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원불사(源佛寺) 원문보기 글쓴이: 도원(道原)
숫따 삐따까[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팔리 경장입니다.
팔리 경장은 5부(Panca nikaya)로 이루어져있다.
{ 1) 디가 니까야(Dīgha Nikāya, 장부(長部))
2) 맛지마 니까야(Majjhima Nikāya, 중부(中部))
3) 상윳따 니까야(Samyutta Nikāya, 상응부(相應部))
4) 앙굿따라 니까야(Anguttara Nikāya, 증지부(增支部))
5) 쿳다까 니까야(굿다까 니까야, Khuddaka Nikāya, 소부(小部))}
ㅡㅡㅡ 위 해석 및 전장 1부 참조 ㅡㅡㅡ
6) 굿다까빠따(쿳다까빠타, Khuddakapāṭha, 소송경(小誦經위키)
주) ★Khuddaka 훗딱까 = 후딱까 : 빨리 닦아 , 위 해석 참조
pāṭha 파닿, 빠닿, 빼땋 뺕닿: path 길, 안전한길
P)S) way(방법, 방식, 길, 방면), road (도로,길), range of (~에 범위),
(내) 빼다. 학자, 선생,공부하다,연구,학과~을 읊다.~을 이야기하다,리더,언급,
~에 이르게하다, 번역하다,~로 운반하다,여행 등
주)★훗닦까 빼닿 : 빨리 닦아 천상으로 빼다, 천상에 태어나다,
빠른 수행에 길로 안전하게 하다, 훗딱 수행으로 보호 받다.
훗닦가는 길( 훗닦아, 빨리 수행하는 길)
7) 담마빠다(Dhammapada, 법구경(法句經)위키)담마 빼다
주) ★빼다 : 빼내다 ,간추리다, 句, 출산, 빼내서 간추리다.
양족존에서 족으로도 해석하는데 이는 재고하여야 한다.
8) 우다나(Udāna, 자설경(自說經))
Udāna 우다나 :
P) an emotional utterance (감정적인 발언),
breathing out (숨을 내쉬다) ,mostly in (주로,대개)
S) breathing upwards (위쪽으로 숨쉬기), 우파니사드에서 오풍설.
P) uddana 욷다나 ,웃다놔 :
list (목록,명단,등재, 상장) : table of contents (목차,목록,차례 ),
cluster (클러스터,무리,단지,다발,성단 ),
주)★이 단어 udana 는 (uda 水(비雨)우다, 나온다, 우러나다 라는 뜻에서 시작하여
우다나는 water 로 해석이 되 잇다,
비오다 ,雨 다 놔 ,비 다 내려놔 라는 뜻도 된다.
udaka 우다까 : 물로 닦아 ,빗물로 세척하다, 물로 세척하다.
따라서 원전 내용에 따라 호흡 명상을 위한 내용이라면
우다나가 적용될 것이다.
9) 이띠부따까(이띠웃따까, Itivuttaka, 여시어경(如是語經)위키)
Iti 이띠 : 있지 (이북사트리)
S) so (그래서,하기 위하여), thus (따라서,그러므로,이렇게,이정도까지,
quoting words (인용구,인용문), thoughts (의견,생각, 견해),
geneally at the end (일반적으로 마지막에), at beg (애원하다),
near the end (거의 끝), serving (음식을 차린), going (가는중 )
재난, 천재, 대화 ,때때로 지적하는데 사용함, 문장 끝 마치는 부분
S) 있다 ittha
★ vuttaka 붓따까 , 붯따까 : 말을 퍼 붓다 , 말씀, 말하다,퍼 붜따까
●10) 숫타니파타(숫따니빠따, Suttanipāta, 경집(經集))
님에 수태와 출산 경,
생명따라 니빠따,니뺏다 :falling (떨어지는,down), descent(하강, 강하),
an indeclinable particle (거부할 수 없는 입자),
(s) 떨어지다 ,보내지다,침투하다 ,죽엇다(니 뻗다) ,우연한, 캐스팅 ,하강
(p) 불변화에 입자 , 내려오다. 기원하다 , 하강하다,북쪽으로
착륙하다 , 이해할 수 없는 ,해독할 수 없는 등등이다
주) ★여기서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은 단어에 근본적인 해석을 할 수 없다는 뜻이다.
