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1수리(數理)정의
1) 영동수(靈動數)의 정의
數理란 측정단위이며 또한 변화과정을 나타낸다. 인간은 태어나면서 1세가 되고 8세가 되면 초등학교에 입학한다. 20대 때
대개 사회에 진출하면서 결혼을 하며 40대의 성숙기를 거쳐서 나이와 더불어 서서히 늙어간다. 생로병사(生老病死)가 곧 수리의
변화인 셈이다. 재물의 수 즉 재수(財數)가 좋으면 부자가 되고, 운명의 수가 나쁘면 운수(運數)가 막혀 큰 낭패를 보며,
신수(身數)가 훤하면 그 해의 일이 잘 풀려 나간다. 이와 같이 영고성쇠(榮枯盛衰)는 수리에 따라 좌우되며, 수리는 인간의 운명을
지배하고 있는 것이다.
81수리는 영동수(靈動數) 또는 영산수(靈算數)라고도 부르는데 송나라 때의 대학자 채원정(蔡元定, 西山)선생이
64괘방원도(六十四卦方圓圖)를 본 따 81수원도(八十一數元圖)를 만들면서 수의 의미를 파악하고 술수의 한 분야로 개척하였다. 그 후
사람의 이름을 보고 한자의 획수에 의한 길흉을 설명하면서 그 사람의 운명을 분석하게 된 것이다. 현재 이름을 분석하여 개인의
운명을 판단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 되었는데, 성명 글자 중 획수를 조합하여 그 수가 가지고 있는 영향력의 의미를
밝혀내는 것이다. 즉 이름 자체에 내포되어 있는 길흉화복(吉凶禍福)과 희로애락(喜怒哀樂)을 해석하는 수리이다. 영동술(靈動術)이라
하여 우리나라의 대표적 도맥(道脈)을 이루는 태백산파 문중에서 현재 가장 많이 응용해서 쓰고 있는 술수 분야이기도 한데
성명학에서 활용하는 범위는 지극히 일부분일 뿐이다. 천부경을 비롯한 각종 경문이 81수(글자)로 이루어진 경문이 많은 것도 이에
비롯한다.
성명 세 글자에서 각 두 자씩의 획수를 조합하여 세 가지 운(주운, 부운, 외운)을 만들고, 세 글자의 획수를 모두 합하여
총운을 만든다. 이렇게 만든 운을 주운(원격), 부운(형격), 외운(이격), 총운(정격)이라 한다. 元格(원격), 亨格(형격),
利格(이격), 貞格(정격)의 四格(사격)은 독립해서 해당하는 시기에만 영향력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상호간에 연관성을 갖고 서로
영향력을 미치며, 이름의 주인공이 능력을 발휘하는 운세를 담을 수 있는 그릇이라 할 수 있다.
이 원리는 통계의 원리이기도 한데 2개 이상의 흉수가 겹치면 흉작용이 더욱 가중되므로, 元格(원격), 亨格(형격),
利格(이격), 貞格(정격)의 四格(사격)이 전부 좋은 격으로 구성되어야 좋다. 그리고 일부 성명학 교재 중에 21수, 23수,
33수, 39수 등은 남자에게는 좋으나 여자에게는 불길하다고 하는데 중국 고서에 실려 있는 원서에는 이런 말의 출처가 없음을
밝혀둔다. 이 수는 남존여비(男尊女卑)의 유교사상에서 나온 말로서, 너무 좋은 수라 여자에게는 줄 수 없다는 사고방식에서 나온
것으로 사료되며, 지금은 남녀 평등시대이고 여자도 능력에 따라서는 대통령도 될 수 있는 시대이기 때문에 이 이론은 버려도 되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조심스럽게 하는 바이다. 21세기에는 도저히 맞지 않는 이론이다.
2) 영동수 해설
▣ 1 數理 : 태초격(太初格) 군왕옥좌지상(君王玉座之象)
출발권위(出發權威) 온건착실(穩健着實) 부귀장수(富貴長壽)
空에서 1수가 탄생되었다. 모든 수의 시작이며 으뜸이다. 황제가 옥좌에 앉아 있는 것과 같이 만인(萬人)의 우두머리,
최고의 권위와 부귀, 영구불변을 나타낸다. 고집이 강하며 고독한 면이 있다(형제가 적을 수가 있음). 장남 장손일 때는 “一”자를
쓰지만 차남에게는 쓰지 않는다. 또한 여자에게는 적합하지 않는 數理다
▣ 2 數理 : 분리격(分離格) 제사분리지상(諸事分離之象)
분리파괴(分離破壞) 독립불능(獨立不能) 육친무덕(肉親無德)
“1”이 陽의 數理라면 “2”는 陰의 數理다.
고독과 근심 분리의 운이며 모든 일이 분리되는 형상이다. 독립이 불가능하고 육친이 무덕하다. 고향을 떠나고 실패를
되풀이하며 허무(虛無)와 비애(悲哀)와 고독을 안고 산다. 질병의 고통과 불구, 단명의 위험이 있다. 이 수를 가진 사람은 용기를
키우고 매사 긍정적이고 진취적인 결단력을 기르는데 힘쓰는 것이 좋으며 색난을 당하기 쉬우므로 유의해야 한다.
▣ 3 數理 : 발전격(發展格) 만물시왕지상(萬物始旺之象)
명부양전(名富兩全) 지모출중(智謀出衆) 지도적인물(指導的人物)
새로이 태어나는 수복의 운이며 만물의 시작함이 왕성한 형상이다. 총명하고 지모가 출중하다. 출세하여 이름을 날리고
부귀공명을 얻는다. 많은 사람의 위에 있는 지도적인 인물이다. 30이전에 입신양명하는 좋은 암시가 있다. 선천 운명과 조화를
이루면 위대한 인물로 기대할 만한 수다.
▣ 4 數理 : 부정격(否定格) 동서각비지상(東西各飛之象)
박약좌절(薄弱挫折) 제사불성(諸事不成) 미모다색정(美貌多色情)
파괴의 운이며 동과 서로 각각 날아가며 흩어지는 형상이다. 좌절과 중단으로 바라는 바가 이루어지기 힘들고, 역경에서
헤맨다. 맵싸한 고통과 파멸의 數다. 육친이 무덕하고 가정이 불화한다. 신체적 불구와 단명의 위험이 있다. 4수리는 14, 24 와
더불어 미남, 미녀의 수리이며, 간혹 효자, 열녀 등의 인물도 있으나 극히 드문 일이다. 성격 개조에 노력하여 흉을 최소화
하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 5 數理 : 성공격(成功格) 능성만물지상(能成萬物之象)
복록장수(福祿長壽) 지모겸비(智謀兼備) 부귀영달(富貴榮達)
길성(吉星)이 비추어 주는 성공의 운이며, 능히 만물을 生하여 주는 형상이다. 출세하여 가문을 일으키고 행복하며 장수한다.
