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름이란?
성(姓) 아래에 붙여 다른 사람과 구별하는 명칭. 넓게는 성과 이름을 모두 합쳐 이름이라고도 한다. 이름은 한국 중세어에서 '일홈' 또는 '일훔' 등으로 표기되고 있지만, '이르다(謂)'나 '말하다'는 뜻을 가진 옛말 '닐다'에서 출발하여 '닐홈-일홈-이름'으로 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사람들이 그를 이르는 것이 곧 이름이기 때문이다.
[ 토박이 이름과 한자 이름 ]
이름은 사람이 삶을 누리기 시작하면서부터 불리기 시작했을 것이다. 처음에는 토박이말로 지었던 이름이 한자의 유입과 함께 한자 이름으로 지어지면서 오늘에 이른다. 이름에도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 아명(兒名), 관명(冠名), 자(字), 호(號), 시호(諡號) 등이 그것이다.
아명은 어린아이 때의 이름이다.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경우 이(珥)는 관명이지만, 아명은 그의 어머니 신사임당(申師任堂)이 꿈에 용을 보았다 하여 현룡(見龍)이라 하였다. 자는 숙헌(叔獻)이고 호는 율곡 외에도 석담(石潭), 우재(愚齋) 등이 있다.
관명은 장성해서 그 집안의 항렬에 따라 짓는 이름이고, 자는 대체로 혼인한 후에 본이름 대신 부르는 이름으로 일상생활에서는 어른 아닌 사람들이 이 자를 불렀다.
호는 자 이외에 쓰는 아명(雅名)으로 학자, 문인, 서화가들이 가지는 또 하나의 이름이었고,
시호는 임금이나 경상(卿相), 유현(儒賢) 등이 죽은 뒤 임금이 그 행적을 칭송하면서 추증하는 이름이었다.
오늘날에는 그 중에서 아명 등은 거의 없어지고 관명, 호 정도가 남아 있을 뿐이다. 특히, 아명은 대체로 무병장수를 염원하면서 천하게 짓는 경향이 있어 개똥이, 쇠똥이, 말똥이 등의 이름도 흔했다. 관명이 '희(熙)'였던 고종 황제의 아명이 개똥이였고, 황희(黃喜)의 아명은 도야지(都耶只)였음이 그 사례이다. 아명이 그대로 관명으로 되어 한자로 '개동(介東), 계동(啓東), 소동(召東), 소동(蘇同), 마동(馬銅), 마동(馬東)'으로 되기도 하였다.
이상은 사대부 집안 남자의 경우이고, 서민들은 아명으로 평생을 살다 가기도 하였다. 여성의 경우, 특별한 사례 외에는 출가와 함께 아명은 없어지고 대신 택호(宅號)가 따랐다.
이름을 한자로 지을 경우의 성명 3자 가운데에서 선택권은 1자밖에 없다(외자이름도 있지만). 성과 항렬은 이미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남은 1자도 같은 항렬의 동명이인을 피해야 하고 가까운 조상의 이름에 나오는 글자도 피했다.
한자가 들어오기 이전의 이름은 토박이말이었으나, 한자의 유입과 성(姓)의 보급에 따라 한자식 이름으로 차츰 바뀌어 내려오는 현상은 땅이름의 경우와도 상통한다. 사람의 이름이 한자로 바뀌는 것은 땅이름이 한자화했던 신라 경덕왕(景德王) 이후부터 심화한 것으로 여겨진다. '삼국사기(三國史記)'나 '삼국유사(三國遺事)'에 한자로 표기되어 있는 이름에서도 그것이 토박이 이름이라는 사실은 금방 알 수 있다. 가령 신라의 시조왕 '혁거세(赫居世)'부터가 그렇다. '불거뉘'의 한자 표기이기 때문이다. 또 3대왕 ,유리(儒理)'와 14대왕 '유례(儒禮)'는 똑같은 '누리'의 음사(音寫)인 것으로 해석되고 있고, 백제의 3대왕 '기루(己婁)'나 21대왕 '개로(蓋鹵)'도 같은 토박이말의 다른 표기인 것으로 보인다. 그 당시의 상류계급에도 토박이 이름이 있으면서 권위를 나타내기 위하여 한자식 이름을 썼던 듯하다. 박제상(朴堤上)의 경우, 또다른 이름인 '모말(毛末)'이 그 토박이 이름이었다고 하고, 김유신(金庾信)의 두 누이동생인 보희(寶姬), 문희(文姬)에게도 '아해(阿海)' '아지(阿之)'와 같은 토박이 이름이 있었음이 이를 말해 준다. 백제왕의 경우도 시조왕 '온조(溫祚)'로부터 23대 '삼근(三斤)'까지는 토박이 이름의 한자 표기이고, 24대 '동성(東城)'부터가 한자식 이름이라고 알려져 있다.
토박이 이름과 한자 이름의 혼재(混在)는 고려시대로 이어지고, 다시 조선시대까지 이어진다. 조선시대에 와서 성이 더 많이 보급되고, 한자식 이름 또한 그에 따라 많아진 것이 사실이지만, 1910년 5월 10일에 완성된 민적부(民籍簿)에 의할 때, 그때까지 성이 없는 사람의 수가 있는 사람에 비하여 1.3배였으니, 토박이 이름인 사람도 그만큼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때까지의 토박이 이름은 주로 하층계급 사람들의 것이었다.
그 토박이 이름의 기준은
1. 출산 장소에 따른 것(부엌손, 마당쇠)
2. 간지(干支)나 달 이름에 따른 것(갑돌이, 정월이)
3. 성격에 따른 것(억척이, 납작이)
4. 기원을 곁들인 것(딸고만이, 붙드리)
5. 순서에 따른 것(삼돌이, 막내)
6. 복을 비는 천한 것(개똥이, 돼지)
7. 동식물, 어류 이름에 따른 것(강아지, 도미)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은 것이 동물 이름이다.
[ 다른 나라의 이름 ]
중국에서는 아기가 태어나면 그 아버지가 이름을 짓는 것으로 되어 있다. 자(字)는 성인이 되어 붙이는 이름으로, 그 이후로는 임금이나 부모 등 윗사람 외에는 자를 불러야 한다. 시(諡)는 신하의 경우 임금이 내리고, 임금의 경우 신하들이 생전의 공덕을 생각하여 짓는다. 사람이 죽은 다음 생전의 이름은 입에 올리지 않는다. 이 밖에 유명(乳名), 동명(童名) 또는 서재의 이름이나 사는 곳의 이름 등을 따서 짓는 아호(雅號), 별호(別號)가 있는데, 한 사람이 여러 이름을 가질 수 있었다.
