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마-면 (大馬面)『면』영광군 3읍, 8면의 하나. 본래 영광군의 지역으로서
대안면(大安面)이라 하여 세평(細平), 섬암(蟾岩), 월암(月岩), 시목정(市木亭), 석정(石井), 방축(方丑), 행정(杏亭), 복동(福洞),
대성(大城), 소성(小城), 선산(船山), 농암(籠岩), 금동(金洞), 평금(平金), 상홍(上洪), 중홍(中洪), 하홍(下洪), 입암(立岩),
시등(市嶝), 주교(舟橋), 학동(鶴洞)의 21동리를 관할하였는데, 1914년 군면 폐합에 따라 마촌면(馬村面)의 신대(新大),
상남산(上南山), 중남산(中南山), 하남산(下南山), 평전(平田), 구천(九川), 상평(上平), 송촌(松村), 구산(九山), 의촌(儀村),
연동(蓮洞), 기동(基洞), 도롱(道弄), 신촌(新村), 흥신(興新), 내죽(內竹), 죽동(竹洞), 용동(沃洞), 군동(群洞), 구원(舊元),
신흥(新興), 원당(元堂), 신평(新平), 지장(支庄), 하화(下禾), 수동(水洞), 상금(上金), 하금(下金), 반월(半月), 월남(月南),
월산(月山),칠률(七栗), 상화(上禾),의 33동리와 도내면(道內面)의 우평리(牛坪里), 묘장면(畝長面)의 창동리(昌洞里), 전북 무장군
장자산면(莊子山面)의 지석(支石), 춘산(春山)의 각 일부 지역을 편입해서 대안, 마촌2면의 이름을 따서 대마면이라 하여 성산, 홍교, 북평,
월산, 남산, 원흥, 화평, 송죽의 8개리로 개편 관할함. 동쪽은 장성군 삼계면 서쪽은 영광읍, 남천은 묘량면, 북쪽은 전북 고창군 대산면에
닿음. ◎남산-리(南山里)(남산)『리』본래 영광군 마촌면의 지역으로서 남쪽에 큰 산이 있으므로 남산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신대리, 성남산, 중산, 하남산, 평전리, 구천리, 상평리를 병합하여 남산리와 해서 대마면에 편입됨. 고래샘(井) 남산에 있는 샘. 곽-굴『골』중남 동쪽에 있는 골짜기 괘-명단『산』인자산 남쪽에 있는 산. 괘(고양이)명당이 있다함. 구-천(九川)(귀미내)『마을』신대 서쪽에 있는 마을. 귀미-내1『마을』→ 구천 귀미-내2『내』귀미내 앞에 있는 내. 귀미냇-보『보』귀미내 앞에 있는 보. 남강-사(南岡祠)(남강서원)『고적』중남 북쪽에 있는 서원. 남강-서원(南岡書院)『고적』 → 남강사 남-산(南山)『마을』→ 남산리. 남산-저수지『저수지』→ 남산제 남산-제(南山堤)(남산저수지)『저수지』중남 동쪽에 있는 저수지. 돌-보『보』양상거릿보 밑에 있는 보. 봇물이 여러 굽이로 돌아서 흐름. 동-산『산』상평 동쪽에 있는 작은 산. 뒷-골『들』중남 뒤에 있는 들. 등-까래『들』구천 북쪽, 등성이에 있는 들. 땍깍-바우(땔깍바위, 부석)『바위』남산 동남쪽, 태청산(도산천)에 있는 바위. ①큰 바위 위에 또 다른 바위가 얹혀 있어, 그 틈으로 긴 밧줄을 넣으면 걸리지 않고 나온다 함. ②사람이 그 위에 올라서서 밟으면 소리가 나므로 "영광8괴"의 하나로 유명함. 땔깍-바위『바위』→ 땍깍바우. 마주-배기(마주평)『마을』구천 서쪽에 있는 마을. 마주-평(馬走坪)『마을』→ 마주배기. 마-치(馬峙)『고개』→ 모칫재. 망-골『골』구천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 망골-논『논』망골에 있는 논. 모칫-재(몰칫재, 마치)『고개』중남 동쪽에서 장성군 삼계면 화산리 높은 재로 가는 고개. 몰칫-재『고개』→ 모칫재. 무적-바우『바위』무적바웃골에 있는 바위. 무적-바웃골『골』안장산 동쪽에 있는 골짜기. 무적바우가 있음. 민들바우(岩) 남산에 있는 바위. 밭-논『들』서운들 밑에 있는 들. 밭-솔매1『마을』솔매 바깥쪽에 있는 마을. 밭-솔매2『산』솔매 바깥에 있는 산. 부-석(浮石)『바위』→ 땍깍바우. 분춧-재『고개』손동 북쪽에서 곽굴로 가는 고개. 비룡-등『등』중남 동쪽에 있는 등성이. 사랏-매『산』망골 남쪽에 있는 산. 사선동-재『고개』중남 동남쪽에서 장성군 삼계면 신기리 사선동으로 가는 고개. 산밑-논『들』구천 남쪽, 산 밑에 있는 들. 상-남(상남산, 상남사리)『마을』남산 위쪽에 있던 마을. 남산 저수지에 침수되어 세 집만 남았음. 상-남산(上南山)『마을』→ 상남. 상-남산리(上南山里)『마을』→ 상남. 상-평(上平, 上坪)『마을』구천 동남쪽에 있는 마을. 평동 위쪽이 됨. 새잇-들『들』하남 남쪽에 있는 들. 남산과 등까래 사이가 됨. 서원-들『들』중남 북쪽에 있는 들. 서원이 있음. 손-동『마을』상평과 평동에 걸쳐 있는 마을. 솔-매1『마을』중남 동북쪽에 있는 마을. 솔매산 밑이 됨. 솔-매2(솔매산)『산』중남 동북쪽에 있는 산. 솔매산(산) → 솔매2 솔정짓-보『보』구천 북쪽에 있는 보. 소나무 정자가 있음. 송강(송곳들)『들』하남 서쪽에 있는 들. 