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사역과 준비
일정
일정과 대략적인 경비, 그리고 필요한 준비사항들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9/29(월)/ 프놈펜도착 - 꼼뽕스프이동(20:00) - 저녁 집회 및 기도회 - 전도활동
9/30(화)/ 새벽기도회(05:00) - 아침식사(06:30) - 어린이와 함께(08:00) - 시골교회방문(14:00) - 저녁집회 및 기도회
10/1(수)/ 새벽기도회(05:00) - 아침식사(06:30) - 킬링필드방문(09:00) - 신학교방문(10:00) - 공항/씨엠립으로 - 씨엠립 관람
10/2(목) - 앙코르와트 관람 - 앙코르와트 관람 - 프놈펜으로 이동 - 방콕으로 이동
기 타 - 저녁집회는 저희교회와 꼼뽕스프 지역교회의 학생청년연합집회로 준비하도록 하겠습니다
1) 일정(일부 변경됨)
2) 앙코르와트 비행기 (프놈펜/씨엡립 50분정도 소요됨)
a. 프놈펜에어 - 프놈펜출발 15:30 / 씨엠립출발 17:15 b. 프레지던트에어 - 프놈펜출발 14:15 / 씨엠립출발 16:30 ## 프놈펜에어 왕복요금 - 1인당 99$(공항세왕복 10$포함), 프레지던트에어 - 100$(공항세 포함) (저녁에 방콕비행기시간을 고려하여 프레지던트 항공으로 예약하려고 하오니, 오시는 분들의 명단을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3) 필요한 것들
a. 개인준비물 - 개인여행물품 외, 모자, 긴팔옷, 운동화(앙코르와트 관람시 필요), 샌들 (우기철이므로 낮에는 반팔을 입어도 되나, 저녁에는 긴옷을 입는 것이 좋음)
b. 단체준비물 - 전도용풍선, 선물(가능하시면 어린이용으로 80개, 신학교학생용으로 60개 - 노트나 연필, 펜 등 학용품이 좋음), 예수성화그림, 밑반찬, 라면, 헌옷(모아서 가져다 주시면 많은 도움이 됨), 상비약,
c. 단기선교팀이 준비해 주시면 좋은 프로그램들 - 크메르어 현지어 찬양(www.kpnl.org 가포눈눌선교회 홈페이지에 가시면 여러 찬양들이 올려 있음), 드라마, 워십, 전도 활동시(전도풍선활용), 9/30 오전 어린이와 함께 하면 좋은 프로그램 준비(성경학교때 사용했던 것 가능)
d. 개인적으로 부탁드리는 것 - 감기약(아기용, 성인용), 해열제(아기용), 물파스, 구급약 약간(지사제, 피부연고)
4) 경비 예산(25명으로 계산함 / 환전은 달러로 해 오시면 됨)
@ 9/29(월) - 입국시 관광비자 1인당 20$ 차량렌트 100$(버스 2일), 숙박준비 80$(모기장 외) @ 9/30(화) - 식비 200$(식사준비비용 한끼에 50$씩×총 4회) @ 10/1(수) - 식비(점심 - 식당에서 80$, 저녁 - 식당에서), 킬링필드입장요금 1인당 1$, 왕복항공요금 1인당 100$, 버스대여 50$, 숙박비용(게스트하우스 12×4$정도) @ 10/2(목) - 앙코르와트입장요금 1인당 20$, 식사비 두끼(식당에서 -1인당 한끼에 5$정도)
5) 간단한 캄보디아어 회화
처음 뵙겠습니다 - 쭘리업 쑤어 안녕하세요 - 쏙쏘바이 안녕히 계세요 - 쥼리업 리어 / 리어 하으이 감사합니다 - 어꾼 쯔라은 이름이 무엇입니까? - 따으 네악 츠무어 어이 나의 이름은 … 입니다 - 크념 추무어 … 미안합니다 - 쏨또 많이 드세요 - 냠 쯔라은 화장실이 어디예요 - 벙꾼 너으 아이 나 나는 한국 사람입니다 - 크녀옴 쭌 찌엇 꼬레 물 - 뜩 기도 - 아티탄 예배 - 트와이 봉꿈 찬양 - 쯔리옹 쏘싸으 율동 - 까이뷔이까 덥다 - 끄다으 많다 - 쯔라은 적다 - 뗏뗏 예수 믿으세요 - 쏨 쯔어 쁘레아 예수 찌어 쁘레아 옹 쏭꾸루어 교회 - 쁘레아뷔히어, 뿌억쭘눔
