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숭겸(申崇謙) 장군(將軍) 유적(遺蹟)
위치 : 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 526번지
대구광역시 기념물 제1호이다.
신숭겸 장군은 태봉(泰封)의 기장(騎將)으로 있으면서 배현경(裵玄慶) 등과 포악한 궁예(弓裔)를 내몰고 왕건(王建)을 받들어 고려를 개국하였다. 그 뒤 대장군이 되어 927년(태조 10) 태조와 신라를 도와 후백제를 공격하고자 하였으나 대구 공산(公山) 싸움에서 후백제군에 포위되어 태조가 위기에 빠지게 되었다.
이 때 자신이 왕으로 변장하여 김락(金樂)장군과 같이 싸우다가 왕건을 대신하여 전사하였다.
왕건은 이틈을 타 장졸로 변장하여 적의 포위망을 뚫고 단신 탈출하였다.
태조는 장군의 죽음을 애통하게 여겨 그의 시신을 거두어 광해주(光海州, 지금의 춘천)에 예장(禮葬)하고,
전사한 자리인 이 곳 대구 공산에 순절단(殉節壇)과 지묘사(智妙寺, 美理寺)미리사를 세워 그의 명복을 빌게 하는 한편
일품전지 삼백무(三百畝)를 하사하여 이를 수호하게 하였다.
이 유적 주변에는 지금도 표충사 앞쪽 동화사와 파계사로 갈라지는 고개를 왕건의 정예군이 크게 패하였던 고개라 하여 파군재라 부른다. 파군재 남쪽 산기슭의 봉무정 앞에 있는 큼직한 바위는 왕건이 탈출하여 잠시 앉았다고 해서 독좌암이라 부르며, 표충사의 뒷산은 왕산(王山)이라 부른다. 이밖에도 대구에는 이 공산싸움에서 유래된 안심(安心)ㆍ해안(解顔)ㆍ반야월(半夜月) 유래된 많은 지명이 남아 있어 당시 격전지였음을 알 수 있다.
입구 해태상 의미
1. 풍수설에 의하면 해태는 물에 사는 동물이라 수성이요, '水克火'의 오행설을 적용, 화기를 막아주는 주술적인 동물이라
해태의 물기운을 받아 경내에 불이 나지 않게 입구에 세운다
2. 해치는 해태의 한자어인데, 한개의 뿔을 가지고 있는데 싸우는 것을 보면 바르지 못한 사람을 뿔로 받아버리고 다투는
것을 들었을 때에는 옳지 못한 사람 또한 받아버려 예로부터 법을 상징하는 동물로 쳤다고 한다.
선악을 판단하고 정의를 지킨다하여 옛날에는 해치관이라고 한것도 이런 때문이 아닐까요?
홍살문( 홍전문(紅箭門)·홍문(紅門)
임금이 충신이나 효자, 열녀를 칭찬하여 능이나 궁전, 서원, 관아등에 세우도록한 붉은 문.
관리소
신숭겸 장군상
표충단 옆
정면 표충단
표충단 입구
표충단
태조 왕건이 신숭겸 장군 죽은 것을 슬퍼하고 안타까워하며 지묘사라는 절을 지어 장군의 명복을 빌게 하였는데 세윌이 흘러 지묘사가 없어지자 그 후손이 1607년 사당을 지었고, 1672년에 현종 임금이 "표충사"라는 현판을 내려주었습니다.
신숭겸 장군 나무 "배롱나무"
부처꽃과. 한자어로는 자미화(紫薇化)라 하며, 개화기가 7월~9월 석달 열흘간 3번 반복되며 7월초 20일 피었다가 10일 시들고, 8월초 20일 피었다가 10일 시들고, 9월에 20일 피고 시들고 나무(木)백일홍이 완전히 지고나면 햅쌀이 나오기 시작한단다.
8월에서 9월 시기에 다른 꽃을 보기가 어려워 홀로 고고하게 붉게 피어있는 백일홍은 선비의 마음을 사로잡는 독야홍홍(獨也紅紅) 하는것은 백일홍뿐이다. 최초 원예서인 조선초 강희안의 양화소록(養花小錄)에 꽃과 나무를 9품으로 분류하였는데 그중 백일홍을 매화,소나무와 함께 1품으로 분류하였다.
배롱나무의 특징은 "간지럼에 부끄럽다고 몸을 비꼬는 모양"에 비유 파양수라고 하며, 충청도 지방에는 수피를 긁으면 잎이 흔들린다 하여 간지럼나무라고 하고, 일본에선 수피가 매끄러워 원숭이도 떨어진다고 "세루스베리"원숭이 미끄럼나무로 이름을 붙였다.
표충단
투구와 갑옷을 묻고 피묻은 흙을 모아 단을 만듦
표충재삼문
찬찬히 읽어보는 재미있는 "고려사 이야기"
오늘을 있게 한 호국의 정령 신숭겸 장군
뛰어난 지략 살신성인으로 나라를 구하다
용맹한 기상, 장군의 넋을 기리니
의로운 충정 그리운 마음 영원하리
후고구려, 후백제, 신라 후삼국 통일 "고려"
팔공산 4코스 올레길
효자 강순항나무 → 평광초등학교(평광스콜레) → 왕건길 → 평광지(池) → 모영재 → 평광동 팔공1종점 → 재바우 농원 →첨백당 → 평광동 종점..... 측백나무 숲에서 평광동 안시랑(시랑이 마을)까지 약 6.7 ㎞거리이다.
금으로 얼굴 형상을 만들어 가원도 춘천에 묘지가 있다. 분묘가 3기가 있다 이유는 도굴을 방지하기 위해....란 설이 있다
사 공신가(思功臣歌)
님을 보전케 하신
마음은 하늘 가에 미쳤는데
비록 넋은 갔어도
삼으신 벼슬만은 또 대단하구나.
바라보니 알겠노라
그때의 두 공신이여
오래도록 곧은 자취는
나타나 빛나는도다
고려 제16대 왕 예종(睿宗)이 지은 노래
이두문으로 된 향가(鄕歌) 형식의 「도이장가(悼二將歌)」를 지었다.
"장절(壯節)"은 태조 왕건이 신숭겸 장군의 죽음을 슬퍼하며 장군에게 내린 시호
장절(壯節)이란 뜻은 "절의가 굳세다" 곧 "마음이 아주 곧고 꿋꿋하며 의리가 있다"는 뜻이며
여기서 "공(公)은 신숭겸 장군을 높여서 부르는 말입니다
순절단, 표충단
수령 400년 팽나무(사람은 아니구...)
팽나무 " 태조 왕건 나무"
충렬문
상절단
파계사쪽에서 지묘동으로 흐르는 하천
정면 보이는 산이 왕산(王山)
2011년 8월 6일 찾은날이 문화해설가님이 설명을 너무 잘 해 주셔서 고려사를 한번 더 알게 되었고 세계육상권 선수대회를 즈음하여 타지역 사람들이 대구방문기간동안 2곳이상 방문하면 추첨후 1등은 승용차가 걸려 있었다.
그런데 벌써 걱정이다 우리는 이런 행운이 자주와서.......ㅎㅎㅎ
아무튼 대구 놀러 많이 오이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