송곳들『들』→ 송강. 쇠정골(산곡) 남산리. 시름바우(岩) 남산에 있는 바위. 신대(新大)(신대리)『마을』상평 동쪽에 있는 마을. 상평에 병합되어 상평이라고만 함. 신대-리(新大里)『마을』→ 신대. 안-골(안굴)『굴』상평 동북쪽에 있는 골짜기. 안-굴『마을』→ 안골. 안굴-들『들』안굴에 있는 들. 안-솔매1『마을』솔매 안쪽에 있는 마을. 안-솔매2『산』솔매 안에 있는 산. 안장-산『산』큰솔밭 남쪽, 옆에 있는 산. 말안장처럼 생겼음. 양상거릿-보『보』중남 서쪽에 있는 보. 언-밑『들』한저리 남쪽에 있는 들. 언(뚝) 밑이 됨. 장구-배미『논』중남 서쪽에 있는 논. 장구처럼 잘록하게 잠겼음. 장-평『마을』중남 동남쪽, 긴 들에 있던 마을. 남산저수지에 잠겼음. 중남(中南) <중남리, 중남산리> 『마을』구천 동북쪽에 있는 마을. 중-남리(中南里)『마을』→ 중남. 중-남산리(中南山里)『마을』→ 중남. 쥐-봉『산』괘명당 앞에 있는 산. 괘명당의 괘(고양이)먹이인 쥐 형국이라 함. 지울-배미『논』중남 동쪽에 있는 논. 어느 흉년에 밀지울죽을 얻어먹고 이 논을 주었다 함. 지청-배미『논』장구배미 밑에 있는 논. 진봉-산(鎭鳳山)『산』비룡등 동쪽에 있는 산. 참나뭇-골『골』쥐봉 북쪽에 있는 골짜기. 철룡-등『등』곽굴 동쪽에 있는 등성이. 천룡제(천제)를 지냈음. 청담-재(淸潭-)『고개』중남에서 월산리 금산으로 가는 고개. 못이 되리라 하였는데 밑에 저수지가 생겨 그 말이 맞았다 함. 큰-솔밭『버덩』안골 서남쪽에 있는 버덩. 큰 솔밭이 있음. 태청-산(太淸山)『산』구천 동남쪽에 있는 산. 평-동(坪洞)『마을』중남 남동쪽에 있는 마을. 평지에 있던 마을인데 남산저수지의 물에 잠김. 평전『마을』중남 남쪽, 들 가운데에 있던 마을. 1920년 폐동됨. 하-남<하남리, 하남산리>『마을』남산 아래쪽에 있는 마을. 하-남리(下南里)『마을』→ 하남. 하-남산리(下南山里)『마을』→ 하남. 한-저리『들』송강 서쪽에 있는 들. 할미-바우『바위』구천 동남쪽에 있는 바위. 할미(할머니)가 아기를 업고 있는 것처럼 생겼음. 회깃-들『들』장평 근처에 있는 들. ⊙복평-리 (福平里)『리』본래 영광군 대안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세평리, 섬암리, 월암리, 시목정리, 석정리, 방축리, 행정리, 복동과 전북 무장군 장자산면의 지석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복동과 세평의 이름을 따서 복평리라 하여 대마면에 편입됨. 가는-들<세평, 세평리>『마을』섬암 북쪽, 가늘고 긴 들에 있는 마을. 가마구-재『고개』생애바웃골 남쪽에서 월산리 금산으로 가는 고개. 각시-둠벙『둠벙』도깨비둠벙 밑에 있는 둠벙. 복동제에 침수됨. 각시-봉『산』치매바우 남쪽에 있는 산. 산세가 순하고 곱게 생겼음. 감나무-징이『마을』→ 사챙이. 감나무등<길> 복평에 있는 길. 개랭잇-봉<계란봉>『산』감나무징이 동쪽에 있는 산. 거무-바우『바위』치매바우 밑에 있는 바위. 건-너매『골』방축 서쪽에 있는 골짜기. 계란-봉(鷄卵峯)『산』→ 개랭잇봉. 고래배미(畓) 복평에 있는 논. 고랭-골『골』가마구재 동쪽에 있는 골짜기. 공북-석(拱北石)『바위』방죽안 옆에 있는 바위. 괸-바우『바위』월암 남서쪽에 있는 바위. 굴-바우『바위』굴바웃등에 있는 바위. 굴이 있는데 호랑이가 살았었다 함. 굴바웃-등『등』내빈앗골 북쪽에 있는 등성이. 굴바우가 있음. 긴둠벙<둠벙> 복평에 있는 논. 낭-재(朗齋)『집』복골에 있는 재실. 내빈앗-골『골』방축 남쪽에 있는 골짜기. 다랑치논(畓) 복평에 있는 산. 다랑-산『산』→ 월랑산. 달강매(山) 복평에 있는 산. 달-바우1『마을』→ 월암. 달-바우2『바위』월암 남쪽에 있는 바위. 도깨비-둠벙『둠벙』석정 북쪽에 있던 둠벙 밤에 도깨비 불이 자주 비쳤다 함. 독골(林) 복동. 독-새미1<석정>『마을』방죽안 서남쪽에 있던 마을. 독-새미2<석정>『우물』석정에 있는 우물 돌 틈에서 물이 새어 나오는데 맛이 좋고 얼음처럼 차며 땀띠 치료에도 효과가 있음. 동-논<동천>『들』새봇골 밑에 있는 들. 동산-논『밭』복동 북쪽에 있는 밭. 동상례를 하는데에 드는 경비를 대려고 이 논을 팔았다 함. 동-천(東泉)『논』→ 동논. 두텁-바우1<섬암>『마을』월암 동쪽에 있는 마을. 두텁-바우2<섬암>『바위』섬암 동남쪽 길가에 있는 바위. 두꺼비처럼 생겼음. 뒷-골1『골』복골에 있는 골짜기. 뒷-골2『들』뒷골에 있는 들. 마당-바우『바위』마당바웃골에 있는 넓은 바위. 마당바웃-골『골』복동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 마당바우가 있음. 마당-배미『논』서당논 밑에 있는 논. 타작 마당이었음. 말-바우『바위』치매바우 위쪽에 있는 바위. 곡식을 되는 옛 말처럼 네모지게 생겼음. 