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19년 3월1일 기미삼일운동은 서울 파고다공원에서 시작됐다. 삼일운동은 삽시간에 전국으로 번져 나갔는데 대구에서는 3월 8일 거사가 일어났다.
대구의 삼일운동은 기미독립선언문에 서명한 민족대표 33인 중 한 사람인 대구 출신 이갑성(33인중 최연소자로 청년층 대표, 세브란스 의학전문대학교 졸업)이 1919년 2월 24일 이만집 목사(현 제일교회로 당시 시무)와 김태련 조사(남산교회에서 선교사를 돕는 직책을 맡고 있었음)를 만나 계획 했고 대구지역 기독교 지도자와 계성학교 백남채, 김영서, 신명여학교 이재인등 지역의 교사들이 앞장 섰다.
"3월 8일 집결지는 서문큰장(대구시 중구 섬유회관 건너편 옛 동산파출소 앞 광장) 강씨 소금가게 앞입니다" 란 말을 남긴 이갑성은 서울로 향하고, 3월 2일 이만집 목사는 이용상(세브란스의학전문하교 학생)으로부터 독립선언문을 건네받고, 목숨이 걸린 일이라 비밀리에 계획대로 진행하며 계성학교 아담스관 지하실에서 독립선언문을 등사하고 집에서 태극기를 몰래 만들었다.
대구삼일운동 발원지. 안영선 기자
서울의 삼일운동이 전국으로 확산 되면서 대구에서도 일본의 감시는 더욱 강화되었고, 거사를 앞두고 4일과 7일 각각 홍주일 교구장과 백남채 교사가 구속 되었으나 포기는 없었다.
3월 8일 운명의 날, 전날 봄비가 내렸지만 당일은 화창해 하늘도 돕는 듯했다. 거사에 동참하기로 한 학생들이 삼삼오오 교실을 빠져나왔다. 계성학교 학생들은 한복을 입은 장꾼으로 변장하고, 신명학교 학생들은 빨래하러 가는 척하며 만세운동길을 지나 거사 장소로 향했다. 만세운동에 계성학교 46명, 신명학교 50명, 대구고보 학생 200여 명, 동산성경학당 강습생 20여 명이 참여 했다.
1919년 3월 8일 오후 1시 800여 명이 모여 독립선언서가 김태련 조사에 의해 읽히고, 숨겨 온 태극기를 꺼내서 목이 터져라 만세를 불렀다. 1천여 명 이상 모여 만세를 부르며 강씨 소금가게에서 본정(현 감영공원길)을 지나 대구경찰서(현 중부경찰서)로 향하면서 만세를 불렀는데, 일본 경찰이 완강하게 저지하자 농민 안경수가 태극기를 꽂은 깃대로 기마경찰이 탄 말의 엉덩이를 찔러서 말이 중심을 잃고 도망치자 그 길로 선두 행렬이 헤치고 나갔다.
삼일운동 이야기를 듣고 태극기를 그리는 학생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