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광릉내가는 여러 노선이 합류하는 퇴계원 극동아파트 정류장에서 하차하였다. 곧 바로 광릉내가는 707번이 와서 탔다.
광릉내 종점에 도착하였다.
광릉내 종점에서 일동터미널까지 7번을 탔다.
47번국도 신도로 일부구간을 운행하다가 왕복2차선 구도로를 이용하여 일동까지 운행한다.
일동터미널에 도착하였다. 사진의 강원고속 버스는 동서울발 와수리행 노선이다.
일동터미널에서 백운계곡까지 3번을 탄다.
포천교통 3번의 본 코스는 "일동~도평리~약사계곡"인데 하루 3회는 "일동~도평리~백운계곡"을 운행한다.
* 포천교통 3번 백운계곡 시간표
일동 - 09:10 13:40 16:50
백운 - 09:40 14:10 17:20 (09:40, 14:10 출발 차량은 도평리 종점까지만 운행)
저번에 사창리 갔을때는 도평리에서 직행버스를 타야하는줄 알았는데 백운계곡에서도 탈 수 있다.
직행버스 요금이 도평리~사창리 2,200원, 백운계곡~사창리 1,800원이며 400원을 추가로 절약할 수 있다.
백운계곡에서 하차하였다. 주변의 경치가 매우 좋았으며, 주변에 등산객들이 많이보였다.
광덕고개(카라멜고개)를 알리는 표지판
25분정도 기다려 사창리가는 강원고속 직행버스에 승차하였다.
광덕고개 굴곡과 경사가 매우 심하다. 이 구간을 하루에 수 회씩 운전하시는 기사님이 존경스러울 정도다.
광덕고개 정상, 경기도 포천시와 강원도 화천군의 경계이다.
광덕고개 정상부터 사창리까지는 비교적 완만하며, 도로 옆으로 광덕계곡이 흐르고있다.
강변역에서 출발한지 3시간 30분만에 사창리에 도착하였다. 직행버스를 타면 1시간 40분 소요되니 2배 더 걸렸다.
1시간 50분동안 알바해서 5,100원 벌었다고 생각해도 되지않을까요? ㅋㅋㅋ
강변역에서 사창리까지 경기도 시내버스로 이동한 거리표와 국민카드 홈페이지에 나온 버스이용 내역이다.
시내버스 | 1-5_경기고속 | 강변역 | 퇴계원극동A | 13.9 km |
시내버스 | 707_선진상운 | 퇴계원극동A | 광능내종점 | 12.6 km |
시내버스 | 7(일동)_선진시내버스 | 광능내종점 | 일동터미널 | 25.5 km |
시내버스 | 3(백운)_포천교통 | 일동터미널 | 백운동(백운계곡) | 17.8 km |
총 69.9 km |
2007-12-02 백운동정류장 사창리터미널 직행 강원고속 1,800(현금)
총 3,900원이 소요되었으며, 동서울~사창리 직행버스 9,000원의 절반도 안되는 가격으로 무사히 도착하였다.
첫댓글 역시 환승할인의 무서움이ㅋㅋ 여행기 잘 봤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