혈통 하강이라는 해석도 나오는데
니 ㅡ 빼다 ,뺏따 ㅡ 얼라, 아기가 나온다 라는 뜻으로도 생각이 된다
●11) 위마나와뚜(Vimānavatthu, 천궁사경(天宮事經))
Vimānavatthu, 비마나 밭뜨우, 밭뚜, 뱉뚜
P) 사전 설명에 의하면 이 단어에서 vi 는
frequently with the sense of separation (자주 분리감을 느끼며),
difference (차이점,다름, 차액), opposition (반대, 대립,대항),
★vimana 비마나: displeased(불쾌한,불만,마음에들지안는),
distracted (산란한,산만,빗나간),
주) vi 비 非 마나 : 의식, 인식이 아니다 ,( 비 말라: 더럽지 않은 )
★주)distracted (산란한);산란한으로 해석한 것은 "vi" 비를 비산(飛 散),흩뿌리다로 해석했을 것이다
주) vatthu 바뜨,밭뜨우,밭뚜 :(밭닥,바닥)
P) site (대지,유적,터), ground (바닥, 지면,바탕), plot (구성,음모,줄거리)
object (목적,대상,물건), thing (맡은 일,올바른 것,알맞은것),
building ground (바닥, 건물바닥)
여기서“vi m a na”에서 “a” 에 악센트가 잇는 단어로써 해석은 위와 다르게
mansion (대저택, 맨션 ), heavenly palace (천궁),이라고 해석 됐다.
바닥을 事經 이라는 해석은 재고 해야할 것 같다.
참고 ;
게시판에 올린바 잇는 데바 deva : 신, 하늘,: 비교하다 (갓다) 데 바,
12) 뻬따와뚜(Petavatthu, 아귀사경(餓鬼事經))
Petavatthu 뻬타 바닥 :
peta 는 사전에 의하면 고스트, 아귀가 아닌 일반적 유령 ㅡ귀신 정도로 나오는데
원문 내용이 어찌됐는지 몰라도
일단은 페따가 귀신으로 추정한 단어를 고민해 봐야겠다.
P) 고스트,귀신 외에 departed (죽은 ,지나간, 과거에)
S) box (상자, 틀,함 ,권투), bag (가방, 봉지,주머니,봉투),
multitude (다수 ,많은), retinue (수행원,일행, 수행단),
basket (광주리,바구니,교섭 회의 등에서 일괄하여 다루어지는 관련된 여러문제),
the open hand with the fingers extended (손을 벌리고 손가락을 펴서 , : 폈다(peta) ,
손을 폈다 ㅡ라고 추측이 확실하다).(손을 편 바닥 이라는 해석이 가능하다,)
13) 테라가타(Theragāthā, 장로게경(長老偈經))
Theragāthā 뜨라가닿, 떼에라가땋 ,테라 가 ㅅ다
P) hymns of the elder (장로들에 찬송가)
P) Thera an elder (장로, 연장자,손 위에 형), senior (상위,선임자, 상관), old (늙은 ,노련한,낡은)
빨리 사전에는 산스어로 스따비라 sthavira 라고 안내하면서 해석은
derivation uncertain (파생 불확실이라고 나온다, ^^(전혀 다름에도)
S) 사전에는 theravada(데라바다) = sthaviravada(스따비라바다)로
(원로들에 길)로 해석하는데 ㅡ 이 역시 분명 오류이다.
스따비라는 원기왕성하게 서있다 ,영웅이 서있다(영웅에 승리),힘센사람
등이다, 그런데 노인, 늙은 장로 등으로 해석할 수는 없다.
vada : 말하다, 연설하다
P) gatha (가닿): deep (깊은,먼,통렬한), depth (깊이,깊은 곳 깊은 맛),
safe stand (안전하게 서있다,일어서다),
foothold (발판, 근거지,고무덧신:신발 가다(틀)를 뜻하는 것 같다 ),
S) gatha : song (노래), hymn (찬송가를), verse (운문,시), 항아리,
정통하다 ,~을 시로 짓다.