매망-등『논』서당논 위쪽에 있는 논 매를 놓아 꿩사냥을 했음. 매망등-못『못』매망등에 있는 못. 무-내미『마을』방죽 서쪽에 있는 마을. 무추리들(野) 복평에 있는 들. 문턱-바우『바위』말바우 위쪽에 있는 턱이 진 바위. 방죽-안<방축, 방축리>『마을』무내미 남쪽에 있는 마을. 방죽 안쪽이 됨. 방죽앞-산『산』방죽안 북쪽에 있는 산. 방축(方丑)『마을』→ 방죽안. 방축-리(方丑里)『마을』→ 방죽안. 방축-제(方丑堤)『못』석정 동북쪽에 있는 못. 배-바우『바위』절텃굴에 있는 바위. 배처럼 생겼음. 번-등『밭』동논 밑, 버덩에 있는 밭. 복-골<복동, 복치>『마을』석정 서북쪽에 있는 마을. 복골-저수지<복평제>『저수지』복동 북쪽, 어귀에 있는 저수지. 복-동(福洞)『마을』→ 복골. 복동-제(福洞堤)『저수지』월암 동남쪽에 있는 저수지. 복-치(伏雉)『마을』→ 복골. 복평-제(福坪堤)『저수지』→ 복골저수지. 사챙이<시목정, 감나무징이>『마을』방죽안 북서쪽에 있는 마을. 사창(社倉)이 있었음. 새-보『보』새봇골에 있는 보. 새봇-골『들』복골 앞에 있는 들. 새보가 있음. 새-터『마을』석정 서쪽에 새로 된 마을. 생애-바우『바위』생애바웃골에 있는 바위. 생애바웃-골『골』진장등 남쪽에 있는 골짜기. 생애바우가 있음. 서당-논『논』복골 서남쪽에 있는 논. 석섬-봉『산』각시봉 남쪽에 있는 산. 선바우가 있음. 석-정1(石井)『마을』→ 독새미1. 석-정2(石井)『우물』→ 독새미2. 선-돌<입석>『바위』선들에 우뚝 서 있는 바위. 선-들『들』섬암 북쪽에 있는 들. 선돌이 있음. 선-바우『바위』성암에 서 있는 바위. 섬-배미『논』월암 북쪽에 있는 논. 섬처럼 사방으로 물이 흐르고 있음. 섬-암1(蟾岩)『마을』→ 두껍바우1. 섬-암2(蟾岩)『바위』→ 두껍바우2. 세-평(細坪)『마을』→ 가는 들. 세평-리(細坪里)『마을』→ 가는 들. 속-여수『들』여숫들 서쪽에 있는 들. 솔너메들(野) 복평에 있는 들. 수박-등『등』방죽안에 있는 등성이. 시목-정(枾木亭)『마을』→ 사챙이. 시앙거리-못『못』복골저수지 밑에 있는 못. 시암(샘)이 있었음. 아래-대미『마을』복동 아래쪽에 있는 마을. 아래맏바우(岩) 복평에 있는 바위. 양다리-쪽『골』복동 남쪽에 있는 골짜기. 엉굿-재『고개』방축 동쪽에서 성산리로 가는 고개. 여수-평(余水坪)『들』→ 여숫들. 여숫-들<여수평>『들』월암 동쪽에 있는 들. 엿새둠벙<둠벙> 복평에 있는 둠벙. 웃-대미『마을』복동 위쪽에 있는 마을. 월랑-산(月朗山)<다랑산>『산』월암 남쪽에 있는 산. 월-암(月岩)<달바우>『마을』복동 서북쪽에 있는 마을. 입-석(立石)『바위』→ 선돌. 장꽝-배미『논』방죽안 북쪽에 있는 논. 절탯-제『고개』복동에서 남산리 안골로 넘어가는 고개. 정지나뭇-등『등』굴바웃등 서쪽에 있는 등성이. 정지(정자)나무가 있었음. 좁은-골『골』큰골 남쪽에 있는 좁은 골짜기. 지각샘(井) 복평에 있는 샘. 진상-굴『들』동논 밑에 있는 들. 진상-배미『논』진상굴에 있는 논. 진장-등『등』좁은골 남쪽에 있는 긴 등성이. 찔넘-산『산』월암 동남쪽에 있는 산. 초붕-골『골』매망등 서쪽에 있는 골짜기. 초붕(초빈)이 있었음. 치매-바우『바위』치매바웃골에 있는 바위. 치매(치마)처럼 생겼음. 큰-골『골』양다리쪽 남쪽에 있는 큰 골짜기. 팽풍-바우『바위』팽풍바웃골에 있는 바위. 팽풍바웃-골『골』치매바웃골 위쪽에 있는 골짜기. 효열-문(孝烈門)『정문』사챙이에 있는 정문.
⊙성산-리(城山里)<성매, 성산>『리』본래 영광군 대안면의 지역으로서 고성산(도 산천) 밑이 되므로 성매 또는 성산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성산리, 용암리와 금동, 평금, 상홍, 행정의 각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성산리라 해서 대마면에 편입됨. 가는절-터『골』농암 서쪽에 있는 골짜기. 가래-재『고개』선산 동북쪽에 있는 고개. 개맷-등『등』선산 남동쪽에 있는 등성이. 개칫-들『들』<계칫들>『들』평금 북쪽에 있는 들. 객사-배미(客舍-)『논』대성 앞 남쪽에 있는 논. 대안향(大安鄕)이 있을 때 객사가 있었다 함. 게-재『고개』→ 깃재. 계칫-들『들』→ 개칫들. 고우-논『논』수우논 위쪽에 있는 논. 물이 많음. 꼭두말배미(畓) 성산에 있는 논. 구수-배미『논』선산 앞에 있는 논. 구수(구유)처럼 생겼음. 군죽-산(軍竹山)『산』→ 깃대산. 금-동<쇳골>『마을』→ 평금. 금천-리(金川里)『마을』→ 평금. 기잇-재『고개』→ 깃재. 깃대-산<구죽산>『산』놋점고량 남쪽에 있는 산. 깃-재<기잇재, 게재>『고개』성산리와 장성군 삼계면 부성리의 경계에 있는 고개. 깃재-꼬랑『들』대성 북쪽에 있는 들. 남살-매『산』선산 동남쪽, 뒤쪽에 있는 산. 남산리에 살던 이씨의 묘가 있음. 남생이바우(岩) 성산에 있는 바위. 