지모를 겸비하고 상하가 신임하니 만인을 통솔하고 대업을 성취한다. 5는 2와 3을 합했고 4와 1이 합한 수다. 음과
양이 적절히 배합되었으니 덕망이 있고 항상 중정(中正)에 서 있으며 정도(正道)를 걷는다.
▣ 6 數理 : 계승격(繼承格) 음덕시태지상(蔭德始胎之象)
안온여경(安穩餘慶) 대업계승(大業繼承) 부귀영달(富貴榮達)
生數 1. 2. 3. 4. 5와 成數 6. 7. 8. 9. 10 에서 “6”은 생수에서 성수로 계승하는 수이며, 성수의
시작이 되는 수이다. 계승하여 이루어서 풍부해지는 운이며 음덕이 새롭게 잉태해 가는 형상이다. 온유하고 인자하니 경사스러움이 있고
복덕이 모여서 집안에 가득하다. 대업을 계승하여 이름을 사해(四海)에 떨친다.
이 수는 투기로 큰 성공을 거둘 수도 있다.
▣ 7 數理 : 독립격(獨立格) 강건전진지상(剛健前進之象)
외강내유(外剛內柔) 심신강건(心身剛健) 초지관철(初志貫徹)
발달하는 운이며 강건하게 전진하는 형상이다. 완강하며 자존심이 강하고 초지일관하여 목적을 달성한다. 다른 사람과의 인화에 힘쓰고 선천운명이 뒷받침이 된다면 큰 뜻을 품고 매진해 볼 만한 수이다.
▣ 8 數理 : 개척격(開拓格) 자력발전지상(自力發展之象)
근면발전(勤勉發展) 수복겸전(壽福兼全) 자수성공(自手成功)
건강하고 스스로 발전을 쟁취하는 형상이다. 초지일관하여 부지런히 노력해서 성공을 거두며 이름을 날린다. 실패를 하더라도
칠전팔기의 정신을 가지고 결국은 성공한다. 독창(獨創), 발명(發明), 발견(發見), 개척(開拓), 탐험(探險)의 뜻을 가지고
있다. 외유내강의 기풍과 인화의 심덕을 쌓는다면 아무리 어려운 난관도 극복하며 대업을 성취하여 사회적인 명성과 부를 약속받을 수
있는 자수성공의 수이다.
▣ 9 數理 :궁박격(窮迫格) 대재무용지상(大材無用之象)
흥진전패(興盡轉敗) 중도좌절(中途挫折) 고독단명(孤獨短命)
대망을 품었으나 벼랑 끝으로 몰리는 운이며 큰 재목이지만 쓰일 곳이 없는 형상이다. 지혜와 재주가 있어 큰 뜻을 가져보지만 중도에 좌절하고 실패한다.
역경 속에서 질병과 고독과 비애를 안고 산다. 마치 시세가 불리한 때에 태어난 영웅처럼 성공이 중도에 좌절하여 비참해지는 경우이다. 부부운은 불행이 따르는 경우가 있다.
▣ 10 數理 : 공허격(空虛格) 만사허무지상(萬事虛無之象)
다재다능(多才多能) 절처봉생(絶處逢生) 중년요절(中年夭折)
음수(陰數)의 마지막이며 영(零)의 위치에 있는 수로서 태초의 공허함으로 돌아가는 단명의 운이며, 공허함이 끝이 없는
형상이다. 수리의 순환은 우주의 법칙으로 공허와 사멸(死滅)과 종결(終結)은 다시 태어남의 시원(始源)이 됨으로 10수는 모든
것이 끝나는 곳에서 생을 다시 만나는 의미가 있다. 다재다능하고 용의주도하여 한때 이름을 날리기도 하지만 중도에서 좌절한다.
육친의 덕이 없고 가정적으로 불행하기 쉽다. 그러나 선천운명과 조화가 양호하면 대부, 대귀의 흉전길(凶轉吉)이 되기도 한다.
▣ 11 數理 : 신성격(新成格) 자력경생지상(自力更生之象)
온건착실(穩健着實) 두뇌명석(頭腦明晳) 부귀안락(富貴安樂)
봄날 따뜻한 햇살에 만물이 살아나듯이 다시 새롭게 가문을 일으키고 스스로의 힘으로 생명력을 얻어나가는 형상이다.
발전을 이룩해 가니 대업을 성취하고 두뇌 명석하고 두령장상운(頭領長上運)이니 부귀영화를 누린다.
명석한 두뇌에 이지적인 사고력과 진취적인 기상은 소기의 목적을 위해 매진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주위 사람들이 놀라워할 정도로
태연자약한 결단을 내리는 의외성도 있다. 그러므로 뜻한바 목적 달성은 물론 사회적으로 상당한 명예와 권위를 얻어 부귀, 안락한
운이다. 간혹 양자로 가거나 양자녀를 두거나 양부모를 모시는 경우가 있다.
▣ 12 數理 : 박약격(薄弱格) 연약고독지상(軟弱孤獨之象)
의지박약 (意志薄弱) 일시성공(一時成功) 대사난망(大事難望)
연약하고 고독한 운이며 실의에 찬 형상이다. 의지가 약하여 한때 성공할지라도 큰일은 이루기가 어렵다. 역경(逆境)에서 고독과 무력감에 빠져 잘 헤어나지를 못한다. 가정이 불화하고 질병과 불구의 위험이 있다.
▣ 13 數理 : 지모격(智謀格) 입신양명지상(立身揚名之象)
이지발달(理智發達) 임기응변(臨機應變) 문학성취(文學成就)
이치에 밝고 지혜로우며 오랫동안 스스로 밝은 형상이다. 말을 잘 하고 남을 감화시키는 능력이 있으며 두뇌 명석하고 임기응변에 뛰어나 지략가로서의 자질이 있다. 출세하여 이름을 날린다.
▣ 14 數理 : 이산격(離散格) 혼돈사산지상(混沌四散之象)
박약좌절(薄弱挫折) 번뇌실패(煩惱失敗) 가정불행(家庭不幸)
지혜는 있어서 쉽게 일을 성취하여 상당한 지위와 재복을 누릴 수도 있으나 일시적인 성공에 지나지 않는다.
가정운이 좋지 않아 부부 및 자녀와의 생·이·사별 등의 비운을 맞기도 한다. 대체로 고독, 번뇌, 실패, 병약의 흉한 암시가 내포되어 있다. 그러나 간혹 특별한 심신의 수양을 잘 쌓아 천부적인 재능을 발휘하는 경우도 있다.