6) 기타
두 번의 저녁집회시에 목사님께서 말씀을 준비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캄보디아에서는 저녁에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집회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학생들과 청년, 어른들을 대상으로 집회를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원고를 오시기 전에 미리 보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캄보디아 소개
1. 개관
ᄋ 국명 : 캄보디아 왕국(The Kingdom of Cambodia) ᄋ 정체 : 입헌군주국(왕 - 시하누크, 수상 - 훈센) ᄋ 국회 : 122석(임기 5년) ᄋ 상원 : 61석(임기 6년) ᄋ 모토 : 국민, 종교, 왕(Nation, Religion, King) ᄋ 면적 : 181,035㎢ (남한의 약 1.8배, 한반도 전체의 약 80%) 남북 450㎞, 동서 580㎞, 해안선 340㎞ ᄋ 위치 : 인도차이나반도 동남부(베트남, 라오스, 태국과 접경) 북위 10-14도, 동경 103-107도 ᄋ 기후 : 열대몬순, 고온다습 - 기온 : 11 - 1월에는 섭씨 20~28도, 2-10월에는 25~33도 내외 - 5 - 10월 : 남서풍, 고온다습, 우기, 평균 강우량 1,270-1900㎜ - 11 - 1월 : 서늘, 건조 - 2 - 4월 : 북서풍, 건조, 혹서 ᄋ 인구 : 1,200만명으로 추정 ᄋ 1인당 GDP : 약 300$로 추정 ᄋ 산업별 근로 인구 - 1차 산업(농, 어업, 산림업등) : 80% - 2차 산업(제조업, 광업, 건설업등) : 3% - 3차 산업(서비스, 수송등) : 17% ᄋ 인종 : 크메르족 85%, 기타 소수민족(중국, 베트남, 참, 고산족 등) ᄋ 언어 : 크메르어, 불어(50대 이상의 장년층), 영어(청년층) ᄋ 종교 : 소승불교(90%), 이슬람(5%), 기독교(1%미만), 기타 ᄋ 문자해독률 : 65%(남자 - 77.9%, 여자 - 49.5%) ᄋ 평균수명 : 53세 ᄋ 화폐단위 : 리엘(Riel) $1 = 3,950Riel - 일상생활에 달러화 자유로이 통용
2. 캄보디아 약사
A. 앙코르 왕조
ᄋ 1-6세기경까지 메콩 델타 유역을 중심으로 인도 문화의 영향을 받은 푸난(Fu Nan)왕조와 젠라(Chen La)왕조가 존재 - 산스크리트어를 도입, 크메르 문자로 발전시키나, 카스트제도는 정착되지 않는 등 인도문명을 선별적으로 수입, 정착
ᄋ 802년 자야바르만 2세가 스스로를 신왕(神王)으로 칭하고 앙코르 왕조를 열어 1431년 샴의 침략으로 쇠퇴할 때까지 크메르 민족의 전성기 구가 - 베트남 남부, 라오스, 미얀마, 태국 일부를 포함하는 대제국을 형성, 앙코르와트와 수많은 사원과 뛰어난 관개시설등 세계적 문화유산을 남김
ᄋ 1431년 샴의 침략 후, 19세기 중반 프랑스의 식민지가 되기까지 샴과 베트남의 지배를 번갈아 받으며 왕국의 명맥만 유지, 사실상 몰락 - 베트남은 캄보디아의 모든 문화를 베트남식으로 바꾸어 놓으려고 시도함으로써 캄보디아인의 증오 촉발 - 1864년 캄보디아는 샴과 베트남의 지배를 벗어나기 위해 자진하여 프랑스의 보호령으로 편입