농-바우『바위』농바웃골에 있는 바위. 농바웃-골1<농암리>『마을』대안제 동남쪽에 있는 마을. 농바웃-골2『골』대안제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 놋점-고랑2『마을』평금 동쪽에 있는 골짜기. 놋그릇 점(店)이 있었음. 농암-리(弄岩里)『마을』→ 농바웃골1. 당산-재이<당산징이>『들』대성 동쪽에 있는 들. 당산나무(은행나무)가 있었음. 대-성(大城)<대안>『마을』선산 동북쪽에 있는 마을. 전에 대안향(大安鄕)이 있었음. 대안(大安)『마을』→ 대성. 대안면소-터(大安面所-)『터』성산리에 있는 대안면소의 터. 대안-제(大安堤)『못』대성 동남쪽에 있는 못. 1935년 준공됨. 독적-굴『골』선산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 동헌-터『밭』대성 밑에 있는 밭. 된-재『고개』선산 남동쪽에서 장성군 삼계면 화산리로 넘어가는 고개. 가팔로서 오르기가 되다 함. 동덩-매『산』선산 남동쪽, 들 가운데에 있는 산. 등잔-거리『골』고성산(군 산천) 복판에 있는 골짜기. 딱밭-골『골』대성 남쪽에 있는 골짜기. 딱(닥)밭이 있었음. 딸바우(岩) 성산에 있는 바위. 마당-배미『논』대성 앞에 있는 논. 마당처럼 넓고 평평함. 말매(山) 산명. 망-논『골』선선 북쪽에 있는 골짜기. 매생잇-보『보』대성 앞에 있는 보. 몰-무덤『묘』평금 남서쪽에 있는 큰 무덤. 옛날 어느 장군의 말이 묻혔다 함. 바우-배기『논』행정 앞에 있는 논. 바우(바위)가 박혀 있음. 봉씨-도선산『산』농암리 뒤쪽에 있는 산. 사지논(畓) 성산에 있는 논. 빈대골<산곡> 성산에 있는 산 골. 봉치(峙) 성산에 있는 재. 사주-목『고개』큰골 북쪽에 있는 고개. 뱀처럼 구불구불함. 사짓-보『보』평금 남쪽에 있는 보. 서당-골1『골』선산 남쪽에 있는 골짜기. 서당이 있었음. 서당-골2『밭』서당골에 있는 밭. 선-산(船山) <성저, 설밑, 성저리, 성밑>『마을』평금 서남쪽에 있는 마을. 배처럼 생겼다 함. 선산-리(船山里)『마을』→ 선산. 선산-제(船山堤)『못』선산 동남쪽에 있는 못. 설-밑『마을』→ 선산. 성두-평(城頭坪)『들』개칫들 위쪽에 있는 들. 성둣-보『보』성두평에 물을 대는 보. 성-매『마을』→ 성산리. 성-밑『마을』→ 선산. 성-산(城山)『마을』→ 성산리. 성-저(城底)『마을』→ 선산. 성저-리(城底里)『마을』→ 선산. 소성-리(小城里)『마을』대성 남쪽에 있는 마을. 대성리와 병합하여 "대성"이라고만 함. 소성-앞『들』소성리 앞에 있는 들. 솔-터『들』대성 남쪽에 있는 들. 솟대가 섰었음. 쇠-내『마을』→ 평금. 쇠내장-터『터』쇠내 앞에 있는 터. 시장이 섰었음. 쇳-골『마을』→ 금동. 수우-논『논』선산 앞에 있는 논. 물이 많음. 숲-밭『밭』선산 남쪽에 있는 밭. 쉬는-바우『바위』쉬는바웃등에 있는 바위. 넓고 평평하여 나무꾼들이 쉬는 곳임. 쉬는바웃-등『등』선산 남쪽에 있는 등성이. 쉬는 바우가 있음. 쉰거리-꼬랑『골』선산 서쪽에 있는 골짜기. 승전-등(勝戰-)『등』→ 신경등. 시새암(井) 성산에 있는 샘. 신경-등<승전등>『등』선산 동쪽에 있는 등성이. 쌍-고랑『골』평금 북쪽에 있는 골짜기. 아들바우(岩) 성산에 있는 바위. 안-산『산』설밑 앞에 있는 산. 앞냇-갈『들』선산 앞에 있는 들. 야고개(峙) 성산에 있는 고개. 여시바우(岩) 성산에 있는 고개. 요강-배미『논』평금 북쪽에 있는 논. 흉년에 요강과 바꾸었다 함. 용수-배미『논』구수배미 밑에 있는 논. 용수처럼 생겼음. 용에-처리<용오처리>『등』큰골 서쪽에 있는 등성이. 이앙새암(井) 성산에 있는 샘. 자래-배미『논』쇠내 동쪽에 있는 논. 자래(자라)처럼 생겼음. 자차-논『논』선산 앞에 있는 논. 잔-등『등』대성 동쪽에 있는 작은 등성이. 장곡-재『고개』깃재와 선산 사이에 있는 고개. 장-골『골』딱밭골 남쪽에 있는 긴 골짜기. 장구-배미『논』평금 남쪽에 있는 논. 장구처럼 잘록하게 생겼음. 장애-배미『논』깃재꼬랑에 있는 논. 장애(장어)처럼 생겼음. 주천자-묘(朱天子墓)『터』깃재 북쪽, 고성산에 있는 터. 주천자의 묘가 있었다 함. 예로부터 명당터로 유명하지만 이곳에 묘를 쓰면 가뭄이 심하게 든다 하여 암장을 못하도록 알리고 있음. 째진-봉『산』고성산 남쪽에 있는 산. 칠성-대(七星臺)『대』주천자묘 동쪽에 있는 돈대. 큰-골『골』깃재 서쪽에 있는 큰 골짜기. 투구-봉『산』평금 북쪽에 있는 산. 딱밭골<산골> 평-금<쇠내, 금천리, 금천>『평금』대성 동북쪽에 있는 마을. 평금-보『보』평금 앞에 있는 보. 평금-제(平金堤)『못』선산 동북쪽에 있는 못. 평금-천(平金川)『내』평금 서북쪽에 있는 내. 함정-배미『논』선산 동쪽에 있는 논. 옛날, 짐승을 잡으려고 함정을 파 놓았었다 함. 행-정(杏亭)『마을』선산 북쪽에 있는 마을. 은행나무 정자가 있었음.