▣ 15 數理 : 통솔격(統率格) 만물통합지상(萬物統合之象)
부귀영화(富貴榮華) 자립성공(自立成功) 중인앙시(衆人仰視)
많은 사람을 통솔하고 복과 장수(長壽)를 누리는 운이며, 만물을 통합하는 형상이다. 지혜와 덕망을 겸비하였으니 크게
성공하여 부귀영화를 얻는다. 항상 재물이 풍부하여 어려움이 온다 해도 스스로 비껴가는 좋은 복을 가지고 있다. 이 수는 일찍부터
좋은 운이 온다 해도 거기에 안주할 것이 아니라 보다 큰 이상을 향해 나아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 16 數理 : 덕망격(德望格) 온후유덕지상(溫厚有德之象)
재운왕성(財運旺盛) 덕망유복(德望裕福) 원만화합(圓滿和合)
덕으로 감화시키니 더욱 풍성해지는 운이며, 천지의 덕이 합해지는 형상이다. 덕망이 있고 오복을 두루 갖추었다. 많은 사람이
우러러보는 위치에 서게 되고 이름을 사해에 떨친다. 이 수는 조업을 계승하여 가운을 크게 일으키는 특수한 암시도 있으므로 그러한
방면으로 고려해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 17 數理 : 용진격(勇進格) 자치창달지상(自治暢達之象)
박력수행(迫力遂行) 강직완고(剛直頑固) 대업성취(大業成就)
용감하게 전진하고 굳세게 펼쳐가는 수리이며 스스로 분발하고 창달하는 형상이다. 큰 뜻을 품고 대업을 성취하지만 강직
완고하고 포용력이 약하여 인심을 잃게 되면 스스로의 기반을 무너뜨릴 수도 있다. 그러므로 항상 타인과의 인화에 힘을 기울이고,
가정을 돌보아 수신제가한다면 아주 좋은 길수로서의 진가를 십분 발휘하게 될 것이다.
▣ 18 數理 : 발전격(發展格) 개발진취지상(開發進取之象)
의지견고(意志堅固) 예술성공(藝術成功) 부귀영달(富貴榮達)
지모가 뛰어나고 의지가 견고하여 어려움이 닥친다 하여도 이를 능히 극복할 능력이 있다. 보편적으로 정신적·육체적 성숙과
성장이 빠르며 지능 또한 우수하다. 자발적이고 진취적으로 발전하는 수리이며, 적극적으로 쟁취하는 형상이다. 의지가 강하여
자수성가하고 부귀영화를 누린다. 그러나 성격이 너무 강하여 포용력이 약한 것이 흠이다. 특히 이 수리는 사업가로서 수완이
뛰어나므로 재계 쪽으로 진출한다면 확실한 성공을 보장받을 수 있는 수이다.
▣ 19 數理 : 고난격(苦難格) 봉학상익지상(鳳鶴傷翼之象)
성쇠병악(盛衰病惡) 일시성공(一時成功) 폐질단명(廢疾短命)
쇠퇴하고 병이 드는 나쁜 운이며 봉과 학이 날개를 다치는 형상이다. 두뇌가 명석하고 실행력도 있으나 타고난 재능이나 노력한
만큼의 결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성공을 했는가 하면 곧 기울어지므로 매사가 시작은 있어도 끝이 좋지가 않다. 중도에 실패하며
형액(刑厄)과 병상(病傷)과 단명(短命)한다는 수리이다. 이러한 흉함이 거듭되면 정신적인 질환을 겪는 경우도 있다. 심신을
단련하고 업을 씻는다는 마음의 자세로 수행하면서 살아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 20 數理 : 허망격(虛妄格) 만사공허지상(萬事空虛之象)
백사부전(百事不全) 중도실패(中途失敗) 변사단명(變死短命)
허망하고 수명이 짧다는 수리이며 만사가 공허한 형상이다. 두뇌가 우수하지만 단명(短命), 파멸(破滅), 허무(虛無),
이산(離散), 조난(遭難), 신고(辛苦), 이별(離別)등을 의미한다. 이 수리가 남자에게 있으면 가정을 돌보지 않거나 불량배로
살아가기 쉬우며, 여자에게는 화류계로 흐르기 쉽고 결혼을 하더라도 과부가 되거나 아니면 첩이 될 확률이 높다.
▣ 21 數理 : 두령격(頭領格) 광풍제월지상(光風霽月之象)
지모탁월(智謀卓越) 대업완수(大業完遂) 부귀공명(富貴功名)
지모가 탁월한 두령의 수리이며, 맑은 바람이 구름을 걷어내어 달이 빛나는 형상이다. 이 수리는 처음에는 여러 가지 난관이
닥치기도 하지만 결국은 대업을 완수하여 이름을 사해에 드날리게 되니 대중을 영도하는 지도자적인 지위에 올라 부귀공명을 이루게
된다. 여자에게는 너무 강한 수리이나 여장부의 수이기도 하다. 권세가 있는 남편을 만나거나 독신으로 사회활동에 나서면 명망을
얻기도 한다.
* 예로부터 21, 23, 33, 39, 41등의 數理는 너무 강하여 여성이 이와 같은 수리를 쓰면 불리하다고 하였으나
이제는 시대가 바뀌어, 여성의 사회 진출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므로, 강한 數理일지라도 활용하여야 하는 시기가 되지
않았는가 라는 생각을 하고 있다. 그러나 여성에게 원형이정 4격 모두가 이러한 강한 數理들로 짜여져 있거나, 총격이 21, 23,
33, 39, 41 등의 수리로 구성되어 있다면 다소 무리는 따를 수 있는 수리이다.
▣ 22 數理 : 중절격(中折格) 추초봉상지상(秋草逢霜之象)
재지우수(才智優秀) 중도좌절(中途挫折) 부부상별(夫婦相別)
외모가 준수하고 재주도 우수하며 지략도 있으나 타고난 재능과 노력에 비하여 그 결과는 허무하다. 병약하고 꺾이어지는 운이며
가을에 초목이 서리를 만나는 형상이다. 재주가 비상하나 중도에서 좌절해버린다. 고독(孤獨), 애수(哀愁), 별리(別離),
조난(遭難), 불구(不具), 육친무덕(六親無德), 부부이별(夫婦離別)의 수리이다.
그러나 남다른 인격수양과 노력을 기한다면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있다.
▣ 23 數理 : 공명격(功名格) 혁신융창지상(革新隆昌之象)
이지발달(理智發達) 일약출세(一躍出世) 영도적인물(領導的人物) .
