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孔子) 탄생의 시절인연(時節因緣)
세계 4대 성인은 석가, 공자, 예수, 소크라테스 이다.
이 중에서 공자의 출생 인연을 살펴보자.
공(孔)은 성이고 자(子)는 남자의 미칭(美稱)으로 '선생'의 뜻 이며,
이름은 구(丘), 자는 중니(仲尼)이다.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태어났을 때 머리 꼭대기 가운데가
움푹 튀어나와 있었기 때문에 이름을 구(丘)라 했다고 한다.
기원전(紀元前) 6세기,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 노(魯)나라에 숙량흘(叔梁紇)이라는 사람이 살았다.
그는 기골(氣骨)이 장대(壯大)한 9척(尺)의 무인(武人)으로
노(魯)나라의 대부(代父)가 되었다.
그에겐 번듯한 아들 하나 남기고 죽을 수 있었으면 하는
소원(所願)이 있었는데 첫 부인과 사이에서 딸만 아홉을 낳았다.
그래서 둘째 부인을 얻어서 겨우 아들을 하나 보았는데
이름이 '맹피'로 절름발이였다.
어느덧 환갑이 지나자 숙량흘(叔梁紇)의 마음은 급해졌다.
불구자인 아들 하나 남기고 세상을 떠날 수는 없는 일이 아닌가?
그가 63세 되던 해 마을 사람에게서 이런 이야기를 들었다.
"성 밖으로 나가서 북쪽으로 10리쯤 가면 무녀(巫女)가 살고 있는데,
그녀에게 과년한 딸 셋이 있으니
찾아가서 부탁 한 번 해보면 어떻겠는가?"
마음이 혹한 숙량흘(叔梁紇)은 무녀의 집을 찾아가서
저간의 사정을 말하며 딸 하나 주기를 청했고 무녀가 딸 셋을 불렀다.
스무 살 첫째 딸에게 물었다.
"너, 이 어르신의 아이를 낳아 줄 생각이 있느냐?"
첫째는 고개를 저었다.
둘째에게 물었지만 그녀 역시 싫다고 말했다.
이번에는 열여섯 된 셋째에게 물었다.
그러자 "네, 어머니, 저는 기꺼이 어르신의 뜻을 받들겠습니다."
그녀의 이름은 안징재(顔徵在)로
성품이 고결하고 마음이 섬세한 여인이었다.
16살 처녀 징재와 63세 노인 숙량흘(叔梁紇)은
집 근처 들판에서 몸을 섞었다.
이윽고 안징재의 몸에서 태기가 생겼고
열 달을 보낸 후 건강한 사내아이가 태어났다.
이 사내아이가 바로 세계 4대 성인(聖人)의 한사람인 공자(孔子)다.
공자는 절묘한 시절인연(時節因緣)으로 태어난 인물이다.
공자 같은 걸출한 인물은 첫째 부인이 아들이 있었거나
둘째 부인 아들이 정상아였다면 태어날 수 없었고,
또 무당의 첫째나 둘째 딸이 아이를 낳아 준다고
승낙을 했다면 태어나지 못했다.
공자의 출생에 대해 서얼이니, 사생아니, 야합(野合)이니 하는 말은
한 생명의 가치를 모르는 무식하고 비인간적인 망언(妄言)이다.
하늘이 맺어준 인연을 누가 막을 수 있는가?
사람의 탄생은 그 자체가 축복이고 환희이다.
출처 : 지리산 천년 3암자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