⊙송죽-리 (松竹里) 『리』본래 영광군 마촌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 지역 폐합에 따라 송촌리, 구산리, 의촌리, 연동리, 기동리, 노동리, 신촌리, 흥신리, 내죽리,죽동리, 용동리와 무장면의 창동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송촌과 죽동의 이름을 따서 송죽 리라 하여 대마면에 편입됨. 가루-개『마을』신촌 남쪽에 있는 마을. 가재-굴 『들』이촌 서남쪽에 있는 들. 개-술 『마을』 동실 동쪽에 있는 마을. 구-미 『마을』→구산. 구-산(九山, 龜山) <구미> 『마을』 의촌 북쪽에 있는 마을. ①앞산의 지형이 거북처럼 생겼음. ②구미(후미)옆이 됨. 구산-앞 『들』구산 앞에 있는 들. 구-점 『고개』→ 기동. 기-동 <구점,점텃굴> 『마을』 의촌 동남쪽에 있는 마을. 기동-재 『고개』의촌에서 기동으로 가는 고개. 노링이-삐알 『산』 죽동 남동쪽에 있는 산. 논저루 <동실,신촌> 『마을』송죽리에서 가장 큰 마을. 농섯-굴1『들』 농섯굴에 있는 들. 농섯-굴2<농소곡> 『골』 닷마지깃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 농소-곡(弄笑谷)『골』→농섯골2 느삿-재『고개』 신촌 동남쪽에서 묘량면 삼효리로 넘어가는 고개. 니거릿-재 『고개』죽동 북쪽에 있는 고개. 죽동, 상평, 안터, 정삼의 네 갈랫길이나 있었음 닷마지깃-골1『들』 닷마지깃골에 있는들. 대-술『마을』→대실. 대-실<대술, 죽동, 죽동리> 『마을』 신동 동쪽에 있는 마을. 대나무가 많음. 도롱-골『마을』 가루개 남쪽에 있는 마을. 산이 앞을 둘러막고 있어 지형이 돌아앉아 있는 것처럼 생겼음. 도롱이방죽(池)송죽에 있는 방죽. 동-실 『마을』→논저루. 동실-재 『고개』 죽동에서 신촌으로 가는 고개. 두리-봉 『산』웃馱 남쪽에 있는 산. 둥그랗게 생겼음 뒷-고랑『들』 이촌 뒤쪽에 있는 들. 떡-바우『바위』 떡바웃등에 있는 바위. 떡처럼 생겼음 떡바웃-등『등』 물바춤 북쪽에 있는 등성이. 떡바우가 있었음 똥-매『산』탕건바우 밑에 있는 산. 매주-배기『골』어럭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 마-치(馬峙) <마치재> 『고개』 죽동 동남쪽에서 장성군 삼서면 학성리로 넘어가는고개. 마치-재『고개』→마치. 매-봉 『산』논저루 서쪽에 있는 산. 매봉-재『고개』 죽동에서 신촌으로 넘어가는 고개. 돌-명당 『산』 풍취나대 동쪽에 있는 산. 마치 밑인데 몰(말) 명당이 있다 함. 물-바춤『골』 몰방앳골 북쪽에 있는 골짜기.물이 많음. 물방앳-골 <용동, 용동리. 『마을』 연동 동남쪽에 있는 마을. 깃-재 <기잇재,게재> 『고개』 성쪽에 있는 등성이. 바랫-들 『들』 죽동 앞에 있는 들. 바래(바리때) 처럼 생겼음. 방죽-안 <연동>『마을』 용등 북쪽에 있는 마을. 방죽 안쪽이 됨. 방-터 『산』 정삼 앞에 있는산. 발대-실 『마을』 대실 바깥쪽에 있는 마을. 뽕나무정-골 『골』육덕골 북쪽에 있는 골짜기. 큰 뽕나무가 있었음. 새수밭-골 『골』 정삼 동쪽에 있는 골짜기. 송-촌(松村) 『마을』 의촌 서북쪽에 있는 마을. 신-동(新洞) 『마을』 의촌 동남쪽에 새로된 마을. 신-촌(新村) 『마을』→논저루. 씨암-고랑『들』 이촌 서쪽에 있는 들. 아랫-대술『마을』 대술 아래쪽에 있는 들. 안-대술『마을』 대술 안쪽에 있는 마을. 애기-바우『바위』 큰골 동남쪽에 있는 마을. 어럭-골『골』 송촌 서쪽에 있는 골짜기. 연-동 (連洞) → 방죽안. 용-봉(溶奉) 『마을』→ 물방앳골. 용동-리(溶洞里) 『마을』 물방앳골. 웃-대술『마을』 정삼 남쪽에 있는 마을. 웃-馱『마을』 송촌 위쪽에 있는 마을 육덕-곡(毓德谷)『골』→육덕골. 육덕-굴 <육덕곡> 『골』노링이삐알 북쪽에 있는 골짜기. 의-촌(儀村) <이촌> 『마을』 죽동 서북쪽에 있는 마을. 작은-골 『골』 육덕골 동쪽에 있는 작은 골짜기. 절텃-골『골』뽕나무정골 북쪽에 있는 골짜기. 절이 있었음. 정-삼 『골』 절텃골 북서쪽에 있는 골짜기. 죽-동(竹洞) 『마을』→대실. 죽동-리(竹洞里) 『마을』→대실. 참새밋-재『고개』 연동 서쪽에 있는 고개. 초붕-골『골』 하상골 남쪽에 있는골짜기. 초붕(초빈)을 했음. 큰-골1『골』 육덕굴 동쪽에 있는 골짜기. 큰-골2『들』 이촌 앞에 있는 큰 들 탕건-바우『골』 정삼 서쪽에 있는 골짜기. 탕건바우가 있음 태-미『산』두리봉 서쪽에 있는 산. 테를 맨 것처럼 생겼음. 태미-비탈 『들』→태빗다리. 태미빗-다리<태미비탈> 『들』 태미 밑에 있는 들. 풍취-나대 『산』 농섯굴 남쪽에 있는 산. 풍취나대의 명당이 있다 함. 풍취나댓-재『고개』 풍취나대에 있는 고개. 