지(智)·인(仁)·용(勇)의 삼덕을 고루 갖춘 대길한 수리이다. 비록 빈천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하더라도 명철한 두뇌와
주도면밀한 적극적인 행동으로 대지대업을 이루어 공명 영달하니 만인이 앙시하는 권위의 자리에 오르는 수이다. 그러나 여자에게는
여장부의 수리로서 너무 강한 수리이므로 고독, 분리, 부부 이별의 암시가 있으므로 총격 23수리는 피하는 것이 좋다. 남성에게는
혁신하고 크게 번창하는 운이며, 옛것을 바꾸고 새것을 따르는 형상이다. 지혜와 용기와 인자함을 두루 갖추어 성공 출세하며 이름을
크게 떨친다.
▣ 24 數理 : 입신격(立身格) 우후개화지상(雨後開花之象)
점진성공(漸進成功) 부귀영화(富貴榮華)
점진적인 발달로 소극적이고 평범한 수리인 것 같으나 그렇지 않은 점이 이 수의 특징이다. 특히 빈손으로 시작해도 큰 재물을
모아 부귀영화를 누릴 수 있다. 또한 이 수가 정격에 있고 타격과의 조화를 이루고 선천운명이 양호하다면 대권을 잡을 수도 있다.
출세하여 재산을 축적하는 운이며 재물과 행운의 별이 미래를 비추고 있는 형상이다. 예술적인 재능이 있고 지혜도 있으며 용모가
준수하고 단정하여 여자의 경우라면 매우 양호한 수리이다.
▣ 25 數理 : 안강격(安康格) 안강무난지상(安康無難之象)
자수성가(自手成家) 대업달성(大業達成) 안강다복(安康多福)
안전하고 힘차게 펼쳐나가는 운이며, 편안하고 어려움이 없는 형상이다. 근면 성실하며 대인관계가 원만하여 상하의 신뢰를
얻으며 순조롭게 출세한다. 학문과 기예에도 깊은 조예가 있다. 특히 재물운은 좋으나 매사 끈질긴 노력과 강직함 때문에 주위
사람들에게 고집스러운 면을 보이기도 한다. 여자의 경우는 애교가 있으며 사교적이다.
▣ 26 數理 :영웅시비격(英雄是非格) 평지풍파지상(平地風波之象)
예재우수(藝才優秀) 영웅괴걸(英雄怪傑)형액피화(刑厄被禍)
대망을 가진 호걸의 기질이나 영웅이 난세를 살아가는 형상이다. 영리하며 의협심이 강한 수리로 보스 기질이 다분하여
앞장서기를 좋아하고 대사를 경륜하는 능력도 있어 좋은 운을 만나면 파죽지세로 영웅호걸의 지위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영웅적인
지위에 오른다 하여도 조난(遭難)과 파란(波難)의 위험과 질곡이 있으며 인생의 길흉교차가 심한 수리이다. 여명에게는 지나치게 강한
수리에 속하므로 독신으로 사회 활동을 하는 것은 무방하다.
▣ 27 數理 : 중단격(中斷格) 중도좌절지상(中途挫折之象)
자아심강(自我甚强) 욕망무한(慾望無限) 파란중첩(波瀾重疊)
영웅이 꺾이는 수리이며, 중도에서 좌절하는 형상이다. 큰일을 도모하다 중도에서 실패하기 쉬우며, 조난(遭難),
형액(刑厄), 별리(別離), 급난(急難), 단명(短命) 등의 위험이 있다. 사업가에겐 재물의 환란, 부부에게는 이별의 아픔,
장수에게는 패배의 아픔을 가져다주는 최악의 수리이다. 액운이 중첩되어 사업에 실패하니 아내도 가출하고 난치병도 얻는 흉함이
중첩되는 수이다.
▣ 28 數理 : 파란격( 波亂格) 대해편주지상(大海片舟之象)
호걸기개(豪傑氣槪) 육친무덕(肉親無德) 파란곡절(波瀾曲折)
비바람을 만난다는 뜻이니 재난을 만나는 운이며 난세에 장사가 죽을힘을 다해 싸워야 하는 형상이다. 호걸의 기개를 가지고
있으나, 육친이 무덕하고 형액(刑厄), 조난(遭難), 변사(變死), 단명(短命)등을 나타낸다. 자동차로 인한 교통사고나 기타
안전사고를 당한 사람들 중에 이 수리를 가진 사람들이 많다. 이러한 수리는 자신과의 싸움을 벌여야 하는 분야로 진출함이 좋다.
여자에게는 남편에게도 불리하며 노후가 좋지 못하다.
▣ 29 數理 : 성공격(成功格) 신록유실지상(新綠有實之象)
원대희망(遠大希望) 대업성취(大業成就) 자아성취(自我成就)
출중한 지모에 명석한 두뇌로 왕성한 활동력까지 있으니 대업을 성취하여 부귀공명은 물론 무병장수도 누리게 된다. 아울러
사회적으로도 상당한 직위에 오를 수가 있다. 성공하여 복을 받는 운이며 큰 공을 세웠음을 알리게 되고 복이 형통한 형상이다.
원대한 포부를 가지고 노력하니 높은 지위를 얻고 대업을 성취한다. 부귀공명과 장수를 누린다. 여자로서는 다소 강한 수로 남성적인
기질이 농후하나, 예·체능 방면에서는 탁월한 재능을 발휘할 수 있다.
▣ 30 數理 : 불측격(不測格) 연작무소지상(燕雀無巢之象)
권모술수(權謀術數) 부침극심(浮沈極甚) 길흉상반(吉凶相半)
봄날 낮잠 속의 꿈처럼 허무하게 떴다가 가라앉는다는 수리이며, 참새나 제비가 저녁때 돌아갈 둥지가 없는 것과 같은
형상이다. 명상에 사로잡히기도 하고 모험을 즐기기도 한다. 이 수리는 성공했을 경우 욕망을 자제하여 앞뒤를 돌아보는 여유를 가져야
하며, 실패했을 때는 일확천금을 노리면서 단번에 성공을 거두겠다는 생각을 버리고 한걸음씩 점진적으로 일어선다는 마음가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공허(空虛)한 운명이며 곤고(困苦), 형액(刑厄), 불행(不幸), 절처봉생(絶處逢生)의 수리로 위험한 의미가
있다.
▣ 31 數理 : 융창격(隆昌格) 자립흥가지상(自立興家之象)
지용득지(智勇得志) 학예겸비(學藝兼備) 자립대성(自立大成)
세상의 이치를 깨닫고 개척하는 운이며 스스로의 힘으로 자아성취와 가문을 일으키는 형상이다. 학문과 예술을 겸비하고 지혜와 용기가 겸전하니 이름을 사해에 떨치게 된다.
