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1. 고창복분자의 품종 특성 |
|
ㆍ |
고창군 복분자는 단맛과 신맛이 적당하게 조화를 이루워져 있어 맛이 좋으며 색깔과 향이 독특하여 술을 제조하여 마시게 되면 생기를 다시 찾게 됨 | |
|
ㆍ복분자의 유효 성분 |
- 탄수화물로 포도당(43%), 과당(8%), 서당(6.5%), 펙틴 등 함유 - 유기산으로 레몬산, 사과산, 살리실산, 카프론산, 개미산 함유 - 비타민으로 비타민 B, C 함유 - 색소성분으로 카로틴, 폴리페놀, 안토시안, 염화시아닌 배당체 함유 - 씨에는 기름(11.6%), 피토스테린(0.7%) 함유 |
|
|
구분
|
수분 (%) |
유리당 (g/100g) |
유기산 (㎎/100g) |
아미노산 (㎎/100g) |
조단백질 (%) |
조지방 (%) |
색도 |
L |
a |
b |
복분자 딸기 |
87.1 |
2.39 |
884.4 |
1,034.6 |
1.37 |
1.52 |
19.26 |
0.04 |
-0.21 |
|
|
ㆍ고창 복분자품종(종자)의 특성 |
- |
고창 지역에 자라고 있는 복분자는 중국, 유럽 등에서 자라는 나무딸기에 비해 당도, 색깔이 진하고 오래 동안 고창지역 기후 풍토에 적응하여 재래종으로 특이한 향과 맛을 가지고 있으며 해풍을 맞아 다양한 고기능성 및 유효성분이 뛰어난 특성을 갖고 있음 | |
|
ㆍ |
복분자와 블랙베리 전혀 다른 것으로 고창 복분자주는 복분자딸기를 원료로 하여 전통적으로 만들어져 온 것임 | |
- |
소비자는 복분자딸기와 산딸기, 블랙베리와 구분하지 못하고 있으나 복분자딸기와 산딸기, 블랙베리는 식물학적으로 볼때 엄연히 구분되어 아속과 종이 다름 |
- |
식물학상 복분자는 아속이 Idaeobatus이고, 블랙베리는 Eubatus이며 복분자의 학명은 Rubus coreanus Miquel, 산딸기 학명은 Rubus crataegifolius Bunge. 블랙베리 학명은 Rubus argutus 임 |
복분자 딸기 |
가시없는 나무딸기(블랙베리) |
 |
< 그림 > 복분자 딸기와 가시없는 나무딸기 (블랙베리) | |
|
|
|
구분 |
복분자 딸기 |
가시없는 나무딸기 (블랙베리) |
자생지
|
우리나라 남부지역
|
미국 오리곤주 |
학명 |
Rubus coreanus Miquel |
Rubus argutus |
열매 |
흑색 |
흑색 |
번식방법 |
줄기 끝 번식 |
줄기 끝번식 및 뿌리번식 |
수형 |
반포복성 |
직립형 |
줄기 |
자주빛이 도는 붉은색이며 백분으로 덮여있음 |
적갈색 |
잎 |
우상복엽 3개의 소엽으로 난형 |
우상복엽5개의 소엽으로 난형 |
수확기 |
6월상순~하순 |
7월 상순~하순 |
당도 |
10~12Brix |
4~6Brix |
색택(L.a.b) |
100% |
50% |
과중 |
2g/1개 |
4g/1개 |
수확량 |
540㎏/10a |
600/10a |
국내가격 |
7,000원/1㎏ |
3,500원/1㎏ |
국제가격 |
3.68$/kg |
1.96$/kg |
향 |
고유의 향을 가짐(솔향) |
고유의 향이 없음 | |
|
ㆍ |
일부 블랙베리 재배지역에서 복분자 명성을 도용하여 블랙베리(가시없는 복분자)는 「복분자」가 아님에도 명칭상의 오용으로 물의를 일으키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됨 | |
- |
일명 가시없는 복분자로 잘못 알려진 블랙베리(blackberry)가 고창의 복분자 명칭을 오용하여 유통시키고 있으며 모 종묘회사에서는 블랙베리를 가시없는 복분자라 하여 비싼 가격으로 판매하고 있어 선량한 소비자와 농민에게 피해를 입히고 있음 | |
|
ㆍ |
복분자의 당도가 10~13°brix인 반면 미국에서 수입된 블랙베리는 4~6°brix 내외로 외국의 경우 쨈 등의 원료로 이용되고 있으나 당도가 너무 낮아 주정원료로는 사용되고 있지 않음 | |
|
ㆍ |
고창 복분자는 특히 21세기 웰빙시대에 적합한 식품으로서 건강민속주로서의 기존 복분자주의 명성만이 아니라 복분자엑기스 등 다양한 관련 건강상품의 기초로서 활용이 가능한 품종임 | |
- |
특히 복분자주는 전국최고의 민속과일주로서 고창 선운산인근 인천강어귀에서 잡히는 자연산 풍천장어와 함께 전국적인 음식명품으로 이미지를 형성해오고 있음 | |
|
2. 고창 복분자의 재배특성 |
|
ㆍ |
고창군 복분자 주산단지는 선운산도립공원 주변의 야산에 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해풍을 맞으면서 자라기 때문에 당도, 유효성분, 다양한 기능성이 뛰어나 고품질의 복분자주를 생산할 수 있는 최적의 여건을 갖추고 있음 | |
- |
고창군지역에서는 복분자 비가림 재배면적이 78ha이상 되어 수확기가 6월 중순으로 장마와 겹쳐지지만 비를 맞지 않기 때문에 수확기가 빨라지며 당도가 높아 발효주 만드는데 최적의 조건을 이루고 있음 | |
|
ㆍ |
고창군지역은 야산 개간지로 황토땅으로 이루워져 미네랄등 미량 요소가 풍부하고 영양분을 공급해주기 위해 매년 이른 봄에 유기물과 퇴비 위주로 시용 | |
- |
또한 친환경농법을 도입하여 유기농 재배를 하고 있어 고품질의 복분자주를 생산할 수 있는 구비조건을 모두 갖추고 있어 최상의 품질을 제공해 주고 있음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