하상-골<화상동> 『골』마주배기 남쪽에 있는 골짜기. 화산-동 『골』→ 하상골. 황수-버등『버덩』 새수밭골 북쪽에 있는 버덩. 와우(臥牛)..형국으로 생겼음. 흥신-리(興新里) 『마을』연동 동북쪽에 있는 마을. ⊙원흥-리(元興里) 『리』 본래 영광군 마촌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군동리, 구원리, 신흥리, 원당리, 신평리, 지장리, 하화리, 수동리와 도내면의 우평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원당과 신흥의 이름을 따서 원흥리라 해서 대마면에 편입됨. 개장-굴 『골』 <가장골> 원당 뒤에 있는 공도묘지까지의 골. 군웅등(群雄登) 『산』원당 앞에 있는 산. 갱잇-들 『들』 갱잇보의 물을 대어 농사를 짓던 들. 갱잇-보 『보』 구렁논보 동남쪽에 있던 보. 고령교(高靈橋) 『다리』 군동 서북쪽, 고창군과 영광군 경계에 있는다리. 1935년에 준공됨. 구렁논-보 『보』산전잇보 동남쪽에 있는보. 고르메논(畓) 원흥에 있는 논. 구-원당(舊元堂) 『마을』 원당의 옛 마을. 군-동(郡洞) <권동,궁동> 『마을』 원흥리에 있는 마을. 궁-동(弓洞) 『마을』→군동. 권-동(權洞) 『마을』→ 군동. 김-효자문(金孝子門) 『정문』 원당 서쪽에 있는 김효자의 정문. 눈-걸<눈굴<와동> 『골』장보 남쪽에 있는 골짜기 눈걸방죽(池)원당 뒤 눈걸에 있는 못. 눈-굴『골』→눈걸. 다리목(路) 원흥. 달강-산 <월강산>『산』군동 남쪽에 있는 산 도지기(野) 도지기들. 두가래-논『논』 순청배미 위쪽에 있는 논. 뒷-골 『골』마전 북쪽, 들에 있는 마을. 들동촌-들 『들』 들동촌 근처에 있는 들. 따아보『보』원흥에 있는 보. 마-전(麻田) 『마을』→삼밭. 마챗-보『보』원당 서남쪽에 있는 보. 대마면과 묘량면의 경계가 됨. 방애-머리 『논』 수만수베미 밑에 있는 논. 물방아가 있었음. 밭-군동『마을』 군동 바깥쪽에 있는 마을. 벌-명당<보홧등> 『등』장보 서남쪽에 있는 등성이. 보화-등 『등』→벌명당. 산전잇-보『보』 군동 앞에 있는 보. 산정-재 (山亭-) 『산』 군동 북쪽에 있는 산. 삼-밭<마전> 『마을』군동 동북쪽에 있는 마을. 삼밭들(野)원흥에 있는 들. 삼효-여(三孝閭) 『정문』 원당 서북쪽에 있는 정문. 새-보『보』마챗보 밑에 있는 보. 새-터『마을』→원당. 생-다리『들』원당 남쪽에 있는 들. 서는 -들<서운평> 『들』장보 북쪽에 있는 들. 서는-보『보』서는들에 물을 대는 보. 선운-평(仙雲坪)『들』→서는들 섬-배미『논』원당 앞에 있는 섬처럼 생긴 흙무데기가 있는 논. 솔등『산』원당 서쪽에 있는 산. 수만수-배미『논』 장보 서북쪽에 있는 논붙이. 순천-배미『논』 장보 북쪽에 있는 보. 신-평(新坪) 『마을』→장보. 신흥-리『마을』→원당 서북쪽에 있었던 마을. 아삿-보<애사릿보> 『보』중강들 서쪽에 있는 보. 안-군동『마을』군동 안쪽에 있는 마을. 안터-꼬랑 『골』 군동 남쪽에 있는 골짜기. 애사릿-보 『보』→아삿보. 옥녀-봉(玉女峯) <함박산, 함박매> 『산』원당 동쪽에 있는 산. 옥녀탄금형(玉女彈琴形)의 명당이 있다 함. 와-동(臥洞)『골』→눈걸 용호배미『들』원당 앞에 있는 논 원-논 『논』 원보 남쪽, 옆에 있는 논. 원당(元堂) <새터>『마을』구원당 동남쪽에 있는 새로 된 마을.. 원당-들『들』원당 앞에 있는 큰 들. 입석리부터 묘량에 걸쳐 있음. 원당-보(元堂洑)『보』구원당에 있는 보. 원당-제(元堂堤) 『못』 원당 동남쪽에 있는 저수지. 원-보(院洑) 『보』원봇들에 물을 대는 보. 원보-평(원보평)『들』→원봇들. 원봇-들<원보평> 『터』원보의 물을 대어 농사를 짓는 들. 원집-터 『터』원논 위쪽에 있는 터. 원흥-교(元興橋) 『다리』원당 동북쪽에 있는 다리. 1935년 준공. 월강-산(月崗山) 『산』→달강산. 유왕-샘『우물』 안터꼬랑 위쪽에 있는 샘. 작은뒷-굴 『들』 원당 뒤쪽의 작은 골의 논. 장구-배미『논』장보 밑에 있는 논. 장구처럼 생겼음 장-보(長保) <신평> 『마을』 마진 서쪽에 있는 마을. 장숫-재 『마을』원당 동북쪽에서 군동을 넘어가는 고개. 절너매-방죽 『봇』절너에 있는 못. 정렬-각(旌烈閣)『정문』원흥리에 있는 열녀문. 중강-들 『들』장보 동쪽에 있는 들. 중강-보 『보』중강들에 물을 대는 보. 지청-매 <개청(개청)산>『산』원당 서쪽에 있는 산 칠율-고랑 『골』원흥리에 있는 골짜기. 큰뒷-굴『들』원당 뒤 눈골 앞까지의 논. 함박-매『산』 옥녀봉이 있는 산. 함박처럼 둥그렇게 생겼음. ⊙월산-리(月山里) 『리』본래 영광군 마촌면의 지역으로서 월랑산의 이름을 따서 월산 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폐합에 따라 상금리, 하금리, 반월리, 월남리 ,지장리, 신평리 전북 무장군 장자산면 춘산리의 각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월산리라 해서 대마면에 편입됨. 