서양 사람의 이름은 기본적으로 2종류로 이루어진다. 즉, 개인을 나타내는 퍼스트 네임(또는 세례명)과 가문의 이름인 패밀리 네임(또는 surname)이다. 그러나 11세기 이전의 영국에서는 하나의 이름 밖에 가지지 않았다고 한다. 그 당시 그들은 이크네임(ekename:지금의 닉네임)으로 불리고 있었다. 예컨대, 지금은 성으로 된 둘리틀(Dolittle), 롱펠로(Longfellow) 등이 말해주듯 많은 성들이 이크네임에서 유래한다. 영국에서는 세례명의 선정을 목사가 거부할 권한을 가지고 있지만, 그래도 영국이나 미국 쪽이 프랑스나 독일 같은 나라보다 더 자유롭다고 한다. 세례명 외에 중간 이름을 넣어 2개의 실명을 가지는 습관은 독일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집안을 자랑하기 위하여 모계(母系)의 성을 나타내기도 하고, 같은 이름의 사람과 구별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유럽 사람의 이름은 본디 공통되는 것이면서 나라에 따라 부르는 법이나 철자에 변화되는 것이 많다. 영어의 찰스(Charles)는 라틴어의 카롤루스(Carolus:용감하다)에서 온 것인데, 독일에서는 카를(Karl, Carl)로, 프랑스에서는 샤를(Charles), 이탈리아에서는 카를로(Carlo), 에스파냐에서는 카를로스(Carlos)이다.
유럽쪽의 이름은 개인 이름이 먼저이고 그 다음이 가문 이름인데, 헝가리만은 가문 이름이 먼저이고 개인 이름은 나중이다. 그 점은 한국이나 중국, 일본의 경우와 같다. 인도 사람들의 이름은 성과 이름으로 되어 있고, 성을 뒤에 놓는 점에서 유럽과 같지만, 인도네시아나 미얀마와 같이 성은 없고 이름만 있는 나라의 경우도 있다. 대통령이건 천민이건 이름이 모두 같아서 수카르노, 수하르토, 나수티온이라는 이름뿐이다. 미얀마 사람들이 '우 누' 또는 '우 탄트' 했을 때 마치 성과 이름인 것으로 생각되기도 하지만, 우는 미스터라는 뜻이고 이름은 그냥 '누'이며 '탄트'일 뿐이다.
외래 귀화성씨
외국인이 한국에 들어와 귀화하기 시작한 것은 삼국시대 초엽이며, 그때는 주로 수(隋), 당(唐)의 중국인이었고, 고려시대에는 송(宋)나라 사람을 비롯하여 여진(女眞), 거란(契丹), 안남(安南:베트남), 몽골, 위구르, 아랍 사람들이었으며 조선시대에는 명(明)나라와 일본인 등 많은 외국인이 들어와 귀화하였다. 이들이 한국에 귀화하게 된 동기는 대체로 정치적 망명, 표착(漂着), 종교홍포(宗敎弘布), 투항(投降), 구원(救援), 상사(商事), 전란피란, 범법도피(犯法逃避), 정략결혼(政略結婚), 왕실 시종관계(侍從關係) 등의 예를 들 수 있다. 귀화인들은 대개 당시의 조정으로부터 융숭한 대우를 받았으며 왕으로부터 성명을 하사받은 사람도 적지 않다. 한국의 외래 귀화 성씨를 크게 나누면 중국계, 몽골계, 여진계, 위구르계, 아랍계, 베트남계, 일본계의 등으로 분류 할 수 있다.
[중국계]
가씨(賈)남양 갈씨(葛)회산 감씨(甘)신천 강씨(康)진주 강씨(姜)강씨(强)경씨(景)계씨(桂)
곡씨(曲)곡부 공씨(孔)현풍 곽(郭)구씨(具)구씨(丘)영양 김씨(金)남궁씨(南宮)낭씨(浪)
노씨(盧)노씨(魯)노씨(路)강음 단씨(段)당씨(唐)성주 도씨(都)광천 동씨(董)두씨(杜)
열산 마씨(麻)만씨(萬)매씨(梅)신창 맹씨(孟)명씨(明)함평 모씨(牟)묵씨(墨)남양 방씨(房)
방씨(方)방씨(龐)수원 백씨(白)금성 범씨(范)범씨(凡)초계 변씨(卞)밀양 변씨(卞)
원주 변씨(邊)황주 변씨(邊)면천 복씨(卜)수성 빈씨(賓)빙씨(氷)청주 사씨(史)진주 사씨(謝)
서문씨(西門)해주 석씨(石)보성 선씨(宣)섭(葉)씨평산 소씨(邵)진주 소씨(蘇)송씨(宋)승(昇)씨
성주 시씨(施)거창 신씨(愼)영산 신씨(辛)풍산 심씨(沈)광주 안씨(安)죽산 안씨(安)
태원 안씨(安)청주 양씨(楊)통주 양씨(楊)어씨(魚)의령 여씨(余)여씨(呂)곡산 연씨(延)
전주 연씨(連)염씨(廉)오씨(吳)의령 옥씨(玉)개성, 제남 왕씨(王)휘주 요씨(姚)단양 우씨(禹)
원주 원씨(元)위씨(魏)위씨(韋)유씨(劉)유씨(庾)육씨(陸)무송 윤씨(尹)행주 은씨(殷)
교동 인씨(印)풍천, 장흥 임씨(任)평택 임씨(林)요양 자씨(慈)장(張)거창 장씨(章)
아산 장씨(蔣)문경 전씨(錢)나주 정씨(丁)서산 정씨(鄭)한산 정씨(程)남양 제갈씨(諸葛)
배천 조씨(趙)임천 조씨(趙)평양 조씨(趙)청주 좌씨(左)상주 주씨(周)신안 주씨(朱)
충주 지씨(池)흥덕 진씨(陳)영양 천씨(千)파릉 초씨(楚)제주 초씨(肖)추계, 전주 추씨(秋)
통천 태씨(太)용강 팽씨(彭)풍덕 포씨(包)임구 풍씨(馮)달성 하씨(夏)곡산 한씨(韓)
강릉 함씨(咸)해씨(海)진주 형씨(邢)전주 호씨(扈)파릉 호씨(胡)남양 홍씨(洪)-당홍
황씨(黃)아산 호씨(胡)회양 후씨(后)
[ 몽골계 ] 연안인씨(延安 印氏) [ 여진계 ] 청해이씨(淸海 李氏)
[ 위구르계 ] 경주설씨(慶州 卨氏) [ 아랍계 ] 덕수장씨(德水 張氏)
[ 베트남계 ] 화산 이씨(花山 李氏) [ 일본계 ] 우록 김씨(友鹿 金氏 : 사성 김해 김씨)