ᄋ 1884년 Norodom왕은 프랑스의 강압으로 명목상의 왕위만 유지하고 통치권을 프랑스에 넘겨주는 협정에 서명 - 프랑스는 식민지 지배과정에서 현지언어를 사용하지 않고, 불어나 프랑스식 이념을 전파하지 않는 대신, 베트남인을 데려다 식민통치의 도구로 사용 - 캄보디아는 후방의 물자지원 기지화하고, 캄보디아인은 종속적인 지위로 전락(1945년 프놈펜 인구의 절반이 베트남인), 캄보디아 민족주의와 공산주의 배태
B. 시아누크 왕정
ᄋ 1941년, 프랑스는 조종이 쉬울 것으로 생각되는 19세의 Norodom Sihanouk를 아버지 Norodom Suramarit 대신 왕으로 즉위 시켰으나, 시아누크는 1945년 일본의 후원하에 독립 선언
ᄋ 일본 패전 후, 프랑스가 지배권을 회복하였으나, 1953.11월 군사, 사법, 외교권을 시아누크에게 허용, 사실상 캄보디아 독립 - 1954년 인도차이나 문제에 대한 제네바 회의에서 독립 보장
ᄋ 1955년 시아누크는 아버지에게 왕위를 양위, 본인은 선거를 통해 총리(실질적인 국가수반)로 취임, 1960 부친 사후 국가수반직 회복
ᄋ 독립직후, 프랑스 유학파 지식인 계층 귀국(Salth Sar : 후에 Pol Pot로 개명, Ieng Sary, Khieu Samphan), 1963년 학생시위 후 시아누크의 대규모 좌익 숙청으로 지하조직화
ᄋ 1965년 월맹에게 캄보디아 동부지역 보급로 설치 허용, 미국은 월남전을 캄보디아까지 확대 - 1969.3.18 비밀리에 캄보디아 영토 폭격 개시, 1970.5월까지 B-52기 총 3,630회 출격 - 1973.8.15까지 미국은 총 54만톤의 폭탄 투하(2차 대전 전 기간 중 일본에 투하한 규모의 절반), 이로 인한 사망자는 약 80만명으로 추정 - 월맹은 캄보디아 영토내 더 깊숙히 잠적, 보급기지 설치, 전쟁확산
ᄋ 시아누크 왕 외유 중 1970.3.28 론놀(Lon Nol) 장군 쿠데타 성공, 4.10 공화국 수립 (Khmer Republic) 선포
C. 공산 캄보디아
ᄋ 론놀 치하의 공화국은 반정부 세력을 공산주의자로 탄압, Khmer Rouge의 성장배경 제공 - 베트남인 대량학살로 KR과 베트남의 합작을 초래, 대도시의 절반 이상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 공산주의자들은 국민적 인기와 영토에 대한 통제력 획득 - 1975.4.12 미국, 캄보디아 철수 완료
ᄋ 1975.4.17 크메르루즈, 프놈펜 입성, 급진혁명 추진 - 1976.1.5 민주 캄푸체아(Democratic Kampuchea) 선포 - 도시 통제, 농업에 강제노동 투여, 화폐. 의료. 교육. 통신 완전마비 - 통치 3년 8개월간 기아, 질병, 강제노동, 처형 등으로 인한 사망자 170만 내지 300만 명으로 추정
ᄋ 1979.1.7 베트남군 무력으로 캄보디아 점령, 크메르루즈내 친 베트남 세력인 헹삼린, 훈센을 세워 괴뢰정권(캄보디아 인민민주주의 공화국) 수립
ᄋ 1982년, 시아누크, 손산, 크메르루즈 반베트남 연합전선 구축 - 망명정부 '민주캄푸체아 연립정부' 구성, 유엔의석 확보
ᄋ 1989.10월 동구권 몰락과 캄보디아 운영의 경제적 부담, 국제사회의 비난에 따라 베트남군 철수
D. 현 정부 수립
ᄋ 1989.4.30 캄보디아 공산당은 국명을 State of Cambodia로 개칭, 탈 공산주의 추진 (당명도 캄보디아 인민당 CPP: Cambodian People's Party로 개칭) - 투표에 의한 의회구성 - 사유재산 인정, 민영화 추진, 형법 등의 각종 법령 정비 - 1991. 10월 전당대회에서 Chea Sim을 총재, Hun Sen을 부총재로 선출