가마구-재『고개』금산 북쪽에서 복평리로 넘어가는 고개. 가막-골 『골』웃새우개 동쪽에 있는 골짜기. 각시-봉『산』옥녀봉(군 산천) 밑에 있는 산. 감나뭇-골『골』조개바우 동쪽에 있는 골짜기. 감나무가 있었음. 광텃-보『보』금산 동쪽에 있는 보. 광산김씨 집의 광자리였음. 굴바우『바위』용맷골 북쪽에 있는 바위. 금곡-제(金谷堤)『못』 금산 동쪽에 있는 못. 1957년 준공. 금-산 (金山) <상금>『마을』반월 서남쪽에 있는 마을. 금산-제(金山堤) 『못』 금산 북쪽에 있는못. 1944년 준공. 남산제-수로(南山堤水路)『물길』 월산 서쪽에 있는 남산제의 봇물길. 내-계1(內溪) 『마을』내계에 있던 마을. 내계2(內溪) 『들』성터 남쪽에 있는 들. 마을이 있었음. 다래밋-골 『골』문드래미 동쪽에 있는 골짜기. 다래밋골-들 『들』다랫밋골에 있는 들. 당산(堂山) 『바위』상금 앞에 있는 바위. 대마-교(大馬橋) 『다리』 월산 동쪽에 있는 다리. 1927년 준공. 대밋논-보『보』금산 서쪽에 있는 보. 둥둥-매 『산』→문드래미. 등잔-거리『골』각시봉 남쪽에 있는 골짜기. 마촌면소-터(馬村面所-) 『터』 월산리에 있는 마촌면 사무소의 터. 맨산-등『등』배바웃재 동쪽에 있는 등성이. 명월-산(明月山)『산』여시굴 남쪽에 있는산 문-드래미<둥둥매> 『산』 가막골 동쪽에 있는 산. 물통바우(岩) 월산에 있는바위. 반월(半月) 『마을』하금리 동북쪽에 있는 마을. 방죽배미-보『보』금산 북쪽에 있는 보. 배바웃-재『골』 안다래밋골 동쪽에 있는 마을 병풍바우(岩) 월산에 있는 바위. 부엉-바우『바위』 살미샛굴 남쪽에 있는 바위. 부엉새집이 있었음. 불당-재(佛堂-)『고개』 월산 동쪽에 있는 고개. 불당이 있었음. 사모-바우『바위』석장 앞에 있는바위. ①사모처럼 생겼음. ②해마다 정월 보름날 당산제를 지냄. 산밑-논『논』안산 밑에 있는 논. 살미샛-골 『골』등잔자리 남쪽에 있는 긴 골짜기. 상-금(上金)『마을』→금산. 상-보(上洑)『보』굴바우 밑에 있는 보. 근처의 보 중에서 가장 위쪽임. 상봇-들 『들』굴바우 밑에 있는 들. 새우-개『고개』월산 동쪽에서 반월로 가는 고개. 새우처럼 생겼음. 생애바우(岩) 월산에 있는 바위 서랭잇-보 『보』금산 동남쪽에서 있는 보. 석-장(石場)『들』 저드리 밑에 있는 들. 석장장-터『마을』 석장에 있는 마을. 성-터『마을』 금성 남쪽에 있는 마을. 토성(土城)가 있음. 솔-청『논』 웃새우개 밑에 있는 논 아랫-내기『논』 웃내기 밑에 있는 논. 아랫-새우개『고개』새우개 아래쪽에 있는 고개. 안-다래밋골『골』 다래밋골 안쪽에 있는 골짜기. 안-산(案山)『산』 금산 앞에 있는 산. 마을의 안대가 됨. 어미논-보『보』대밋논보 밑에 있는 보. 땅이 기름지고 물을 대기가 편리하므로 근처에 서 으뜸이 됨. 여시-굴『골』칭치나뭇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 여시(여우) 굴이 있었음. 영암-동『마을』월산 남쪽에 있는 마을. 와디『버덩』 불당재 남쪽에 있는 넓은 버덩. 외야끝-샘『우물』 초붕골 서쪽에 있는 샘. 용맷-골『골』 부엉바우 남쪽에 있는 골짜기. 웃-내기『논』호무부리 밑에 있는 논. 웃-새우개『고개』새우개 위쪽에 있는 고개. 웃-통『골』처장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 월-산(月山)『마을』→월산리. 작은-와디『골』 와디의 작은 골짜기. 재금-바우『바위』 치매바우 남쪽에 있는 바위. 저드리1『들』 월산 남쪽에 있는 들. 저드리2『논』 저드리에 있는 논. 절텃-굴『골』감나뭇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 감나무가 있었음. 정지-들 <지와논> 『들』상봇들 밑에 있는 들. 조개-바우『바위』 재금바우 남쪽에 있는 바위. 조개처럼 생겼음. 주경섯-샘『우물』 웃통 남쪽에 있는 보. 중-보 『보』월산 밑, 복판에 있는 보. 중산-골『골』와디 북쪽에 있는 골짜기. 지와-논『들』→ 정짓들. 참-새미 『우물』 영암동에 있는 샘. 바위 솟아나오는데 물이 매우 참. 처장-굴『골』월산 동쪽에 있는 골짜기. 초붕-골『골』안산 남쪽에 있는 골짜기. 치매바우-골『골』 용맷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 층으로 되었음. 큰-봉『산』절텃굴 동쪽에 있는 산. 통-배미『논』광텃보 위쪽에 있는 논. 하금-리(下金里)『마을』 월산 동북쪽에 있는 마을. 호무-부리『논』장배미 밑에 있는 논.