세상을 바라보는 안목이 뛰어나며 여간해서는 사심으로 인한 탈선은 없다. 대인관계도 매우 원만하여 따르는 사람들이 많다. 여자는 재덕을 겸비한 현모양처 유형이다.
▣ 32 數理 : 순풍격(順風格) 의외향복지상(意外亨福之象)
순풍거범(順風巨帆) 만사형통(萬事亨通) 수복겸전(壽福兼全)
파죽지세로 성공을 거두는 요행의 운이 따르며, 의외의 복을 누리게 되는 형상이다. 모든 일이 형통하고 순조롭게 발전하며
다른 사람의 도움으로 쉽게 성사가 된다. 비록 어려운 환경에서 태어났다 하더라도 하고자 하는 일들은 순풍에 돛 단 듯 순조롭게 잘
풀려 나가는 수리이다. 정감도 풍부하고 관대함이 있어 아랫사람을 사랑하고 윗사람의 도움도 많이 받는다. 뜻밖의 행운을 만나
파죽지세로 대성공을 거두니 부귀 번영한다.
▣ 33 數理 : 승천격(昇天格) 욱일승천지상(旭日昇天之象)
재덕겸비(才德兼備) 초년발달(初年發達) 만인추앙(萬人推仰)
등용문에 오르는 왕성한 운이며, 빛나는 해가 하늘 높이 떠있는 형상이다. 모든 사람이 우러러보는 지위에 오르니 권세가
당당하다. 장년을 전후하여 대업을 성취하니 명예와 부를 동시에 크게 얻는다. 이 수는 워낙 극왕한 운으로 여성이 33수가
중첩되거나, 또 다른 강한 수(21, 23, 39 등)와 배합되어 있으면 너무 강하여 고독을 면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이 수리는
타고난 사주팔자가 대격이 아니라면 쓰지 않는 것이 좋다.
▣ 34 數理 : 변란격(變亂格) 운장파멸지상(運將破滅之象)
파해조산(破害祖産) 재화연속(災禍連續) 불측화란(不測禍亂)
조업을 계승하지 못하고 파괴되는 운이며 가정이나 회사도 파멸하는 형상이다. 사교적인 수완이 좋다면 일시적으로 재물이
풍부하고 평안할 수도 있으나 곧 가정이 깨어지고 사업도 불운하며 건강도 악화되는 재난이 연이어 발발한다. 갑작스런 재난이 닥치므로
수습할 겨를도 없이 패망하는 수리이다. 81수리 중에서 2, 4, 9, 10, 19, 20, 27, 28, 34, 36, 44,
54 등이 아주 흉한 수리인데, 그 중에서 34수리가 가장 흉하다.
▣ 35 數理 : 태평격(泰平格) 안과태평지상(安過太平之象)
온량화순(溫良和順) 문예학술(文藝學術) 부귀장수(富貴長壽)
평화롭고 편안한 운이며 매사가 태평스러운 형상이다.
성격은 총명하고 이지적이다. 온화하고 원만하므로 신망도 두텁다. 자기 분수에 맞는 천직(天職)에 종사하면서 근면 성실하게
노력하여 행복, 부귀, 장수할 수 있는 길한 수리이다. 온순한 성품이므로 소극적인 부분이 있어 문예, 학술, 기술 방면으로
진출하게 되면 더욱 크게 성공하는 수이다.
▣ 36 數理 : 의협격(義俠格) 영웅파란지상(英雄波瀾之象)
일생부침(一生浮沈) 파란중첩(波瀾重疊) 조난역경(遭難逆境)
영웅이 항해도중 감당하기 어려운 파란을 만나는 운이며 노래를 부르다가 곧 눈물을 흘리게 되는 형상이다. 의협심이 있는
호걸이 다사다난(多事多難)하고 역경을 자주 만나 고군분투하는 수리이다. 부침이 심하므로 흥망성쇠의 변화가 무쌍하며 인생의 역경을
자주 겪게 되며 길흉의 기복이 심한 수이다. 기인(奇人), 풍운아가 있을 수 있다.
▣ 37 數理 : 인덕격(人德格) 주공천하지상(奏功天下之象)
충실열성(忠實熱誠) 대사경륜(大事經綸) 독립단행(獨立斷行)
의지가 강하고 충실하며 과단성이 있어 어떠한 어려움도 극복하고 대지대업을 성취하는 형상이다.
백성을 잘 다스린다는 군주나 장관의 운이며 큰 공을 세웠음을 천하에 알리는 수리이다. 영웅호걸이 대사 경륜을 겪으면서 출세하여 이름을 날리고 대업을 성취하여 부귀영화를 얻게 된다. 여자에rps 다소 부담이 되기도 한다.
▣ 38 數理 : 문예격(文藝格) 문리고봉지상(文理高峰之象)
문학예술(文學藝術) 입신양명(立身揚名) 위력결핍(威力缺乏)
창의적이고 문학적인 수리로 글의 이치가 산(山)과 같이 높은 형상이다.
두뇌도 명석하고 이지적인 면도 있어 자신과의 싸움에서는 강한 면도 있으나, 대외적으로는 적극적인 도전 정신보다는 화합과 평화를 중시하는 경향이 있어 정치인이나 무관에게는 적합한 수리가 되지 못된다.
강력하게 밀어붙이는 추진력은 부족하나 부단히 노력하면 복록(福祿)이 따르게 되는 좋은 수리이다.
▣ 39 數理 : 장성격(將星格) 장성휘도지상(將星揮刀之象)
위세관중(威勢觀衆) 부귀번영(富貴繁榮) 수복장수(壽福長壽)
건강하게 오래 사는 운이며, 장군이 지휘도를 휘두르는 형상이다.
많은 관중을 통솔하니 위풍당당하다. 지혜와 덕망이 있어 어떠한 난관도 돌파한다. 부귀영화를 누리고 오래 살며 장군이
지휘도를 휘두르는 형상이니 여성에게는 강한 수리이다. 그러므로 21, 23, 33, 39 등 다른 강한 수리와 같이 배합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다. 너무 강하면 부러지는 이치로 부부 인연에 파경의 위험이 항상 따를 수 있다. 그러나 필자의 견해는 여성
사주가 대격이라면 써도 무방하다고 주장한다. 현 시대에는 여성도 남성 못지않은 활동을 할 수 있는 세계가 얼마든지 열려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자에게 총격이 21, 23, 33, 39수리는 피하는 것이 좋다.