==성씨에 얽힌 이야기==
<제주 고씨(濟州 高氏) [유래]>
고씨는 양(梁)씨, 부(夫)씨와 함께 탐라(제주)의 지배씨족으로서, 이들 세성의 시조 탄생에 대하여 삼성혈의 전설이 널리 알려져 있다. 제주도에는 본래 사람이 없었는데 삼신인(양을라, 고을라, 부을라)이 한라산 북쪽 기슭 모흥혈에서 솟아 나왔다고 한다. 이들 삼신은 짐승을 사냥해서 살았는데 어느날 동쪽으로부터 상자 하나가 바다로 떠내려와서 열어보니 그 속에는 세명의 미녀와 곡식의 씨앗, 망아지, 송아지가 들어 있었다. 삼신이 세명의 미녀를 각각 배필로 맞아 목축과 농사를 지어 살았다고 한다. 그중 고을라가 제주고씨의 시조가 되었으며 본관을 제주로 하였다. 후에 고을라의 45세손인 말로(제주), 말로의 증손자 공익(청주), 말로의 증손자 령신(개성), 말로의 10세손 복림(장흥), 말로의 후손 종필(연안), 말로의 16세손 응섭(안동)을 중시조로 하는 등 15개의 본관으로 나뉘었는데 같은 혈손이라며 다시 합본하여 고을라를 시조로하고 본관을 제주로 하여 '제주고씨 중앙종문회'를 만들었다
<알지계 김(金)씨의 유래>
60년(신라 탈해왕 4년) 8월4일 새벽에 어느 사람이 월성(경주) 서리(西里)를 걸어가는데 밝은 빛이 계림(鷄林)에서 비치는것이 보여 가서보니 소나무 높은 가지에 금빛 찬란한 금궤가 걸려있고 아래에서 흰 수닭이 울고있었다. 그래서 왕에게 아뢰었다. 왕이 숲으로 가서 궤를 열어보니 어린 남자아이가 누어있다가 곧 일어났다. 왕이 "하늘이 내리신 아들"이라며 아이의 이름을 어린아이라는 뜻의 알지(閼智)라고 하고 성을 금궤에서 나왔다고하여 김(金)이라고 했다. 왕이 좋은 날을 골라 알지를 태자로 책봉하였으나 태자의 자리를 파사왕에게 물려주고 왕위에 오르지 않았다.
알지는 김열한(熱漢)을 낳았고, 열한은 김아도(阿都)를, 아도는 김수류(首留)를, 수류는 김욱부(郁部)를, 욱부는 김구도(俱道)를, 구도는 김미추(未鄒)를 낳았다. 알지의 7세손인 미추가 262년 신라 13대 미추왕에 올라서 신라의 김씨 왕조가 시작되었다. 신라는 총 56명의 왕중에 김씨가 38명이다.
대종인 경주 김씨는 조선시대까지 총 600여개의 본으로 나뉘어져 있었으나 1985년 인구조사에서는 약 270여개 본관만 남아있다.
이중에서 신라 29대 무열왕의 5세손인 김주원을 시조로하는 강릉 김씨,
신라 45대 신무왕의 셋째아들인 김흥광을 시조로하는 광산 김씨,
신무왕의 후손인 김영이를 시조로하는 영산(永山, 영동) 김씨,
문성왕의 8세손 김선궁을 시조로 하는 선산(일선) 김씨 등을 제외한
대부분은 신라 마지막 왕인 경순왕의 후손들이다.
경순왕(김알지의 28세손)은 후백제 견훤이 경애왕을 죽게한뒤 왕위를 오르게하였으나, 935년에 고려 태조 왕건에게 항복하고 왕건의 딸 낙랑공주와 결혼하여 경주를 식읍으로 하사받아 사심관(事審官)으로 여생을 보냈다.
경순왕의 9아들중 첫째 아들 김일(鎰)과 김굉을 제외한 7아들은 낙랑공주의 몸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9아들중 마의태자로 잘알려진 김일은 망국의 한을 품고 개골산(금강산)으로 입산 하였고(후에 부안 김씨로 되었다고함)
둘째 김굉은 나주 김씨,
셋째 김명종은 경주 김씨의 영분공파,
넷째 김은열(殷說)은 경주 김씨 은열공파,
다섯째 김석(錫)은 의성 김씨,
여섯째 김건,
일곱째 김선(鐥)은 언양 김씨,
여덟째 김추(錘)는 삼척 김씨,
아홉째 김덕지(德摯)는 울산 김씨 등이 되었다.
이 중에서도 넷째 아들 김은열의 후손이 가장 번창했으며, 구안동, 청풍, 금녕, 도강, 전주, 양근, 영광, 안산 등이 모두 김은열의 후손인 것으로 전하고 있다.
김알지계 김씨에서 다른 성으로 갈려간 성씨는 안동 권(權)씨, 강릉 왕(王)씨, 광산 이(李)씨, 감천 문(文)씨, 수성 최씨 등이 있다.
<석(昔)씨의 유래>
석씨는 박(朴), 김(金)과 함께 신라 56왕중 8명의 왕이 즉위한 신라 3대 왕성중의 하나이며 시조 석재흥(昔載興)은 신라 4대 왕 석탈해의 23대손이다. 석재흥은 고려때에 시랑을 지냈으며 후손들이 그를 1세 조상으로하여 본관을 월성(경주의 옛이름)으로 했다.
"삼국유사" 및 "삼국사기"에 다음과 같은 석탈해의 전설이 전한다.
신라 남해왕 때에 가락국 바다 가운데에 배가 한 척이 와서 닿았다. 수로왕이 이를 보고 들을 맞이하여 머물게 하려고 했으나, 그배는 나는 듯이 계림동쪽 하서지촌(下西知村)의 아진포(阿珍浦)로 달아났다. 이때 마침 포구에 어부가 배를 끌어 당겨 보니까 까치들이 배 위에 모여들었으며 상자가 하나 있었다. 이상자를 열어보니 단정히 생긴 사내아이 하나와 일곱가지 보석과 노비들이 있었다. 그들을 7일동안 잘 대접했더니 사내아이는
"나는 원래 용성국(龍城國) 사람인데 함달파(含達婆)왕이 오래동안 왕이 없다가 7년만에 커다란 알을 하나낳자 왕과 신하들이 "사람이 알을 낳았으니 좋은일이 아닐것이다"라며 상자에 나와 일곱가지 보석과 노비를 넣어서 배에 실은 뒤 바다에 띄우자 붉은 용이 나타나 배를 호위하여 여기까지 오게된것이오" 라고 하였다.