⊙홍교-리(洪橋里) 『리』본래 영광군 대안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중홍리, 입암리, 시장리, 주교리, 학동과 평금리, 상흥리, 전북 무장군 장자산면의 소성리, 지석리의 각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중흥과 주교의 이름을 따서 홍교리라 해서 대마면에 편입됨. 가는-들<세평> 『들』 중홍 남쪽에 있는 들. 좁고 기다랗게 생겼음. 개-치<상홍> 홍거리 위쪽에 있는 마을. 거문-등1『마을』 거문등 밑에 있는 마을. 거문-등2『등』 중홍 북쪽에 있는 등성이. 고산앗-골 『골』 주교 북동쪽에 있는 골짜기. 궁개-논『논』 중홍 동쪽에 있는 논. 산등성이 너머쪽임. 나물방죽(池) 홍교에 있는 방죽 너매-馱『마을』 학동 서쪽에 있는 마을. 높은배미『논』 주교 남쪽, 높은 지대에 있는 논. 다-논『논』중홍 서쪽에 있는 논. 배-다리<주교>『마을』 중홍 서쪽에 있는 마을. 번짓-들『들』주교 남서쪽에 있는들. 부-곡(富谷)『마을』월평 북쪽에 있는 마을. 부곡-등『등』부곡 북쪽에 있는 등성이. 불그내-드기『마을』중홍 동쪽에 있는 마을. 황토 언덕 밑이 됨. 불그냇-들『논』불그내드기에 있는 논. 불무통-배미『논』 중홍 앞에 있는 논. 비석-거리<하홍> 『마을』중홍 서쪽에 있는 마을. 영광 고을 원의 선정비들이 있었음. 사린-논『논』 중홍 북쪽에 있는 논. 상-홍(上洪) 『마을』→ 개치. 선-고라실『들』 중홍 북쪽에 있는들. 선독-거리 <입석,입석리> 『마을』 장등 남쪽에 있는 마을. 선돌이 있음. 선-돌<입석> 『바위』 선독거리에 우뚝 선돌. 섬-배미『논』높은 배미 밑에 있는 논. 세-평『들』→ 가는들. 시장(市場) 『마을』→ 장등. 시장-리(市場里) 『마을』→ 장등. 월-평『마을』 장등 남쪽에 있는 마을. 월평-뒷골『들』월평 뒤쪽에 있는 들. 일해-장등『마을』→ 장등. 입-석1(立石)『마을』→ 선독거리. 입-석2(立石) 『바위』→ 선돌. 입석-리(立石里) 『마을』→ 선독거리. 작은나무골<산골> 홍교에 있는 산골. 장-등<시장, 일해장등, 시장리> 『마을』 주교 서쪽에 있는 마을. 장이 섰는데 고창군 대 산면으로 옮겼음. 장등-번디기『버덩』 장등 위쪽에 있는 버덩. 장-배미『논』 주교 앞에 있는 긴 논. 주교(舟橋)『다리』→ 배다리. 주교-리(舟橋里)『못』주교 서쪽에 있는 못.1956년 준공. 중-홍(中洪) <홍거리,홍교리> 『마을』 주교 동쪽에 있는 마을. 태-봉(台峯)『산』학동 북동쪽에 있는 산. 하-홍(下洪)『마을』→ 비석거리. 학-동(鶴洞)『마을』 중홍 서쪽에 있는 마을. 학동-앞『들』 학동 앞에 있는 들. 학동-제 (鶴洞提) 『못』학동 동북쪽에 있는 못. 1943년 준공. 허천골(산곡) 홍교. 홍거-리『마을』→ 중홍. 홍교-리(洪橋里)『마을』→ 중홍. ⊙화평-리(禾坪里) 『리』본래 영광군 마촌면의 지역으로서, 숫말 또는 수촌, 화리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칠률리, 농주리, 상화리, 산정리, 하수리, 수동 일부를 병합하여 화평리라 해서 대마면에 편입됨. 간대-배미『논』등설잇들에 있는, 간대처럼 긴 논. 갱이-샘『우물』 하화 서북쪽에 있는 샘. 고리-매 『산』칠률 북쪽에 있는 산. 구렁-묵『산』상화 동쪽에 있는 산. 농주(弄珠)『마을』칠률 서남쪽에 있는 마을. 다래미-산<조산> 『산』칠률 앞에 있는 작은 산. 당산-밑(堂山) 『들』 하화 밑에 있는 들. 당산 밑이 됨. 도깨비-둠벙『논』 마찻보 서쪽에 있던 논. 날이 ?으면 도깨비불이 보인다 함. 등설잇-들『논』 마챗보 서쪽에 있는 논. 마찻-보<마챗보, 마치보> 『보』 하화 서북쪽에 있는 보. 송죽리의 마칫재에서 발원함. 마찻봇-들『들』 마찻보의 물을 대어 농사를 짓는들. 마챗-보『보』→ 마찻보. 마치-보(馬峙洑) 『보』→ 마찻보. 미시맷-굴『들』칠률 남쪽에 있는 들. 방애-드리『들』 상화 남쪽에 있는 들 물방아가 있었음. 방애드리-샘『우물』방애드리에 있는 샘. 버들-굴『들』산정 북쪽에 있는 들. 버들이 많았음. 범-사랭이『마을』 농주 동남쪽에 있는들 벗-들『들』 하화 서쪽에 있는 들. 마찻보의 물을 댐. 사낙-굴 <사내평>『들』하화 남쪽에 있는 들. 사내-평(沙乃坪)『들』→ 사낙굴. 산-정(山亭)『마을』하화 동남쪽에 있는 마을. 상-화 (上花)『마을』→ 웃숫말. 선-들『들』하화 서쪽에 있는 들. 선돌이 있음. 성적-굴『들』농주 동남쪽에 있는 들, 근처에 절이 있었음. 솔룡-등『등』수사래 동쪽에 있는 등성이. 수-동(水洞)『마을』숫말 남쪽에 있는 마을. 수-사래『들』하화 서쪽에 있는 들. 수살-거리『들』수사래 서쪽에 있는 들 수-촌『마을』→ 화평리. 숨말(村)화평에 있는 마을. 숫-말『마을』→ 화평리. 쏘-둠벙『논』 평정샘 서쪽에 있는 논. 엄남-굴(엄목평)『들』 하화 동쪽에 있는 들. 엄나무가 있었음. 엄목-평(嚴木坪) 엄남굴. 옷-밤굴<칠률>『마을』 상화 북쪽에 있는 마을. 웃-숫말<상화>『마을』 숫말 위쪽에 있는 마을. 원-하평『마을』→하화. 장구-배미『논』 섬배미 밑에 있는 논. 장구처럼 잘록하게 생겼음. 절-터『터』농주 동남쪽에 있는 터, 절이 있었음. 조-산(造山)『산』→ 다래미산. 칠률(漆栗)『마을』→ 옷밤골. 평장-샘(平庄-)『우물』→ 평정샘. 평정-샘<평정샘>『우물』하화 서남쪽에 있는 샘. 하-화(下禾) <원화평> 『마을』상화 아래쪽에 있는 마을. 허-바대『들』마찻봇들 동쪽에 있는 들. 헛-샘『우물』하화 동쪽에 있는 샘. 허드렛물로 쓰임. 화-리(禾里)『마을』→ 화평리. |
출처: 아름다운 영광 원문보기 글쓴이: 아름다운 영광
첫댓글 연구좀 해야 겠습니다...
총무님 연구할것은 없고 자기네 마을 옛날 유래정도는 알겸해서 퍼왔네.자기마을에 대해서 알아야 면장
큰대에 말마 (대마) 펼처 놓으니까 크네...방축은 (사챈)이라고 부르고 있지..
그러한 유레가 있다하더군
사챙이
복잡하네
복잡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