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피 해
월동난에서 부화한 약충이 성충이 되어 어린잎으로 이주하여 주로 기생하는데 시설재배 작물의 잎이나 줄기는 물론 꽃이나 열매 등에도 기생하여 즙액을 빨아먹음으로써 식물체의 양분이 소실되고 잎이 오그라지거나 말리는 등 변형이 되기도 한다. 또 감로를 분비하여 그을음병을 유발하기도 하는데 그을음병이 발생되면 잎이 검어지며, 광합성이 저해되어 식물체가 연약해 진다.
2. 형 태
무시충(날개가 없는 벌레)은 난형이고 녹색 내지 적록색으로서 뿔관은 흑색이고, 중앙부가 약간 팽대되어 있으며 성충은 약 2㎜정도이다. 기주 내 진딧물 밀도가 증가되면 진딧물 크기가 작아지며, 또한 다른 기주로 이동을 위한 유시충 발생이 많아진다. 유시충(날개가 있는 벌레)은 담적갈색이고, 더듬이의 제 3마디에 10~15개(평균 12개)의 원형 감각기가 있다. 배의 등면에는 각 마디에 흑색의 띠와 기문이 있고, 뿔관은 중앙부 뒤쪽이 팽대되어 있다. 알은 긴 지름이 0.66㎜ 정도이고, 흑색이며 긴 타원형이다.
3. 생활사
빠른 세대는 1년에 30회 이상, 늦은 세대는 9회 정도 발생하며, 복숭아나무 겨울눈 부근에서 알로 월동한다. 3월 하순~4월 상순에 부화한 간모는 단위생식을 하는데 무시충을 생산하며 새끼들은 신소 또는 새잎에 기생한다. 2~3세대 경과 후 5월 상순~5월 중순에 유시충이 생겨 여름숙주인 고추, 배추, 가지 등으로 이주한다. 여름에는 고온으로 밀도가 일시 감소하나 9월 상순에 다시 증식하여 발생이 많으며, 여름숙주에서 6~18세대 번식하다가 온도가 내려가고(15℃이하), 일장이 짧아지는 늦가을이 되면 유시충이 생겨 다시 겨울숙주인 복숭아나무로 날아와 여기에서 산란성 암컷이 되며 여름숙주에서 날아온 수컷과 교미한 후 암컷이 다 자라면 11월 상순~11월 중순에 겨울눈 부근에 알을 낳는다(알이 처음에는 담색이었지만 나중에는 칠흑색이 된다).
4. 매개하는 바이러스
진딧물은 다른 해충들과는 달리 직접적인 피해 이외에 2차적인 피해로 농작물에 TuMV(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 CAMV(꽃양배추모자이크바이러스), CMV(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등의 바이러스병을 옮긴다. 이들 바이러스병은 작물체가 어린 시기부터 진딧물 흡즙에 의해 매개되어 괴사반점이 생기거나 지상부 또는 지하부의 생육이 저해되어 농약을 사용해도 치료가 되지 않아 수량이 크게 감수될 뿐 아니라 농산물의 상품가치를 떨어뜨려 이중의 피해를 유발한다
5. 방제기술
시설재배지 복숭아혹진딧물의 방제방법은 목화진딧물 방제기술과 마찬가지로 ① 약제를 이용한 화학적 방제법 ②시설재배지 측창에 망사를 설치하여 진딧물의 침입을 차단하는 방법 ③ 진딧물이 싫어하는 색깔인 백색이나 청색테이프를 포장 주위에 쳐놓고 진딧물의 비래를 낮추는 방법, ④ 진딧물의 기주식물이나 전염원이 되는 작물을 미리 제거해 진딧물 발생을 줄이는 방법 ⑤진딧물 천적인 무당벌레, 진디혹파리, 풀잠자리, 진디벌 등을 이용한 생물적 방제법 등이 시도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