▣ 40 數理 : 무상격(無常格) 수연생멸지상(隨緣生滅之象)
노고무공(勞苦無功) 허욕손재(虛慾損財) 덕망결핍(德望缺乏)
인생행로가 변화무쌍한 운이며, 인연 따라 生하고 滅하는 것이 쉽게 변화하는 형상이다. 많은 노력을 해도 결과가 약하고
성패를 기약할 수 없으며 괴변도 자주 발생한다. 덕망이 부족하여 인덕이 없으며 타인을 배려하는 마음도 찾기가 어렵다. 부단한
노력으로 인격을 함양하고 선덕을 베푼다면 의외의 안정을 얻을 수도 있다.
▣ 41 數理 : 고명격(高名格) 건곤중심지상(乾坤中心之象)
선견지명(先見之明) 대귀현출(大貴顯出) 대지대업(大志大業)
바른길을 가면서 높은 명성을 얻는 운이며 천지의 중심에 서있는 형상이다. 대업을 성취하니 저명해진 이름은 대대손손 전해지고
자손 역시 영화로움을 이어간다. 용모가 준수하여 여성들의 흠모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여자에 대한 처신에 각별한 유의를 요한다.
여자의 경우는 현모양처가 될 수 있는 길수로서 자신을 가져도 좋다. 그러나 지나친 자존심과 위세는 본인에게 불리하므로 주의할
사항이기도 하다.
▣ 42 數理 : 고행격(苦行格) 행자봉난지상(行者逢難之象)
의지박약(意志薄弱) 파란자초(波瀾自招) 가족상별(家族相別)
고행과 실의에 빠지는 운이며 길가는 나그네가 어려움을 만나는 형상이다. 일면에는 총명하고 박학다식한 재지(才智)에 세상
물정 또한 밝은 점이 있으나 모험심이나 의지력이 약하다 보니 자기 분수만 지키는데 급급하다. 잔머리로 인하여 큰 목적을 이루지
못하며 남 앞에서는 자기주장도 제대로 펴지 못한다.
의지가 박약하니 역경을 이겨낼 힘이 없고 가정은 뿔뿔이 이별하며 비애와 실의에 빠진다. 자기 스스로 이겨내는 극기 훈련을 하여야 좀 더 밝은 내일을 맞이할 수 있다.
▣ 43 數理 : 성쇠격(盛衰格) 화개화락지상(花開花落之象)
외화내허(外華內虛) 의지박약(意志薄弱) 파란신고(波瀾辛苦)
여러 가지 일이 뒤섞여 복잡하게 되고 재산이 흩어지는 운이며, 꽃이 피자마자 곧 낙화하는 형상이다.
뜻밖의 재난을 당하고 실패와 파재와 곤고함을 겪는다. 재능이 많고 진취적인 면도 있으나 성공을 바라기는 어렵다. 겉으로는 행복해 보여도 안으로는 재액이 많아 고달픈 인생살이가 된다.
▣ 44 數理 : 마장격(魔障格) 백귀주출지상(百鬼晝出之象)
백전백패(百戰百敗) 미로방황(迷路彷徨) 병난불구(病難不具)
막히고 파멸하는 운이며, 대낮에 온갖 귀신이 나타나는 형상이다.
갑작스럽게 귀신이 장난치듯 변괴(變怪)가 속출하고 흉한 일이 자주 발생한다. 만사가 허무하게 무너지는 수리이며 미로에서
방황하고 병고에 신음한다. 그러나 간혹 이런 흉한 운에도 굴하지 않고 초인적인 노력으로 극복해 간다면 위인이나 열사, 대발명가
등이 나올 수 있다.
▣ 45 數理 : 대지격(大智格) 원만구비지상(圓滿具備之象)
지모원대(智謀遠大) 제사통달(諸事通達) 명성사해(名聲四海)
타고난 지혜와 견고한 의지는 능히 대업을 성취할 수 있다.
체격과 지모가 탁월하여 크게 깨닫고 순조롭게 진행하는 수리이며 원만하게 모든 것이 갖추어진 형상이다. 지모와 덕망이
겸전하여 하는 일마다 순조롭고 형통하여 이름 또한 만방에 날리게 된다. 이 수는 대귀(大貴)한 수이므로 선천 운명과의 조화는 물론
타격과의 조화가 잘 이루어져야 한다.
▣ 51 數理 : 성패격(成敗格) 길흉상반지상(吉凶相半之象)
극성극쇠(極盛極衰) 곤고실패(困苦失敗) 파란변동(波瀾變動)
봄에 성공했다면 가을에 패망하는 운이며 길흉이 상반되는 형상이다.
잠시 성공해도 중도에 실패하고 일성(一成)하면 일패(一敗) 하니 성패를 측량할 수가 없다. 움직이지 않는 마음, 부동심(不動心)을 갖도록 수양해야 한다. 그래야만 거친 인생 파도를 무난히 건널 수가 있다.
▣ 52 數理 : 약진격(躍進格) 만사통달지상(萬事通達之象)
의지견고(意志堅固) 자수성가(自手成家) 비룡승천(飛龍昇天)
용을 거느려서 약진하는 운이며 만사가 통달하는 형상이다.
용이 승천하듯이 일로상승(一路上昇)하여 높은 위치에 서게 되고 부귀 공명을 얻어 노년에는 근심 걱정 없이 편안하게 여생을 보낸다. 장년기에 정치 방면 진출은 좋지 않다.
▣ 53 數理 : 내허격(內虛格) 길흉혼선지상(吉凶混線之象)
가재탕진(家財蕩盡) 진퇴부정(進退不定) 화근중첩(禍根重疊)
장애물과 해로움의 운이며 길과 흉이 뒤섞여 있는 형상이다.
나아가려면 장애물이 생기고 겉은 화려해도 속은 피곤하다. 가산은 탕진하고 비애(悲哀)와 낙심(落心)에 젖는다. 여명(女命)은 유전(流轉) 생활을 할 수가 있다.
▣ 54 數理 : 무공격(無功格) 구주심蠻恥?求珠深海之象)
고독이별(孤獨離別) 패가망신(敗家亡身) 폐질불구(廢疾不具)
파괴되는 운이며, 구슬을 찾으려고 깊은 바다 속을 헤메는 형상이다.
깊은 바다 속에서 구슬을 어떻게 찾겠는가? 맵싸한 고통은 계속해서 생기고 불안과 절망에 빠진다. 소신있게 살면 발(發)한다(所信發 揚數)고는 하나, 육친이 무덕하고 고독과 이별은 피할 수가 없다.
▣ 55 數理 : 미달격(未達格) 용동수중지상(龍動水中之象)
외미내고(外美內苦) 표리부동(表裏不同) 길흉상반(吉凶相半)
극성(極盛), 극쇠(極衰)의 운이며 용이 물 속에서 움직이는 형상이다.