ᄋ 1990년 UN안보리, 포괄적 캄보디아 평화안 채택
ᄋ 1990. 10월 자카르타 비공식회의에서 4개 정파간 Supreme National Council of Cambodia 설치 합의 - 시아누크의 FUNCINPEC, 시아누크 왕정에서 총리를 역임한 손산의 KPNLF(Khmer People's National Liberation Front), 크메르루즈, CPP 등 4개 정파간 합의
ᄋ 1991.10.23 파리 평화협정 서명 (Agreement on a Comprehensive Plolitical Settlement of Cambodia Conflict) - 참여국: 안보리 5개 상임이사국, ASEAN 6개국,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일본, 호주, 카나다, 인도, 유고등 19개국 참가 (프랑스와 인도네시아가 공동 주재) - 시아누크 왕 지도하에 UNTAC(UN Transitional Authority of Cambodia)와 SNC가 18개월간 통치권을 위임, 신정부 구성 추진 - 1992.3월 45개국 22,000명으로 구성된 유엔사상 최대 규모의 평화유지군 파병, 정전협정 준수 여부 감시
ᄋ 1993.5.23-28간 UNTAC 주관하에 총선거 실시
ᄋ 1993.6.14 제헌의회, 시아누크를 국가수반으로 선출
ᄋ 1993.9.23 헌법 공포, 9.24 시아누크 왕 즉위, 라나리드와 훈센을 Co-Prime Minister로 임명하고, 중앙 및 지방의 모든 권력을 분점하는 독특한 연립정부 구성
3. 캄보디아 선교 역사
ᄋ 1555년 가톨릭 전래(Malacca에 있던 포르투칼의 도미니칸 신부 게시팔 다 크르즈(Gespar da Cruz에 의해서 기독교가 소개됨) ᄋ 1568년 불교 스님이 회심하고 세례를 받음 - 첫 번째 순교자 ᄋ 1719년 프란시스 선교사들이 들어옴 ᄋ 1770년에 니콜라 레바세(Levasseur)가 천주교 교리를 크메르어로 번역함, 이때까지 카톨릭은 거의 영향을 주지 못함 ᄋ 19세기 초 캄보디아어 성경이 번역되기 시작함(프랑스 신부 Marie - Joseph Guesdon) ᄋ 1853년 프랑스 식민지가 되면서 가톨릭 선교의 자유가 열림 ᄋ 1921년 개신교 선교사들 캄보디아 남부지역에 전도, 회심자 생김. ᄋ 1923-25년 미국 선교사들 도착. 성경학교와 성경번역 시작됨, 동양선교회와 이어서 선교사연맹(C&MA)에서 파송. ᄋ 1928-29년 반 기독교 정책으로 전도가 금지됨. ᄋ 1933년 신약성경 번역됨 ᄋ 1940년 구약성경 번역됨 ᄋ 1953년 독립과 함께 선교의 자유가 다시 열림 ᄋ 1965년 반미정책으로 선교사들 캄보디아를 떠남 ᄋ 1970년 친미정권 수립으로 선교사들 다시 입국 ᄋ 1975년 공산화되면서 선교사들 캄보디아를 떠남 ᄋ 1979-90 기독교 선교단체와 구호기관들 태국 국경 난민캠프에서 복음을 전함. ᄋ 1990년 캄보디아 내에 선교의 자유가 열림으로 선교사들 다시 활동을 시작함.
기독교 대한감리회 캄보디아 선교 약사
ᄋ 1992년 태국 주재 신광준 선교사가 캄보디아에 선교 접촉점을 마련하 11월에 아시아선교회 소속 돈암동교회에서 프놈펜에 대지를 매입.
ᄋ 1993년 6월 송진섭 선교사가 감리교 최초로 도착(돈암동교회 소속)
ᄋ 1995년 9월 프놈펜 선교센터를 봉헌함.
ᄋ 1996년 5월 김인순 선교사 입국(신애제일교회 소속)
ᄋ 1997년 4월 프놈펜제일감리교회(한인교회) 예배 시작
ᄋ 1998년 캄보디아 감리교 선교협의회 구성(5개국) 11월에 바탐방 선교센터를 봉헌함, 바탐방 지역 연합세례식(250명).