그 아이가 산위에 올라가 살만한곳을 찾다가 산봉우리에 있는 집을 발견하고 숫돌과 숫을 몰래 그집마당에 묻어 놓고, 다음날 그집으로 찾아가서 이집은 원래 대장간을 하던 우리조상이 살던 집이라며 땅을 파서 대장간 이었던것을 확인시키고 집을 빼앗았다. 그래서 후에 옛날에 남의 집을 내집이라며 빼앗았다 해서 석씨라고 했다고도 하며 鵲(까치 작)의 鳥를 떼어내고 성을 했다고도 한다. 이때 남해왕은 탈해가 지혜가있는 사람임을 알고 그를 첫째딸과 결혼을 시켰으며 57년에 왕위에 올랐다.
일설에는 예계(穢系)의 한지방 우두머리가 가락을 거쳐 신라에 들어왔다는 설도 있다.
<박(朴)씨의 유래>
신라가 생기기 전에 여섯개의 마을(6부)에 촌장 있었는데 다음과 같다.
1. 이(李)씨의 조상인 알천 양산촌(閼川 楊山村)의 알평(謁平).
2. 최(崔)씨의 조상인 돌산 고허촌(突山 高墟村)의 소벌도리(蘇伐都利). - 삼국유사에는 정씨의 조상으로 되어있으며 진주소(蘇)씨도 소벌도리를 시조로하고 있다.
3. 손(孫)씨의 조상인 무산 대수촌(茂山 大樹村)의 구례마(俱禮馬).
4. 정(鄭)씨의 조상인 취산 진지촌( 山 珍支村)의 지백호(智伯虎).(삼국유사에는 최씨의 조상으로 되어있다)
5. 배(裵)씨의 조상인 금산 가리촌(金山 加利村)의 지타(只他).
6. 설(薛)씨의 조상인 명활산 고야촌(明活山 高耶村)의 호진(虎珍).
기원전 69년 이들 여섯 촌장들이 아들을 데리고 알천의 언덕위에 모여서 백성을 다스릴 임금을 추대할것을 의논을 하고 있었다. 이때 남쪽을 바라보니 양산아래에 있는 나정(蘿井)이라는 우물가에 오색영롱한 빛이 비치고 흰 말 한 마리가 땅에 꿇어앉아 절하는 모습이 보였다. 그곳에 가서 보았더니 박같이 생긴알이 있어서 알을 깨어보니 그곳에서 사내아이가 나왔다. 그래서 사람들이 그아이를 혁연히 세상에 나왔다고 해서 혁거세(赫居世)라고 하고 박에서 나왔다며 성을 박이라고 해서 박씨의 시조가 되었다.
이날 사량리에 있는 알영정이라는 우물에 용이 나타났는데 왼쪽갈비에서 어린 여자아이가 나왔다. 얼굴과 입술이 고왔으나 입술이 닭의 부리와 같아서 월성 북쪽에 있는 냇물에 목욕을 시켰더니 부리가 떨어졌다. 사람들이 이아이가 나온 우물 이름을 따서 이름을 알영(閼英)이라고 했다.
기원전 57년 이 두 아이가 13세가 되자 박혁거세는 왕이되고 알영을 왕비로 삼았으며 나라이름을 서라벌(신라)이라고 했다. 이때부터 신라 왕실의 56왕은 박(朴), 석(昔), 김(金)의 3성에 의하여 교체 반복되었는데, 그 중에서 박씨 왕은 시조왕 박혁거세를 비롯하여 모두 10명이다.
박씨는 여러 본관 중 단 1본도 외래 귀화족이 없다고 하며, 모든 박씨는 신라의 시조왕 박혁거세를 유일한 시조로 받들고 있다. 박씨끼리는 되도록 혼인을 피하려는 것도 이 때문이다.
박씨의 세계는 박혁거세의 증손인 파사왕(신라 5대)과 일성왕(신라 7대)에서 갈라졌는데,
파사왕계는 뒤에 영해, 면천, 강릉 등으로 분관했고, 비안, 우봉(牛峰), 이산(尼山), 해주(海州) 등도 파사왕의 후손이라 한다.
한편 일성왕계는 그의 25대손인 경명왕(신라 54대)과 경애왕(신라 55대) 대에서 다시 갈라졌는데,
경명왕계는 아들 9형제에서 각기
- 첫째 아들 박언침의 밀성대군파(密城大君派) : 밀양, 반남, 진원 박씨 등
- 둘째 아들 박언성의 고양대군파(高陽大君派) : 고령 박씨
- 셋째 아들 박언신의 속함대군파(速咸大君派) : 함양, 삼척 박씨 등
- 넷째 아들 박언립의 죽성대군파(竹城大君派) : 죽산, 음성, 고성 박씨
- 다섯째 아들 박언창의 사벌대군파(沙伐大君派) : 상주, 충주 박씨
- 여섯째 아들 박언화의 완산대군파(完山大君派) : 전주, 무안 박씨
- 일곱째 아들 박언지의 강남대군파(江南大君派) : 순천, 춘천 박씨 등
- 여덟째 아들 박언의의 월성대군파(月城大君派) : 경주 박씨의 8대군파와
- 아홉째 아들 박교순(朴交舜)의 국상공파(國相公派) : 울산 박씨로 분파되었다.
한편 경애왕계는 계림대군파(鷄林大君派)를 이루었다.
박씨는 다른 씨족과는 달리 역대 세계가 비교적 분명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밀성대군파의 밀양 박씨가 주류를 이루어 박씨 인구의 70~80%를 차지하고 있는데, 밀양, 반남, 고령, 함양, 죽산, 순천, 무안, 충주박씨를ꡐ8박ꡑ이라고 부른다. 이것은 이 8본이 역사상 많은 인물을 배출했기 때문이다.
박씨는 김씨, 이씨와 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한국의 3대성의 하나이다.
