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교수님. 경영학과 15학번 나영민이라고 합니다. 뒤 늦게 정정을 통해 강의를 들어서 급하게 진도까지 듣긴 하였지만, 다른 과목도 있다보니 과제를 올리는 것이 늦어져서 지금에서야 올립니다!!
21세기에 들어서 국가의 경쟁력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지표가 경제력인 만큼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것이 GDP가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GDP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GDP? 1년 내에 한 국가에서 생산된 최종 생산물들의 가치를 모두 합한 금액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외국 기업이 국내에서 생산하였다고 하더라도 국내의 GDP에 들어간다는 것입니다. 이는 물가를 고려하는 명목 GDP와 물가를 고려하지 않는 실질 GDP로 나뉩니다.
가장 최근의 GDP를 살펴보자면, 2018년의 자료는 이미 다른 분들이 찾은 것 같아서 2019년 기준으로 나열하겠습니다. (달러 기준으로 IMF사이트에서 참고하였습니다. 첨부파일에 첨부하겠습니다.)
<2019년, 2020년 현재 기준>
30위: 노르웨이 $4,200억
29위: 아르헨티나 $4,432억
28위: 오스트리아 $4,625억
27위: 이란 $4,630억
26위: 나이지리아 $4,948억
25위: 벨기에 $5,295억
24위: 스웨덴 $5,407억
23위: 태국 $5,573억
22위: 대만 $6,030억
21위: 폴란드 $6,067억
20위: 스위스 $7,494억
19위: 사우디아라비아 $7,833억
18위: 터키 $8,138억
17위: 네덜란드 $9,309억
16위: 인도네시아 $12,048억
15위: 멕시코 $13,224억
14위: 호주 $13,754억
13위: 스페인 $14,404억
12위: 대한민국 $16,265억
11위: 러시아 $16,575억
10위: 캐나다 $18,124억
9위: 브라질 $18,930억
8위: 이탈리아 $20,136억
7위: 영국 $27,165억
6위: 프랑스 $27,716억
5위: 인도 $32,021억
4위: 독일 $39,822억
3위: 일본 $53, 130억
2위: 중국 $152,699억
1위: 미국 $223,217억
우리나라의 경우 2019년에 GDP 12위로 자리를 잡고 있으며 2020년도에도 여전히 변화가 없을 것이라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GDP의 성장률이 우리나라의 경우 대략2%정도였고 코로나 여파로 인하여 처음에는 우리나라 경제력만 많이 떨어지겠구나 생각을 하였는데 지금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로 인한 여파가 심각한 수준에 있기 때문에 이 일이 마무리되고 2020년 4분기에 다시 GDP를 살펴볼 필요성이 있는 것 같습니다. 영국 경제 연구소에서도 그렇고 여러 사람들이 하는 말을 인용하자면, 러시아와 캐나다를 뛰어 넘고 우리나라 GDP가 향후 5~6년 사이에 10위에 자리를 잡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여기서 좀 더 살펴보자면 중국과 미국이 여전히 1,2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1인당 GDP가 1만 달러 정도 밖에 안되지만(우리나라의 경우 1인당 GDP가 약 3만2천달러) 미국과 경제전쟁을 벌일 만큼 강력한 나라인데, 이것이 시사하는 바는 국가 GDP는 인구 수에 대비하여 정말 커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인도의 경우도 지금의 상황을 살펴보면 여러 나라들이 눈 여겨 보고있고, 후에 정말 경제시장에서 강대한 영향을 줄 것이지만, 지금의 우리의 인식에서의 인도는 아직도 화장실이 없고, 허름한 집에 살 것 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실상은 전세계 GDP 순위가 5위인 만큼 무시할 나라가 아니며, 이는 인구가 많은 것도 이유로 볼 수 있습니다. (아시아권 최고의 부자라 알려져 있는 암바니도 인도에 삼) 향후에는 경제 발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GDP는 꾸준히 상승 할 것이고 후에 인도는 전 세계 GDP 3위가 될 것이라고 보는 견해가 많습니다.
이에 대비하여 한국은 고령화 사회로 나아가면서도 출산율이나, 인구는 계속해서 줄고 있습니다. 출산율이 1%도 안되는 것을 보면 이는 우리 나라 국가 GDP, 경쟁력, 경제력에도 후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 GDP 12위이면 전 세계에서 상위권에 들 정도로 막강한 나라입니다. 즉, 왠만한 나라들이 우리 나라를 보면 정말 강대국이라는 말입니다. 하지만, 우리 나라 국민들은 여러 안 좋은 뉴스, 또는 단면적인 모습만 봐서인지 우리나라의 힘을 잘 모르고 있는 것 같습니다. 또한 일본, 중국, 미국, 북한 등 여러 나라들에게 둘러쌓여 있고 거기에 더불어 경제, 핵, 방위비 등등 사건 사고에 많이 휘둘리고 있기 때문에 그 인식이 더 강해지는 것 같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출산, 고령화, 인구 수에 대한 문제를 빨리 해결하여 더욱 더 강력한 경쟁력을 갖출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니면, 북한과 통일을 이룬다면 더욱 더 빨리 5~6위권의 GDP수준의 경제력을 갖출 수 있지만, 아직은 실현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생략하겠습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요소들이 영향을 줄 수 있지만, 다 다루고자 한다면 정보의 양이 너무 많기 때문에 간단히하도록 하겠습니다. 아, 그리고 제 개인적인 의견도 조금 들어갔기 때문에 혹시 잘못된 내용이 있다면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제 GDP를 넘어가서 GNP에 대한 설명을 하겠습니다.
GNP? GNP란 간단히, 우리 나라 국민이 외국, 또는 국내에서 생산한 가치, 즉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 국민, 기업이 생산한 가치를 말합니다. 이는 GDP와는 비슷한 개념이지만 2000년대에 들어서는 잘 사용하지 않고 GDP는 세계적인 경제 지표로서 사용하고 GNP는 국가만의 경제수준을 보기 위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즉, GDP는 국가, GNP는 국민이라는 개념으로 보면 될 것 같습니다.
GNI? GNI는 보통 GNP를 대체 하여 사용할 경우가 많고 이는 GNP와 비슷한 개념이지만 쉽게 설명하자면 GNI는 우리나라 국민 전체가 해외든 국내든 벌어들이는 소득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즉, 나라 별 국민 소득을 파악하는 용도로서 파악하며 1인당 GNI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즉, GNI와 GNP는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 국민만이 대상이 된다는 것이 공통점이 있지만 GNP는 우리나라가 생산한 총 금액의 개념이고, GNI는 경제 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수익을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다음 과제로는 현재 코로나의 영향과 그로 인한 경제 불황, 금융 위기가 또 오는 것 아니냐라는 의견과 여러 주가 지수들이 들쑥날쑥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무제한 양적완화 정책 등 여러 나라들이 경제 안정을 위한 노력을 하는 만큼, 예전의 2008년의 리만사태와 서브프라임모기지를 다뤄볼까 합니다.
앞으로는 좀 더 재미있는 경제 이슈를 쉽고 자세히 다루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첫댓글 첨부 파일이 들어가지 않아 개인적으로 쪽지나 메일 주시면 IMF 엑셀 자료를 보내드리겠습니다 !
영민이두 잘 정리했어~ ^^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어떻게 발생하게 되었고 그로 인하여 어떻게 되었는 지 간단히 다뤄도 될까요?
당근이쥐~! 이쁘다~^^
중간고사 과제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