겉과 속이 같지를 않고, 겉은 화려하나 안은 빈곤하며 배가 산으로 가는 형상이어서 목적하는 바를 이루기 힘들다.
▣ 56 數理 : 한탄격(恨歎格) 조난둔난지상(阻難屯難之象)
변전무쌍(變轉無雙) 사업난성(事業難成) 만년흉악(晩年凶惡)
덕망과 재질을 지니기는 했으나 귀인을 만나기 어렵고, 더욱이 용기와 인내가 부족하니 매사 좌절을 맛보게 된다.
변화가 무쌍하며 주위는 온통 장애로 둘러 쌓여있다. 고난과 근심과 슬픔 속에서 탄식하며 눈물 흘린다.
▣ 57 數理 : 봉시격(逢時格) 한앵춘명지상(寒鶯春鳴之象)
흉전길화(凶轉吉化) 발달형통(發達亨通) 대난극복(大難克服)
때를 만나서 강건한 운이며, 겨울을 만나 추워하던 앵무새가 봄을 만나 노래부르는 형상이다. 모든 일이 형통하고 출세하여 영화로움(명예와 부와 가정의 평화)을 얻는다.
▣ 58 數理 : 후영격(後榮格) 교상왕래지상(橋上往來之象)
초년곤고(初年困苦) 선흉후길(先凶後吉) 만년행복(晩年幸福)
크게 변화하여 복이 있는 운이며 다리 위에서 왕래하는 형상이다.
다리 위에서 사람들이 왔다 갔다 하듯 흉과 길이 왕래한다. 인생 초년에는 흉함이 왔다가 후년에는 길함이 온다. 노년이 행복하다.
▣ 59 數理 : 재화격(災禍格) 밀운불우지상(密雲不雨之象)
인내부족(忍耐不足) 액난부절(厄難不絶) 실의비애(失意悲哀)
역경과 재난의 운이며, 구름이 잔뜩 끼어 있는데도 비가 오지 않는 답답한 형상이다. 때를 만나지 못하니 실망하고 낙심하고 불행하다. 재난이 끝이 없다.
▣ 60 數理 : 동요격(動搖格) 상하동요지상(上下動搖之象)
복록자실(福祿自失) 진퇴양난(進退兩難) 실패곤고(失敗困苦)
채워져 있는 것이 하나도 없으니 불안한 운이며, 아래 위 모두가 동요하는 형상이다. 지혜가 없어 실패하고, 나아갈 수도 물러설 수도 없는 곤경에 빠진다. 형액(刑厄), 단명(短命), 요절(夭折)의 수리다.
▣ 61 數理 : 영화격(榮華格) 단계가절지상(丹桂可折之象)
부귀번영(富貴繁榮) 자존자만(自尊自慢) 재물풍부(財物豊富)
지혜가 있어 명리를 얻는 운이며, 붉은 계수나무 가지를 꺽는 명예로운 형상이다. 지모가 출중하니 명예와 재물을 같이 얻고 부귀를 누린다. 자만심이 강하여 內外에 불화가 생기므로 수련하며 덕을 닦아야 한다.
▣ 62 數理 : 고독격(孤獨格) 계화개락지상(桂花開落之象)
신용결핍(信用缺乏) 웅지중절(雄志中絶) 내외불화(內外不和)
막막한 운이며 계수나무 꽃이 피었다가 떨어지는 형상이다.
신용을 잃고 쇠퇴하여 부진하다.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고 힘들고 괴로운 고통만이 기다리고 있다.
▣ 63 數理 : 순성격(順成格) 효광부해지상(曉光浮海之象)
만사여의(萬事如意) 자손여경(子孫餘慶) 부귀영화(富貴榮華)
발전하고 뻗어가는 운이며, 해뜨기 직전의 새벽 빛이 바다에 퍼져 가는 형상이다. 순조롭게 이루어지고 마음먹은 대로 모든 일이 풀려 나간다. 행복과 부귀와 영화가 있다. 그 행복이 자손에까지 면면히 이어진다.
▣ 64 數理 : 침체격(沈滯格) 천리만운지상(千里滿雲之象)
무모계ㅤㅎㅢㄱ(無謀計劃) 부침멸리(浮沈滅離) 병난단명(病難短命)
서리를 만나는 운이며 천리 사방에 구름만 가득한 형상이다.
운이 쇠퇴하니 재난이 끊이질 않고 가정에도 안정이 없다. 수신제가(修身齊家)하고 공덕(功德)을 닦아야 한다. 만약 형격(亨格)이 양호하면 길운으로 바뀔 수도 있다. 여자는 골육간의 사이가 좋지 않다.
▣ 65 數理 : 휘양격(輝陽格) 순풍거범지상(順風擧帆之象)
만사여의(萬事如意) 부귀명예(富貴名譽) 장수번영(長壽繁榮)
천지에 가득히 집안이 융성할 운이며, 돛단배가 순풍을 만난 형상이다. 돛단배가 순풍을 만났으니 목적지까지 힘들이지 않고 쉽게 도착한다. 모든 일이 뜻대로 이루어지고 부귀영화를 얻는다. 그리고 건강하고 장수한다.
▣ 66 數理 : 우매격(愚昧格) 양인 익수지상(兩人溺水之象)
손해재액(損害災厄) 진퇴유곡(進退幽谷) 파가망신(破家亡身)
망망하고 힘들고 어려운 운이며 두 사람이 물에 빠지는 형상이다.
욕심내면 복이 나간다. 앞 날에 희망이 없고, 나쁜 일은 끊이질 않고 생기니 나아갈 수도 물러설 수도 없다. 어리석은 욕심은 절대 금물이다.
▣ 67 數理 : 천복격(天福格) 해천일벽지상(海天一碧之象)
순조발달(順調發達) 가세번창(家勢繁昌) 부귀영달(富貴榮達)
하늘과 바다가 통달하는 운이며, 바다와 하늘이 일체가 되어 푸르고 아름다운 형상이다. 하늘과 바다가 통달하듯이 세상 이치에 통달하니 목적을 달성하고 성취하며 집안은 융성하다. 부귀영화를 얻고 자손은 효도한다.
▣ 68 數理 : 명지격(明智格) 정관자득지상(靜觀自得之象)
지혜총명(智慧聰明) 점진성공(漸進成功) 명리겸비(名利兼備)
현묘한 밝음이 나타나는 운이며, 조용히 자기의 안을 보고 또한 밖을 볼 때 스스로 얻는 것이 있는 형상이다.