박씨는 옛문헌에 314본관이 있었지만 현재는 127개의 본관이 있으며 이중 46개본을 제외한 나머지 본관의 대한 유래는 알 수가 없다.
1960년 국세조사에 36만 7271가구에 인구 2,112,076명으로 성별 순위는 258성 중 제3위였고, 1985년도 조사에서는 인구는 3,435,640명으로 전국 가구 구성비 8.5 % 순위는 275성 중 역시 김씨, 이씨, 다음으로 제3위였다.
<문(文)씨의 유래>
시조 문다성은 신라 자비왕(20대)때의 사람으로 문다성의 출생에 대한 전설이 전해 온다. 남평현(전남 나주군 남평면)에 장자지라는 연못가에 큰 바위가 있다. 472년(신라 자비왕 15년) 2월에 군주가 바위 아래에서 놀고 있는데 그 바위 위에서 오색기운이 감돌면서 갓난 아이의 울음 소리가 들려왔다. 이상하게 여긴 군주가 사다리를 가져오게 하여 올라가 보니 돌로된 함안에 피부가 백설같이 맑고 용모가 아름다운 갓난 아이가 있었다. 그래서 군주가 데려다 키웠는데 5살에 글을 저절로 깨우치고 무략이 뛰어나며 사물의 이치를 스스로 깨닫는 등 총기가 있어 성을 문이라고 하고 이름을 다성 이라고 했다(돌로된 함에 '문'자가 새겨져있어 성을 문이라고 했다고도 한다.).
그후 500년(지증왕1년)에 중시아랑이 되고, 540년(진흥왕1년)에 대국사, 577년 (진지왕2년)에 대아랑 대국사가 되었다.
지금도 나주군 남평면에 장자지라는 연못과 6미터쯤되는 바위가 있고 바위위에 '문암,이라는 비석을 세워 놓아 문씨 시조의 탄생지임을 말해주고 있다. 장자지는 아무리 가물어도 물이 마르지 않는다고 한다.
<윤(尹)씨의 유래>
파평 윤씨의 시조 윤신달(尹莘達)은 태조 왕건을 도와 삼국을 통일하고 고려를 건국하는데 공을 세운 개국공신으로서 태자를 교육시키는 태사삼중대광에 봉해졌다. 그의 5세손인 윤관(尹瓘, 1040~1111) 장군은 고려 문종때에 문과에 급제하고 1107년(고려 예종3년)에 별무반이라는 특수 부대를 편성한뒤 여진정벌에 나서 적 5천명을 죽이고 130명을 생포하는 등 북진정책을 완수한공으로 영평(파평)백에 봉해져 후손들이 본관을 파평으로 하였다.
파평 윤씨의 시조 윤신달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있다.
경기도 파평(파주)에 있는 파평산 기슭에 용연(龍淵)이라는 연못이 있었다. 어느날 이 용연에 난데없이 구름과 안개가 자욱하게 서리면서 천둥과 벼락이 쳤다. 마을 사람들은 놀라서 향불을 피우고 기도를 올린지 사흘째 되는날, 윤온이라는 할머니가 연못 한 가운데 금으로 만든 궤짝이 떠 있는 것을 보고 금궤를 건져서 열어보니 한아이가 찬란한 금빛 광체속에 누워있었다. 금궤 속에서 나온 아이의 어깨 위에는 붉은 사마귀가 돋아있고 양쪽 겨드랑이에는 81개의 잉어 비늘이 나 있었으며, 또 발에는 황홀한 빛을 내는 7개의 검은 점이 있었다. 윤온 할머니는 이 아이를 거두어서 길렀으며 할머니의 성을 따서 윤씨가 되었다.
잉어에 대한 전설은 윤신달의 5대손인 윤관의 일대기에도 또 나온다. 윤관이 함흥 선덕진 광포(廣浦)에서 전쟁 중에 거란군의 포위망을 뚫고 탈출하여 강가에 이르렀을 때 잉어떼의 도움으로 무사히 강을 건너 탈출하였다. 이번에는 장군의 뒤를 쫓던 적군이 뒤쫓아와 강가에 이르자 윤관 장군에게 다리를 만들어 주었던 잉어떼는 어느틈에 흩어져 버리고 없어졌다.
그래서 파평 윤씨는 잉어의 자손이며 또한 선조에게 도움을 준 은혜에 보답하는 뜻으로 잉어를 먹지 않는다고 한다.
- 묘는 경북 영일군 기계면 봉계동에 있다.
<영해박씨(寧海朴氏) [유래]>
시조 박제상(朴堤上)은 신라 눌지왕때의 충신으로 유명하며 신라 파사왕의 6세손이다.
신라 내물왕 때 이손 신랑주간 등을 지냈고, 418년(눌지왕 1년) 삽량주(경북 양산군) 태수로 있던 박제상은 고구려에 볼모로 잡혀있던 눌지왕의 첫째 동생 복해(卜海, 또는 보해)를 탈출시켜 귀국했으며 집에도 들르지 않고 다시 일본에 특파되어 볼모로 잡혀있던 눌지왕의 둘째 동생 미사흔(未斯欣, 또는 미해)을 탈출시켜 귀국하게 하였다.
자신은 체포되어 발 가죽을 벗기고 갈대위를 걷게 하고, 쇠를 달구어 그 위에 세우는 등의 고문을 당하며 일본 신하가 될것을 강요 당하였으나 "계림의 개, 돼지가 될지언정 왜국의 신하가 되지는 않겠다."며 거절하고 박다진 목도(木島 : 기시마섬)에서 화형을 당해 죽었다. 지금도 갈대 위가 붉은 것은 박제상 피의 흔적이라고 한다.
박제상이 부인 김씨에게는 알리지 않고 일본으로 떠난 뒤 그 사실을 알고 쫓아갔으나 만나지 못하자 망덕사(望德寺) 남쪽 모래 위에서 몸부림치며 통곡하였는데, 후세 사람들은 그 모래를 장사(長沙)라 하였으며, 친척 두 사람이 부인을 부축하여 돌아오려 하자 부인은 다리를 뻗은 채 앉아서 일어나지 않았다. 그래서 사람들이 그곳을 벌지지(伐知旨 : 뻗치다의 고유음)라 하였다.
박제상이 돌아오지 않자 부인은 남편을 사모하는 마음을 이기지 못하여 두 딸과 치술령(述嶺: 수릿재. 울산, 경주 경계에 있음.)에 올라가 남편을 부르며 통곡을 하다가 죽어서 망부석이 되었다. 이 망부석은 현재도 유명한 망부석이며 사람들이 부인 김씨를 치술신모(수릿재 신모)라고 하여 사당을 지어 제사를 지냈다.