추론하건대 데리고 노래하다, 데리고 말하다 (읊으다(말씀)
또는 원문에 따라 떼려가따, 테려가따 : 데려갔다 라고 추론한다.
데려 가 닿다
14) 테리가타(Therīgāthā, 장로니게경(長老尼偈經))
Therīgāthā, 테리가닿 :
P) 사전적으로는 old woman ,senior nun(연장자 수녀, 원로 수녀)
그런데 여자와 비구니는 장로(아라한)가 될 수 없다는 율장에 의하면
장로니 ㅡ라는 것이 통용될 수 있을 것인가
그렇다면“ 아라한“과“테라가닿“ 와는 어떻게 다른 것인가
원문을 봐야 해결 되겠다. (해석할 과목들이 너무도 방만해 진다 )
15) 자따카(Jātaka, 본생경(本生經)) 까 家, 까(사람), 까( 다)
주) Jātaka,자타까, 잩따까, 자따까 ; 말 그대로( 잠 ,자따 까, 이다)
남녀가 자면서 생기는 얼라,알라를 의미한다.
(자따,자라,자나,자네,잣서,잔다,자요,자자, 등등)
P) birth story (출생 이야기), bone, arisen
S) 아래에서 태어나다, ~에 의해 태어났다,새로 태어난 어린이,출생
,출생시 천궁도
jata 자따,잩따,재때 자때 :
P) born (타고난,태어나다,태어남,~으로 태어난),
arison (일어났다, 생기다,일어나다), become (~이되다,어울리다,지다),
occurred (나오다,발생,일어나다,마음에 떠오르다),
happened (일어난, 우연히 있다, 일어나다)
S) 머리땋기 (고행자들이 입는 것처럼 시바와 애도자들, 변발,아들,창조물,
인간,출생,탄생, 태생,종류,본질, 품질 (재 때 : 경주,레이스 경쟁)
16) 니데싸(Nidessa, 의석(義釋))
Nidessa, 니뎃싸 : 니 댓써 , 니 됐어
P) dessa 뎃싸
disagreeable (불쾌한, 마음에 안드는), detestable (혐오스러운,),
odious (추악한,증오해야 할 ) 여기서는 부정된 아 ! 됐써 ,
한자 해석으로 봐서는 의석:( 글 뜻을 풀이한 것)이라면
niddesa 니 뗏사 ,니뎃사, 닏 데사 이며
description (설명.서술, 기술, 종류), analytic (분석적인 것, 분해의 ,정신 분석의),
explanation (설명,풀이),으로 나온다.
17) 마하니데싸(Mahā-niddesa, 대의석(大義釋)) 위 참조
18) 쭐라니데싸(Culla-niddesa, 소의석(小義釋)) 위참석
19) 빠띠삼비다막가(Paṭisambhidāmagga, 무애해도(無礙解道))
Paṭi 빠띠,파티 빼띠 ,패띠,패티
Paṭisambhidāmagga,빠띠 쌈비다 막가: 해석이 나오지 안는다.
다만 Paṭisambhidā 빠띠쌈비다 :
P) analytical kndwledge (분석 지식,분석적인 지식),
discrimination (차별, 식별, 식별력),
is of 4 kind (4 가지 종류가 있다 : 이 4 가지 종류이지 단어에 대한 해석이 아니다)
pati : Paṭi 빠띠,파티 빼띠 ,패띠,패티
P) against (~반대하여, ~에 거슬러서 ,~ 맞서),
opposite (반대,반대말,반대사물,반대사람),
towards (쪽으로,~편에),
in opposition to (~에 반대한다), watches (시계,감시,경계),
protects (보호,보호하다), bowl (그릇,사발), dish (접시),
S) 옷감 종류, 직물,커튼, 소유자,임자, 화주주인, 주, 댓가, 원반,
주님, 귀족,남편,지배자, 하늘(천국,에 태어나다)
sambhidā 쌈비다 : P)사전에 나오지 안는다,
sambhita 쌈비따 (sam+bhita):
terrified (겁에 질린,겁나게하다,무섭게하다),
fearless (겁이 없는, 무서워하지 안는),
bhita 비따 : 겁먹은, 깜작놀란,
bhida 비다 : 차이점, 다름, 차액, (돈이 비다, 비었다,등)종류,물품,본질.