지혜와 총명함이 있고 예술적인 재능까지 겸하였다. 창조와 발명과 발견에 능하니 점진적으로 성공한다. 쾌활하고 너그러운 성품이다.
▣ 69 數理 : 종말격(終末格) 봉별오동지상(鳳別梧桐之象)
심신불안(心身不安) 페질병약(廢疾病弱) 빈궁고통(貧窮苦痛)
빈 골짜기에서 핍박당하는 운이며, 봉황새가 자기의 거처인 오동나무를 떠나는 형상이다. 자기의 거처를 잃어버렸으니 방황하며 불안하다. 모든 것이 멈추어 버린 듯이 앞으로 나아갈 수가 없다. 병약과 단명의 위험이 있다.
▣ 70 數理 : 공허격(空虛格) 흑해암야지상(黑海暗夜之象)
횡액단명(橫厄短命) 만사쇠퇴(萬事衰退) 우고부절(憂苦不絶)
모두 떠나버린 적막한 운이며, 캄캄한 밤에 검은 바다와 같은 형상이다. 모두 떠나버리는 것은 모든 일이 쇠퇴하고 형제가 불화하기 때문이요 한치 앞을 볼 수 없는 캄캄한 밤과 같으니 근심과 걱정은 끊이질 않는다.
▣ 71 數理 : 만달격(晩達格) 귀인은산지상(貴人隱山之象)
내심곤고(內心困苦) 노다공소(勞多功少) 만년발달(晩年發達)
용이 견실함을 보이는 운이며, 귀인이 산에 숨는 형상이다.
마음속으로 힘들더라도 참고 견디면 곧고 바른 기상이 훌륭하여 언젠가는 대성한다. 인내심을 키워야한다.
▣ 72 數理 : 상반격(相半格) 은운복월지상(隱雲覆月之象)
외관길상(外觀吉祥) 전반행복(前半幸福) 만년파산(晩年破散)
길과 흉이 상반된 운이며 구름이 나타나 달을 덮어버리는 형상이다.
겉은 화려하나 속은 피곤하며 불안정한 운이다 인생 전반은 무난하나 후반은 구름이 달을 덮어버리듯이 온갖 어려움이 몰려온다.
▣ 73 數理 : 평길격(平吉格) 등산평안지상(登山平安之象)
초년신고(初年辛苦) 대성불능(大成不能) 무난평복(無難平福)
평범한 복이고 평범한 운이며, 산에 오르고 나서 편안한 형상이다.
정의감을 갖고 분투함은 좋으나 망령되게 함부로 나가면 큰 실패를 하게 된다. 한발자국 물러서는 지혜를 배울 때 편안함을 얻는다.
▣ 74 數理 : 우매격(愚昧格) 화중화촉지상(畵中華燭之象)
무지무능(無智無能) 신고번다(辛苦繁多) 무위도식(無爲徒食)
때를 만나지 못하는 운이며 헛되이 그림 속의 화촉만 보는 형상이다. 길이 험하고 갈 길을 찾지 못하여 고생이 허다하고 출세는 그림 속의 떡이 되어 할 일 없이 세월만 보낸다.
▣ 75 數理 : 정수격(靜守格) 산중식목지상(山中植木之象)
명리겸전(名利兼全) 재액실패(災厄失敗) 매사불여의(每事不如意)
얻으면 편안하고 좋은 운이며 산에 나무를 심는 형상이다.
분수를 지키면 편안하다는 수리다. 한 걸음 물러서면 안정이 있으나 급히 나아가면 실패와 재난이 따른다. 이해를 잘 살펴서 나아감과 물러섬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 76 數理 : 선곤격(先困格) 평지난행지상(平地難行之象)
중도좌절(中途挫折) 선고후성(先苦後成) 점진평복(漸進平福)
먼저 고생하고 뒤에 이루어지는 운이며, 평지라도 가기 힘든 형상이다. 중도에서 좌절하니 평지라도 가기 어렵다. 불퇴전의 각오로 노력하면 점차 호전되어 만년(晩年)에는 평화와 안정이 있다.
▣ 77 數理 : 전후격(前後格) 수연과보지상(隨緣果報之象)
길흉상반(吉凶相半) 전비후희(前悲後喜) 길흉불측(吉凶不測)
길흉이 상반된 운이며 인연에 따라 과보가 있는 형상이다.
희(喜)와 비(悲)가 서로 엇갈려 왔다 갔다 한다. 길흉이 서로 반반이라 먼저 길하면 뒤에 흉하고 먼저 나쁘면 뒤에 좋다. 인연 따라 과보가 있는 형상이니 좋은 인연을 심도록 해야한다.
▣ 78 數理 : 선길격(先吉格) 일경서산지상(日傾西山之象)
길흉상반(吉凶相半) 전운평복(前運平福) 점차쇠퇴(漸次衰退)
길흉이 상반된 운이며 해가 서산으로 기울어져 가는 형상이다.
인생의 전반운은 그런대로 무난하나 해가 서쪽으로 기울어지듯 점점 쇠퇴하여(욕심을 낼수록 더욱 빨리 쇠퇴한다.)만년에는 비참해진다. 무욕(無慾)이 최상이다
▣ 79 數理 : 종극격(終極格) 임종유길지상(臨終有吉之象)
정신박약(精神薄弱) 노다공소(勞多功少) 패물지배(廢物之輩)
궁극에 가서도 뻗지 못하는 운이며 죽을 때 가서야 길함이 있는 형상이다. 끝내는 불행하고 종국(終局)에는 쇠퇴하며 종내(終乃)에는 흉화(凶禍) 뿐이다.
▣ 80 數理 : 종결격(終結格) 천지종말지상(天地終末之象)
일생고난(一生苦難) 재액연속(災厄連續) 병약단명(病弱短命)
음이 숨는 운이며 천지가 종말(終末)을 맞이하는 형상이다.
평생을 고난과 재난 속에서 지내고 하릴없이 세상만 원망한다. 세상에서 종적을 감추고 숨어 지내는 것이 훨씬 낫다.
▣ 81 數理 : 환원격(還元格) 뇌문일개지상(雷門一開之象)
운기왕성(運氣旺盛) 부귀권위(富貴權威) 명진사해(名振四海)
꺾인 곳에서 환희가 생기는 운이며, 천지에 우뢰가 진동하는 형상이다. 환원하여 다시 태어나고 천지에 우뢰가 진동하듯이 운이 왕성하다. 부귀와 복록이 끊임없이 이어지니 이름이 천하에 울려 퍼진다.
9와 9를 곱한 수로서 최극수이다. 다시 1로 환원되는 수이다. 사업의 재기, 부흥에 적합한 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