두 딸 박아기, 박아경 또한 아버지를 부르며 통곡을 하다 죽으니 세 모녀를 "호국삼신여"라 칭하고 치술 신모사를 지어 제사를 지내게 하고 국대부인에 봉했다.
왕이 박제상의 충절을 가상히 여겨 대아찬에 추증하고 단양(영해)군에 봉했으며, 박제상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그의 둘째 딸을 미사흔과 결혼시켰다.
후손들이 그를 시조로 하고 26세손 중시조 박천명(朴天命)이 고려 때 전법사판서를 지냈으며 벽상공신으로 예원(영해)군에 봉해지자 본관을 영해로 하였다.
<허(許)씨의 유래>
허씨는 48년 가락국 수로왕비인 보주태후(普州太后) 허황옥이 아유타국(인도의 한 나라) 군주의 공주로서 16세때 배에다 석탑을 싣고 지금의 경남창원군 능동면 용원리에 있는 부인당으로 들어와 정박을 했는데 김수로왕이 왕비로 맞이하였다.
수로왕은 10남 2녀가 있었는데 왕비가 자신이 죽은 후에 성씨를 전하지 못함을 슬퍼하자 두 아들이 모성을 따르게 하여 우리나라 허씨의 시초가 되었다. 허씨는 김해 김씨, 인천이씨함께 같은 혈족이라며 종친회명을 '가락중앙종친회'로 만들어 이에 속해있다.
<개성 내씨(開城 乃氏) [유래]>
내씨는 원래 개성 왕씨로 고려의 왕족 이었는데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개국하며 왕씨가 멸족을 당하게 되자 공민왕(고려 31대)때의 재상이었던 왕씨 한사람이 살기위해거 도망을 하던중 임진강 나루터에서 검문을 하던 포졸이 성씨가 뭐냐고 묻자 당황하여 '네?' 하고 반문하자 포졸이 내씨로 기록을 하여 내씨가 되었으며 본관은 원래 왕씨의 본관인 개성으로 하였다. 노일전쟁때 이름을 날렸던 내목대장도 왕씨(내씨)의 망명족이라고 하지만 확실히 알 수는 없다.
* 동물 이름을 성씨로 - "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왕건이 고려를 세울때 목천(충남 천원군 목천면)에 살던 백제 유민들이 백제의 재건을 위해 항쟁을 하자 화가난 태조 왕건이 목천 사람들에게 목천 우(牛-소)씨, 목천 상(象-코끼리)씨, 목천 돈(豚-돼지)씨, 목천 장(獐-노루)씨 등의 동물 성씨를 억지로 붙여 주었으나 후에 우(禹), 상(尙), 돈(頓), 장(張) 등 같은 음의 다른 글자로 성을 바꾸었다고 한다. 그러나 믿을 수 있는 이야기는 아니다.
== 국가별 이야기 ==
<고조선>
BC 108년까지 요동과 한반도 서북부 지역에 존재한 한국 최초의 국가.
《삼국유사》를 쓴 일연(一然)이 단군신화에 나오는 조선(朝鮮)을 위만조선(衛滿朝鮮)과 구분하려는 의도에서 '고조선'이란 명칭을 처음 사용하였고, 그뒤에는 이성계(李成桂)가 세운 조선과 구별하기 위해서 이 용어가 널리 쓰였다. 지금은 단군이 건국한 조선과 위만조선을 포괄하여 고조선이라고 부른다. 고조선의 건국시기는 확실하지 않다. 《삼국유사》에 전하는 단군신화에서는 기원전 2333년에 단군이 고조선을 건국하였다고 기술하였으나, 그대로 믿기 어렵다. 건국연대를 위로 끌어올린 이유는, 역사가 오래될수록 그 왕조는 권위가 있으며 민족도 위대하다는 인식의 반영에 불과하다.
고조선이 처음 역사서에 등장한 시기는 기원전 7세기 초이다. 이 무렵에 저술된 《관자(管子)》에 '발조선(發朝鮮)'이 제(齊)나라와 교역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또 《산해경(山海經)》에는 조선이 보하이만(渤海灣) 북쪽에 있던 것으로 나타난다. 이들 기록에 나타난 조선은 대체로 랴오허(遼河) 유역에서 한반도 서북지방에 걸쳐 성장한 여러 지역집단을 통칭한 것이다. 당시 이 일대에는 비파형동검(琵琶形銅劍)문화를 공동기반으로 하는 여러 지역집단이 성장하면서 큰 세력으로 통합되고 있었다.
단군신화는 고조선을 세운 중심집단의 시조설화(始祖說話) 형식으로 만들어졌다가, 뒤에 고조선 국가 전체의 건국설화로 확대된 것으로 여겨진다.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에 들어와 주(周)나라가 쇠퇴하자 각 지역의 제후들이 왕이라 칭하였는데, 이때 고조선도 인접국인 연(燕)나라와 동시에 왕을 칭하였다고 한다. 더욱이 고조선은 대규모 군대를 동원하여 연을 공격하려다가 대부(大夫) 예(禮)의 만류로 그만두기도 하였다. 이렇게 고조선은 BC 4세기 무렵 전국칠웅(戰國七雄)의 하나인 연과 대립하고, 또 당시 중국인들이 교만하고 잔인하다고 표현할 정도로 강력한 국가체제를 갖추었다. 그러나 BC 3세기 후반부터 연이 동방으로 진출하면서 고조선은 밀리기 시작하였다.
BC 300년을 전후한 시기에 연의 장수 진개(秦開)가 요하 상류에 근거를 둔 동호족(東胡族)을 원정한 다음 고조선 영역내로 쳐들어왔다. 이때 연은 요동지방에 요동군(遼東郡)을 설치하고 장새(障塞)를 쌓았다. 그 결과 고조선은 서방 2,000여 리의 땅을 상실하고, 만번한(滿潘汗:랴오둥의 어니하 및 그와 합류한 청하의 하류지역에서 동북으로 성수산을 잇는 선을 중심으로 한 지역 일대)을 경계로 연과 대치하였다. 이 무렵 고조선은 그 중심지를 요하 유역쪽에서 평양지역으로 옮긴 것으로 여겨진다. 그뒤 진(秦)나라가 연을 멸망시키고(BC 222), 요동군에 대한 지배권을 강화하였다.
