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회계 자격시험이란 무엇인가?
실무처리능력을 보유한 전문인력을 양성할 수 있도록 한국세무사회가 엄격하고 공정하게 자격시험을 실시하여 그 능력을 등급으로 부여하는 것이다.
[해설] 한국세무사회가 주관으로 실무위주의 시험을 통해 실제 업무에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양성하는 시험.
그렇다면, 시험 방식은 어떻게 치뤄지나??
전산회계1급의 경우 시험시간은 60분이 주어지며,
배점은 100점 만점 중 70점 이상인 경우 합격 처리 한다.
이 론 : 30점 (15문제)
실 기 : 70점
합격 점수를 알아 봤으니, 어떻게 점수를 확보할지 고민해봐야겠다.
시험이 실기 위주의 시험이므로, 가장 기본이 되어야 하는 것은 프로그램 숙련도와, 회계의 이해일 것이다.
실무시험의 장점은, 이론의 내용이 깊지 않다는 것이다. 기존의 기출문제를 통해, 대부분의 사람들이
실무시험의 유형을 예측, 파악할수 있으며 조금의 노력만 있다면, 60점 정도는 확보 할 수 있다.
실무시험의 가장 중요한 점은, 첫 문제인 기초정보 관리(10점)와 마지막 문제인 장부 조회 문제의 점수(9점)를 꼭 확보해야 한다는 것이다.
장부조회 문제의 경우 앞서 풀었던 문제와 관련 없는 범위에서 장부 조회 문제가 나오기 때문에, 앞서 풀었던 문제를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1급에서는 [일반전표] 문제(21점)를 확실히 공략해야 한다. 그 내용이 어렵지 않으며, 문제 수가 많을 뿐이므로, 놓쳐서는 안되는 문제다.
방금 말한 문제 점수 확보를 한다면, 40점을 확보한 셈이다.
이후 나머지 실무 문제에서 최대한의 점수 확보로 15점 이상은 확보해야 한다.
전산회계 시험에 있어, 이론 30점이 당락을 크게 결정한다.
이론의 문제 출제 범위가.
회계원리 7~8문제, 원가회계 5문제, 부가가치세 2~3 문제가 출제된다.
회계원리 = (자산,부채,자본의 구분), 계정과목, 거래 인식 조건, 수익, 비용의 개념 정도를 살펴 보면 될 것이고
원가회계 = 원가의 3요소, 개별원가계산의 개념, 종합원가계산의 개념만 확실히 알아두면 될 것이다.
부가가치세 = 부가세의 경우 비중이 적기 때문에, 회차가 지난 부가세에 해달하는 이론문제들을 모아
살펴 보면 될 것이다.
무엇보다 중요한것은, 시간이 촉박하기 때문에, 최대한 문제유형을 몸으로 익혀 문제푸는 시간을 단축해야 한다.
모두, 자격증 취득을 기원하며, 이 글을 마친다.
첫댓글 시험이 얼마 안남았네요. 설레기도 하고 담담하게 시험에 임해야지요. 모두 자격증 취득에 성공하시길 바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