bhida 비다 : S) bursting (파열,찢다, 브플어 터지다, 갑자기 일다),
rending (찢다,비틀어 떼다,찌르다), tering (찢는)
separation (분리,별거,간격), distinction (구별, 차이, 특징),
difference (차이점, 다름, 차액), species (종(별,종류,형식),
S,P) 공통적으로 칼로 비다(비어내서 분류되다,찢다등), 베어내다 등이 같다.
P) patisama (pati+ sama) 빠띠 싸마, 빠띠 쌈아 ,빠띠 싸뭇:
equal (동일한,같은,안정된,평평한), forming (형성,편성,연합군부대),
counterpart (짝,부본,짝진 것에 한쪽)
*sama 싸마, 쌈아 : 평등 , (사위) 삼아, * 싸마= 싸뭇, 사뭇 (가슴깊이)
magga 막가, 막아 : 도 ,길,
*막아 : 뇌물(돈으로 막아) , 재산, *막가 : 막가(는 거야),
*막가 : 북극성, 북두칠성 : 마고성, 마고 할무니, genesis (천지창조)
* 이렇듯 제대로 해석하지 못하는 단어도 많다는 사실이며
무애해도(無礙解道)) 라는 해석이 정말 궁금하다.
20) 아빠다나(Apadāna, 비유경(譬喩經)
譬喩 비유- 도덕적 교훈을 담고 있는, 譬 비유하다,깨우치다, 깨닫다,
= (s) apadana 아빼다나= avadana 아바다나,아뵈다나,아배다나)
Apadāna 아빠다나, 아빼다나,아패다나, 아빠다나, 아패다나 등 *어퍼대나
P) life history (전기 ,일대기,생활사 ), legend (전설,명각,전설문학),
*빨리 사전에서 소개한 S)단어
apadana 마빠다나,아빼다나 아패다나 :
removing (풀이,이전,제거),
breaking off (끊다, 꺽어버리다,지지하다),: 어퍼대나
S) avadana 아바다나, 바배다나, 아뵈다나 :
advice (조언, 충고, 통지), admonition (훈계,설유),
instruction (지침, 교수, 훈령,훈시), 수신, 예의범절
본 해석을 봐서는 아뵈다나ㅡ로 선생,어른을 뵙고 가르침을 받는 뜻이 명백하다.
또한 어퍼대나 ㅡ 우파니사드와 같이 스승앞에 엎어져서 공부하다
S) apadana 아뻬다나, 아파다나, 아배다나, 아뵈다나 등:
heroicdeed (영웅적인 행위,), advice (조언,충고,통지),
designation (지정,임명), pretext (이름,핑계 ,구실,명목)
appearance (모습, 출현,허울, 외관), 원천, 출처, 근원
what remains after separation (이별 뒤에 남는 것. 더 멀리 떨어져 있는 것),
절제에 개념
21) 붓다왐사(Buddhavaṃsa, 불종성경(佛種姓經))종
Buddha 붇다, :(부톄(훈민정음) ㅡ부쳐,부처)
P) known(모두 다 아는,알려진), understood (이해했다,이해한),
perceived (지각하다,이해하다).
(근대에 와서 enlightened one (깨달은자),
one who has attend enlightenment (깨달음을 얻은 사람),
으로 해석하였다)
*일반적인 깨달음, 알음알이, 지식, 지혜가 아닌 “육통(육신통)”을 얻은 사람이
꾸준한 수행으로 광명을 선행하는 사람인 것이다.
vaṃsa 밤사,뱀사 ,밤새 ,바므사, 배므사 ;
P) race (경쟁, 경주), lineage (혈통,지체, 정렬),
family 가족,가구, 혈족(), bamboo tree (대나무)
S) cane (개), bamboo (대나무), cross beam (대들보,), stock (재고,),
lieage (혈통,지체,정렬), race (경주, 경쟁), family (가족,일족),
dynasty (왕조,시대,나라), offspring (자식, 새끼),
upper timbers (상부,상위에 -목재), rafters (서까래,들보.),
roof laths (지붕 선반)
만일 불종성(혈통이 이어 진다면)이 있다면 라마승에 계보던가 샤먼에 내림이 아니던가 ?