고조선의 부왕(否王)은 진의 공격이 두려워서 복속할 것을 청하였지만, 직접 조회(朝會)하는 것은 거부하였다. 부왕이 죽고 아들 준왕(準王)이 즉위할 무렵 진(秦)이 내란으로 망하고, 대신 BC 202년 한(漢)이 중국을 통일하였다. 한은 진과 같이 동방진출을 적극 꾀하지 않고, 다만 과거 연이 쌓은 장새만을 수축하고 고조선과의 경계를 패수(浿水)로 재조정하였다.
<위만조선>
BC 195년 연왕(燕王) 노관(盧)이 한에 반기를 들고 흉노로 망명한 사건이 일어나자, 연지방은 큰 혼란에 휩싸이고 그곳에 살던 많은 사람들이 고조선지역으로 망명하였다. 이들 가운데 위만(衛滿)도 무리 약 1천 명을 이끌고 고조선으로 들어왔다.(위만은 고조선으로 들어올 때 상투를 틀고 조선인의 옷을 입고있었던 것으로 보아 연나라에 살던 조선인으로 보고있다.) 준왕은 위만을 신임하여 박사(博士)라는 관직을 주고 서쪽 1백리 땅을 통치하게 하는 한편, 변방의 수비 임무를 맡겼다. 그러나 위만은 BC 194년 중국 군대가 침입하여 온다는 구실을 허위로 내세우고, 수도인 왕검성(王儉城)에 입성하여 준왕을 몰아내고 왕이 되었다.
패배한 준왕은 뱃길로 한반도 남부로 가서 한왕(韓王)이 되었다. 이때부터 일반적으로 위만조선이라고 부른다. 위만은 유이민집단과 토착 고조선세력을 함께 지배체제에 참여시켜 양측간의 갈등을 줄이고 정치적 안정을 도모하였다. 중국문물을 적극 수용하여 군사력을 강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주변의 진번, 임둔 세력을 복속시켰다. 위만의 손자 우거왕(右渠王) 때는 남쪽의 진국(辰國)을 비롯한 여러 나라가 한(漢)과 직접 통교하는 것을 가로막고 중계무역의 이익을 독점하였다. 이에 불만을 느낀 예군(濊君) 남려(南閭) 세력은 한에 투항하였다.
이즈음 한(漢)은 동방진출을 본격화하였는데, 그것은 고조선과의 긴장을 고조시켰다. 양측은 긴장관계를 해소하기 위해서 외교적 절충을 벌였지만 성공을 거두지 못하였다. 한은 BC 109년 육군 5만과 수군 7천을 동원해 수륙 양면으로 고조선을 공격하였고, 고조선은 총력을 다하여 이에 저항하였다.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고조선 지배층 내부가 분열, 이탈되었다. 조선상(朝鮮相) 역계경(歷谿卿)은 강화(講和)를 건의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자신의 무리 2000여 호를 이끌고 남쪽의 진국으로 갔다. 또 조선상(朝鮮相) 노인(路人), 상(相) 한음(韓陰), 이계상(尼谿相) 삼(參), 장군(將軍) 왕겹(王?) 등은 왕검성에서 나와 항복하였다. 이러한 내분의 와중에서 우거왕이 살해되고 왕자 장(長)까지 한군에 투항하였다. 대신(大臣) 성기(成己)가 성안의 사람들을 독려하면서 끝까지 항전하였으나, BC 108년 결국 왕검성이 함락되고 말았다.
한은 고조선의 일부지역에 낙랑, 임둔, 현도, 진번 등 4군(한사군)을 설치하고 관리를 파견하여 통치하려 하였으나 토착민의 강력한 반발에 부딪혔다. 그래서 세력은 점차 약화되고 후에 고구려의 공격을 받아 소멸되었다. 이때 많은 고조선인들은 남쪽으로 이주하였고, 그들은 삼한사회(마한, 진한, 변한)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고조선이 한의 대군을 맞아 약 1년 동안 버틸 수 있었던 것은 고조선의 철기문화와 이를 기반으로 한 군사력이 막강하였기 때문이었다. 고조선 후기에는 철기가 한층 더 보급되고, 이에 따라 농업과 수공업이 더욱 발전하였고, 대외교역도 확대되어 나갔다. 이를 바탕으로 고조선은 강력한 정치적 통합을 추진하였지만, 기본적으로 여러 세력의 연합적 성격을 극복하지는 못하였다. 각 지배집단은 여전히 독자적인 세력기반을 보유하고 있었고, 고조선 정권의 구심력이 약화되면 언제든지 중앙정권으로부터 쉽게 이탈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고조선 말기 지배층의 분열도 그러한 성격에 말미암은 바가 컸다. 지배층 사이의 취약한 결속력은 고조선 멸망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고조선 사회에 대해서는 기록이 전하지 않아 자세하게 알 수 없으나, 지금 전하는 범금팔조(犯禁八條)를 통해 볼 때 계급의 분화가 상당히 진전되었을 뿐만 아니라 사유재산제, 신분제가 존재한 사회였음을 알 수 있다.
<기자조선>
중국 은나라 말기에 기자(箕子)가 조선에 와서 단군조선에 이어 건국하였다고 하는 나라.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기자조선의 실체를 인정하였지만, 최근에는 이를 인정하지 않는다.
기자가 조선에 와서 왕이 되었다는 사실을 전하는 대표적인 역사책은 복생(伏生)의 '상서대전(尙書大傳)', 사마천의 '사기(史記)', 반고의 '한서(漢書)' 등인데, 사서마다 내용이 약간씩 다르다. 그 밖의 기자에 관한 기록들은 모두 이들 세 사서에 그 유래와 근거를 두고 있다.
《상서대전》에는 주(周)의 무왕(武王)이 은(殷)을 멸망시키고 감옥에 갇힌 기자를 석방하자, 그는 이를 탐탁치 않게 여겨 조선으로 달아났다. 무왕이 이 소식을 듣고 조선왕으로 봉하였다. 주의 책봉(冊封)을 받은 기자는 부득이 신하의 예를 차려야 하였으므로 BC 1100년경(무왕 13)에 주나라에 가서 무왕을 만났는데, 무왕은 그에게 홍범9주(洪範九疇)에 대해서 물었다고 한다.
또, 《사기》의 송미자세가(宋微子世家)에는 무왕이 은을 정복한 뒤 기자를 방문하여, 백성을 편안하게 하는 방도를 묻자 홍범9주를 지어 바쳤다. 이에 무왕이 그를 조선왕으로 봉해주었으나, 기자는 신하의 예를 갖추지 않았다고 한다.
