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기말고사
10. 다음 중 품사 분류의 기준이 아닌 것은?
(1) 기능 (2) 형태
(3) 의미 (4) 성능
* 품사 분류의 기준은 일반적으로 형태, 기능 의미의 세 가지 이다. 답은 (4)
11. 현행 학교문법에서 설정하고 있는 품사가 아닌 것은?
(1) 대명사 (2)수사
(3) 접속사 (4) 조사
* 현행 국어문법에서는 '그리고, 그러나 ,또, 그래서' 등을 부사로 분류한다. 답은 (3)
12. “마당에는 꽃들이 흐드러지게 피어 있다”는 현행 학교문법에 따르면 몇 개의
단어로 이루어진 문장인가?
(1) 5개 (2) 7개
(3) 8개 (4) 9개
* 단어 찾는 방법은 먼저 어절을 나누고 문장 속에 있는 조사를 찾아 합하면 된다.
어절(띄어쓰기) 5개+ 조사(에,는,이) 3개 답은 (3)
2004년 기말고사
10. 다음 중 품사 분류의 기준이 되기 어려운 것은?
(1) 형태 (2) 구조
(3) 기능 (4) 의미
*누워서 떡먹기인 문제죠?^^ 답은 당연히 (2)
11. 단어를 가변어와 불변어로 나눌 때 가변어에 속하는 것은?
(1) 형용사 (2) 조사
(3) 감탄사 (4) 관형사
*가변어는 용언(동사, 형용사, 서술격 조사 ~ 이다) 뿐이며 나머지는 모두 불변어임. 답은 (1)
2005년 기말고사
44. 국어의 품사 분류에서 단어를 ‘체언, 관계언, 용언, 수식언, 독립언’으로 나누는 것은
무엇을 기준으로 한 것인가?
(1) 형태 (2) 기능
(3) 의미 (4) 구조
*단어가 한 문장 안에서 하는 기능에 따라 체언, 관계언, 용언,수식언,독립언으로 나눈다, 답은 (2)
45. 현행 학교 문법에서 ‘있다’와 ‘없다’는 각각 어느 품사에 속하는가?
(1) 있다 - 동사, 없다 - 형용사
(2) 있다 - 형용사, 없다 - 동사
(3) 있다 - 동사, 없다 - 동사
(4) 있다 - 형용사, 없다 - 형용사
* 학교문법에서는 현재형 종결 어미를 기준으로 "있다"와 "없다'를 형용사로
소속시키고 있다. 답은 (4)
2006년 기말고사
44. 단어를 불변어와 가변어로 나눌 때, 다음 중 가변어에 속하는 품사는?
(1) 대명사 (2) 관형사
(3) 감탄사 (4) 형용사
* 형용사는 활용을 하므로 가변어임. 답은 (4)
45. ‘있다’를 학교문법에서 형용사와 소속시킨 근거가 될 수 있는 예문은?
(1) 학교가 있는 곳이 어디냐?
(2) 산 너머에 학교가 있다.
(3) 우리 여기에 같이 있자.
(4) 딴 데 가지 말고 꼭 집에 있어라.
* 쉽게 알아내는 방법이 있다. 먼저 형용사인 '아름답다'를 대입해보자. (1) 아름답는 (2)아름답다
(3) 아름답자 (4)아름다워라 이 중 말이 되는 문장은 (2)번 뿐이죠. 그래서 '있다'를 형용사로
분류했답니다. 답은 (2)
2004년 계절학기(동계)
11. 다음 중 품사 분류의 기준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발음 (2) 기능
(3) 의미 (4) 형태
* 답은 (1)
12. 학교문법에서 설정하고 있는 품사와 해당 단어가 모두 올바른 것은?
(1) 명사 : 학교, 당신, 철수
(2) 형용사 : 딴, 새(新), 헌
(3) 접속사 : 그리고, 그러나
(4) 조사 : 을, 만, 도
* (1)에서 '당신' 은 대명사 (2)는 모두 관형사 (3)은 부사 답은 (4)
13. “무궁화가 아름답게 피었습니다”는 몇 개의 단어로 이루어진 문장인가?
(1) 3 (2) 4
(3) 5 (4) 6
* 3개의 어절과 한 개의 조사(가)로 이루어진 문장입니다. 답은 (2)
2006학년도 계절학기
16. 품사 분류의 기준으로 삼을 수 없는 것은?
(1) 음상 (2) 형태
(3) 기능 (4) 의미
*이쯤에서 웃음이 나오죠. ^^ 답은 (1)
17. 품사 분류에서 불변어에 속하는 것은?
(1) 동사 (2) 형용사
(3)서술격조사 (4) 명사
* 용언인 동사, 형용사 그리고 서술격조사 '~이다'를 제외한 모든 품사는 불변어임. 답은 (4)
18. “꽃이 예쁘게도 피었다”는 현행 학교 문법에 따르면 몇 개의 단어로 이루어진
문장인가?
(1) 3개 (2) 4개
(3) 5개 (4) 6개
* 3개의 어절과 2개의 조사(이,도)로 구성된 문장임. 답은 (3)
첫댓글 미진씨, ㅇ+ 한자 로 숫자 찾으려니 너무 시간이 많이 걸려서 그냥 편한걸로 했어. ㅎㅎ 고마워~
아... 보기의 동그라미 안에 숫자~ 다른 글에서 복사해 와서 쓰면 되는데...ㅎㅎ 괜찮아요. 잘 하셨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2005년 계절 44번-답 4번(구조)는 2번(기능), 2004년 계절 11번- 답 4번(형태)는 1번(발음)이 아닌지...2006년 계절 17번의 설명에서 <가변어>는 <불변어>가 아닌지요?...^^ 죄송~
감사합니다. 오타가 있군요. 04-11. 06-17.은 지적하신 게 맞습니다. 05-44.은 답이 2(기능)입니다. 2학년이신데 여기 진도대로 같이 공부해 오셨습니까? 어찌 이리 꼼꼼이 보셨답니까?^^
ㅋ.. 저도... <기능>으로 수정했습니다.^^ 사실은 지금 삭제하러 들어 왔다가...^^
진도대로 여기까지... "아~뇨" ^^ 제가 어딘가에(3월 11일자 박우진 님의 글-지금 확인했음^^) 답글을 썼는데요..거기까지 읽고 그뒤에는 책 사서 같이 해야지 했는데요. 제가요.. 그 책(깔끔히 끝내기)을 지난 목요일(3일)에사 샀네요. 어제까지 진도..139쪽입니다.
꼼꼼에 힘입어 수정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자료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