1,000, 10,000하라▶
이 공식을 풀이하면 즉 인생은 구십구세(99) 까지
팔팔(88)하게 살다가
이틀(2)만 아프다가
삼일(3)만에
죽는다(4)는 계획을 세워라
그러기 위해서는
하루 한가지(1)씩 선한 일을 행하고,
하루 열명과(10) 대화를 나누고,
하루 글씨 일백자(100)를 쓰고,
하루 글 천자(1,000)를 읽고,
하루 만보(10,000)를 걸으라 그러면 멋진 인생을!
2006.4.3일 창원복지회관 교육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