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탄행(金坦行) 조상님이 영의정을 했다고 하면 그 후손은 자부심이 대단할 것으로 보인다. 안동김씨 가문에서 부자 영의정을 한 분들이 있는데... 그런데 공교롭게도 부자 영의정 두분 다 사약을 받고 돌아가신 분도 유일할 것이고, 특히 삼대가 사약을 받고 돌아가신 분도 아마 별로 없을 것 같다. 안동김씨 김탄행의 증조부 영의정 김수항, 조부 영의정 김창집, 부 김제겸 세분 모두 사약을 받고 돌아가신 분들이다. 정치가 혼란스러운 때 지조를 굽히지 않은 면도 있겠지만 가문에서는 크게 영달하신 조상님들인데 안타까운 면이 더 크리라 짐작된다. 다행히 김탄행선생 이후로 후손들이 크게 영달하고 조선 후기 외척 세도 정치로 지탄 받기까지 하니 세상사는 돌고도는 물레방아 같은 시츄에이션이다. |
김탄행(金坦行) 1714(숙종 40)∼1774(영조 50).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숙평(叔平). 영의정 김수항(金壽恒)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영의정 김창집(金昌集)이고, 아버지는 승지 김제겸(金濟謙)이며, 어머니는 도사 송병문(宋炳文)의 딸이다. 경종 연간에 신임옥사가 일어나 1722년(경종 2)에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사사되고 어린 나이에 금산(錦山)에 유배되었다가 1726년(영조 2)에 풀려나 여주의 양지(陽智)에서 살았다. 소론이 몰락하고 노론이 집권하자 1755년 선공감역(繕工監役)과 익위사부수에 보직되었으나 동료관원 가운데 소론이 끼어 있다고 나아가지 않았다. 뒤에 내시교관(內侍敎官)을 거쳐 장흥고주부(長興庫主簿)에 승진하고 장례원사평(掌隷院司評)·서흥현감·사복시판관(司僕寺判官)·원주판관·금산군수·남원부사를 지낸 뒤 첨지중추부사에 이르러 여주에 돌아와 죽었다. 김두한가옥(金斗漢家屋)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건등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주택.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86호. 이 집은 원주목사와 남원부사를 지낸 김탄행의 묘를 관리하기 위하여 건립된 묘막이다. 집의 형태는 ㄱ자형의 안채와 사랑채가 연결되어 ㄷ자형을 이루고 그 맞은편에 사랑채와 대문을 사이에 두고 수장 공간인 헛간 창고와 일부 방들이 ㄴ자형으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는 ㅁ자형을 이루고 있다. 바깥마당에서 볼 때 사랑채는 90cm 정도 높이의 잘 다듬은 3단의 장대석 기단위에 위가 좁고 아래가 넓은 60cm 정도 높이의 방형 주초석을 놓고 네모기둥을 세워 건립된 홑처마 기와집이다. 정면에서는 3칸으로 왼쪽 1칸은 네짝 띠살문이 있는 마루방이고 오른쪽 두칸은 방으로 구성되었으며, 마루방 뒷면으로는 사방 한칸인 온돌방을 배치하고, 이 방 뒷면으로는 안채의 부엌과 접하고 있다. 또한 사랑채의 정면으로는 반칸폭으로 마루를 놓아 내부공간과 외부공간과의 완충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안채는 장대석 초벌쌓기 기단 위에 두칸의 대청을 중심으로 왼쪽으로는 한칸폭으로 윗방·안방·부엌이 배치되고 이 곳에서 사랑채와 접하여 ㄷ자형의 평면형태를 구성하고 있으며 지붕은 팔작지붕에 홑처마이다. 이 가옥의 건립연대는 약 240여 년이 되었다고 하나 확실한 근거는 없으며 1936년에 크게 보수하였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 인용> |
문화재지정 | 강원도 시도유형문화재 제86호 |
문화재명칭 | 김두한가옥(金斗漢家屋), 김탄행(金坦行) 묘 |
소재지 |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건등리 852-4 |
관리자(연락처) | 안동김씨 |
▼ 김탄행(金坦行) 묘비
▼ 김탄행(金坦行) 묘 전경... 낮으마한 현무정에서 입수된다.
▼ 김탄행(金坦行) 묘
▼ 김탄행(金坦行) 묘 백호방... 백호방으로는 건등산의 산줄기가 튼실하게 감싸주고 본신 안산을 이룬다.
▼ 김탄행(金坦行) 묘 청룡쪽 망주석... 청룡쪽이 부실하다.
▼ 김탄행(金坦行) 묘 백호쪽 망주석
▼ 김탄행(金坦行) 묘 조안산... 명당도 평탄하고 옥대사도 좋아보인다.
▼ 김탄행(金坦行) 묘 후경...
▼ 김탄행(金坦行) 묘 입수도두...
▼ 김탄행(金坦行) 묘를 관리하기 위해 재실을 지었는데... 7대손 김두환 옹이 거주하고 있어서 김두환가옥으로 불려졌다. 김두환옹은 김좌진의 아들이 아니다. 지금은 아무도 거주하지 않는다.
▼ 김두한가옥(金斗漢家屋) 전경
▼ 김탄행 묘에서 바라본 김두한가옥(金斗漢家屋)... 앞쪽 안산이 천마형태인데... 그 앞 건물도 두봉우리를 연상시킨다.
▼ 김두한가옥(金斗漢家屋) 후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