마지막으로 《한서》의 지리지 연조(燕條)에는 은나라가 쇠하여지자 기자가 조선에 가서 그 백성에게 예의와 농사, 양잠, 베짜기 기술을 가르쳤더니, 낙랑조선(樂浪朝鮮) 사회에서는 범금팔조(犯禁八條)가 행해지게 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기록들을 근거로 '위략(魏略)'에서는 위만에게 왕위를 빼앗긴 준왕(準王. 고조선 마지막 왕)을 기자의 후예로 기술하였으며 '삼국지'는 이것을 인용하였다.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기자조선의 실체를 인정하였지만, 최근에는 이를 부정하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먼저 문헌상으로 기자가 조선에 와서 왕이 되었다는 것을 입증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기자는 기원전 1100년 전후의 인물인데, 기원전 3세기 이전에 쓰여진 《논어》 《죽서기년(竹書紀年)》 등에는 기자가 조선으로 갔다는 기록은 없고 기자의 존재 자체만 언급하고 있다.
기자동래설이 사실이라면 이들 기록에 그에 관한 언급이 있을 법한데 그렇지 않다. 그런데 기자의 동래 사실을 전하는 사서들은 한결같이 모두 기원전 3세기 이후에 쓰여진 것들이다.
따라서 이를 근거로 한 기자동래설은 기원전 3~2세기 무렵에 중국인들이 중화사상에 입각하여 조작해낸 것이 아닌가 의심된다.
실제로 기자가 조선에 와서 왕이 되었다면, 황하유역과 만주, 한반도 지역의 청동기문화가 긴밀하게 관련되어야 함에도, 동북아시아의 청동기문화는 비파형(琵琶形)동검문화로 특징되듯이, 계통상으로 중국 황하유역의 것과 뚜렷하게 구분된다.
뿐만 아니라 기자가 조선에 와서 예의범절과 문화를 전하였다면, 은나라에서 사용된 갑골문(甲骨文)이 고조선지역에서 발견되어야 함에도 현재 발견된 예가 전혀 없다.
이처럼 기자동래설의 모순점이 밝혀지면서 이에 대한 여러 가지 새로운 해석이 제기되었다. 먼저 기자조선을 고조선 내부에서 등장한 새로운 지배세력, 즉 한씨조선(韓氏朝鮮)의 등장과 동일한 것으로 파악한 견해가 있었다.
즉 후한 왕부(王符)의 《잠부론(潛夫論)》에 ꡒ주나라 선왕(宣王) 때 한후(韓侯)가 연나라 근처에 있었다. 그후 한의 서쪽에서도 성(姓)을 한(韓)이라 하더니 위만(衛滿)에게 망하여 바다로 옮겨갔다.(…立姓韓 爲衛滿所伐 還居海中)ꡓ라는 기록이 있다. 여기서 바다로 간 자는 바로 준왕(準王)이므로 그의 성은 기씨가 아니라 한씨이며, 중국인이 아니라 한인(韓人)인 것이라고 주장한 것이다.
후대에 기자를 한씨의 먼 조상이라고 하는 것은 중국의 성인을 자기의 조상으로 함으로써 가문을 빛내기 위함이었으며, 특히 기자릉(箕子陵. 고려 숙종때 평양에 축조)이나 기자묘(箕子墓)가 생기게 된 것은 고려시대부터의 사대사상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측된다.
또 1970년대에는 한국 민족의 기원을 종족이동이라는 시각에서 바라보면서 기자조선의 실체를 재조명한 견해가 제기되었다. 이에 따르면, 동이족의 일파인 기자족이 화북방면에 있다가 은주교체기(殷周交替期)와 춘추전국(春秋戰國)과 같은 격동기에 북중국, 남만주, 평양으로 이동하여 기자조선을 세웠다는 것이다. 이 견해는 기존의 사료를 새로운 각도에서 재해석한 점에서 상당한 관심을 불러일으켰지만, 그 내용을 고고학적으로 뒷받침하지는 못하였다.
한편 기자는 특정 개인의 이름이 아니고 '기국(箕國)의 제후'를 가리킨다는 견해도 있다.
《춘추좌씨전》에는 주나라 초기의 제후국으로서 '기국'이 보이며,
《국어(國語)》에는 기국을 정복한 진(晋)나라 고대의 성씨에 기씨(箕氏)가 있다는 사실이 전한다.
또한 기후(箕侯)를 중심으로 한 기씨 일족이 주(周) 초기에 북방의 정복활동에 종사하다가 뒤에 산시(山西)에서 산둥(山東)으로 이봉(移封)되었다는 기록들을 그 근거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고고학적으로 기국의 존재를 알려주는 '기후(箕侯)' '기(箕)' '기후방정(箕侯方鼎)' 등의 명문이 새겨진 은나라, 주나라의 청동기가 중국 각지에서 출토되는 것도 그 견해를 뒷받침해주는 유력한 증거로 제시된다. 다만 이 견해는 기국(箕國)이 기자조선을 말하는 것인지, 만약 그렇다고 한다면 기자조선과 고조선은 어떠한 관계였는지에 대해 합리적으로 설명하지 못하는 약점을 지니고 있다.
위의 견해 가운데 어느 것이 타당한가는 현재로서 명확한 답을 줄 수 없다. 다만 이상에서 볼 수 있듯이 기자동래설 그 자체는 부정된다 하더라도 자료의 해석방향에 따라 그것이 다양하게 이해되고 있는 측면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상고사(上古史)에 대한 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기자조선에 관한 자료는 그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실제로 은주시대에 수많은 사람들이 고조선으로 이동하여 왔는데, 기자동래설은 바로 이같은 주민이동과 그에 따른 고조선의 사회변동과 어떤 형태로든 관계가 있다. 더욱이 기자동래설을 고려와 조선시대에 사실로 인정하였을 뿐만 아니라 기자묘를 세우고 국가 차원에서 숭배하였다는 점에서도 기자조선 문제는 한국 사상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적다고 볼 수 없다.
기자후예 또는 기자를 따라왔다고 하는 성씨는 다음과 같다.
[ 기자의 후예 ]
행주 기(奇)씨 , 서(徐)씨 , 태원 선우(鮮于)씨 , 청주 한(韓)씨
[ 기자와 같이온 성씨 ]
해주, 태인 경(景)씨 , 토산 궁(弓)씨 , 봉화 금(琴)씨 , 밀양, 함평 노씨(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