ᄋ 1999년 2월 감리교 신학교 1회 졸업식(17명). 3월 김경일 선교사 입국(대신교회 소속) 11월에 감리교 신학교를 봉헌함.
ᄋ 2000년 1월 꼼뽕짬에 선교센터를 봉헌. 6월 감리교 신학교와 감리교 선교협의회(CCMA) - 종교부에 등록을 마침, 9월 감리교 신학교 개강함.
ᄋ 2001년 5월 아시아태평양복음선교회 파송으로 박도한 선교사 입국(아멘교회소속)
ᄋ 2002년 5월 강희성선교사(예산삽교교회소속 - 한인교회 담임으로), 박효준선교사(미아동교회소속), 최원찬선교사(돈암동교회소속) 입국
ᄋ 2003년 3월 꼼뽕스프선교센터를 봉헌함 6월 윤종철선교사(천안갈릴리교회소속) 7월 김선중선교사 입국함
한국감리교회의 캄보디아 선교상황
캄보디아 복음화를 위하여 한국감리교회에서 파송된 선교사는 현재, 모두 아홉 가정이다.
1. 교회 개척 및 관리
송진섭선교사는 재캄 감리교 선교사회 대표로서 프놈펜과 주변지역을 관장하며, 신학교사역을 감당하고 있다. 김인순선교사는 그동안 바탐방지역에서 사역하다가 안식년을 다녀온 후에 신학교에서 사역하고 있다. 김경일선교사는 꼼뽕짬주를 중심으로 사역하다가 최근에 씨엠립으로 이동하여 새롭게 개척사역을 감당하고 있다. 박도한선교사는 그동안 신학교에서 사감으로 사역하면서 언어를 준비하다가 올해 꼼뽕스프주로 이동하여 개척사역을 감당하고 있다. 강희성선교사는 한인교회를 전임하여 사역하고 있으며, 박효준선교사와 최원찬선교사는 언어사역중에 있으며 앞으로 개척지를 놓고 준비중에 있다. 최근에 입국한 윤종철선교사와 김선중선교사는 새로운 선교지에 적응하며 언어공부를 시작하는 중에 있다. 감리교 선교사들은 지역을 분담하여 교회를 개척하고 복음을 전하려고 한다.
2. 캄보디아 감리교 신학교(Methodist Boble School)
감리교 신학교는 1997년 시작되었으며, 2년간의 수업과 훈련과정을 통하여 17명의 신학생이 졸업을 하였다. 1999년에는 캄보디아에서 선교활동을 하고 있는 5개국(한국, 미국, 스위스-프랑스, 싱가폴, 말레이시아) 감리교 선교사들이 모여서 연합으로 신입생을 모집하였다. 신학생들은 전원이 기숙사 생활을 원칙으로 하며,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철저한 말씀과 기도와 묵상, 신학수업 등을 통해 영성을 갖춘 목회자 양성에 노력하고 있다.
3. 한인교회(프놈펜제일감리교회)
1997년 4월 부활주일에 창립하여 현재, 장년, 학생, 어린이 포함하여 약 50여명이 함께 예배를 드리면서 선교하는 교회가 되고자 애쓰고 있다.
4. 목회자 훈련/ 교회학교 교사교육
기존의 목회자들을 위한 목회자세미나가 매월 프놈펜과 바탐방 지역에서 실시되고 있다. 전체 목회자 세미나는 분기별로 지역을 돌아가면서 이루어지고 있다. CCMA에서는 년 1회 전체 감리교 목회자 세미나를 개최하고 있다. 그 외에도 교회학교 교사들을 위한 세미나가 진행되고 있으며, 각 센터에는 태권도와 컴퓨터 등을 통한 선교접촉점이 마련되고 있다.
5. CCMA(Cambodia Christian Methodist Association; 캄보디아감리교협의회)
캄보디아에서 감리교 선교활동을 하고 있는 5개국(한국, 미국, 스위스-프랑스, 싱가포르, 말레이시아)가 캄보디아에 하나의 감리교회를 세우고자 만든 연합기관이라고 할 수 있다. 2000년 6월에 캄보디아 종교부에 등록을 하였으며, 현재 협력하여 선교사역을 감당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