따라서 부처가 될 종자 , 부처가 될 재목 : 성불에 원인 ,성불에 근본이겟다)
22) 짜리야삐따까(Cariyāpiṭaka, 所行蔵經)
Cariyāpiṭaka ,차리야 삐딱해 ; 수행에 관한 바른 말씀
Cariyā 차리야 ; 차려 .정신 차려, 밥상 차려 , 수행,
차례(상) : 이것이 추석 때와 설 차림상을 다례라고 변질 시켜
불가에서는 차를 올리는 날로 정하여 제사나 명절에 차를 올리는 것이 정석이라고 주장하였다.
추석 : 가배절, (한 ) 가위 , 가배. 가위 등은 소를 뜻하는 것이다.
가배 : 소를 가서 뵈다, 보호하다, 돌봐주다,
가위 ; 소를 위하다
농경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소엿다,
이는 수메르 문명을 개척하는데 동이족 3천 무리와 소가 큰 역할을 했다는 것은
이미 역사적으로 밝혀 졌으며
한민족은 추석을 중추절이라 하지 안고 가배절, 한 가위라고 하는데
사실 소를 위하여 소를 즐겁게 하는 날이라고 “산스끄리뜨 옥스퍼드” 사전에도 나와 있다.
소 : 고 , 고삐, 고뿔, 고꾸라지다, 가로 변형 가바 ,가배, 가위,개비 등
개비 ;소를 장에 가서 교환 하는 행위,(양복 한 벌 개비(장만.사다) 했어)
고타마 = 소를 타고 다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
쿳다까 니까야(소부) .(훗딱까 니꺼야 )를 제외하고 4부로 보는 경우도 있다.
4아함은 이 4부를 옮긴 것이다.
아비담마 삐따까[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팔리 논장입니다.
팔리 논장은 칠론(七論)으로 이루어져 있다.
1) 담마상가니(Dhammasaṅgaṇi, 법취론(法聚論), 법집론(法集論))
saṅgaṇi 상가니는 사전에 나오지 안는다
sanganhi 상간히 ,상가니이
(of sanganhati 상간해띠, 상간하띠, 쌈간했띠=함께(수집) 펴냈띠):
P) treated kindly (친절하게 대해 주셧다), compiled (엮다,편집하다, 수집하다), collected (모은,침착한),
S) sanga : 붙다,꽂다,찌르다. 방해,저지,부착, 애착,만지다, 접촉,촉감,접촉,교제,
~와 함게, 와, 으로,협회, 연합, 공동,성관계, 성행위, 성교,
함게모이다(sam ga), 갈등, ,찌르다. 방해, (이 단어는 싸움, 쌈( 낫써 ),
sangati :상가띠(samgati) : 회의,마주치다,장소에 의지하다,빈번히,협회,연합,공동,,
성관계,성교,~와 함께, ~와
상간했띠라는 빨리어와 성관계라는 산스어가 유사한 해석도 나온다.
2) 비방가(위방가, Vibhaṅga, 분별론(分別論)); 비 박아 :위해석 참조
비산 : 생명에 씨를 뿌리다, (남을 ) 비방하다
3) 다뚜까타(Dhātukathā, 계설론(界說論), 계론(界論))
다뚜까다, 다투까다 :
다투 : 다투다 , 경계를 두고 싸우다, 설전,
4) 뿍갈라빤냣띠(Puggalapaññatti, 인시설론(人施設論))
★ Puggalapaññatti 뿌깔라 빤나띠 . 뿍갈라 빤낱띠, 뿍 가라 빤나띠,
푸그 가라 빤나띠. 푹가라 빤나띠:
P) classification of individuals (개인에 분류,개인에 종류)
★ puggala 뿌깔라, 뿍갈라, 푹갈라, 푹가라
(s) pudgala 뿌드갈라,푸드가라)
P) individual (개인,개체,사람) ,person (사람, ), being (존재,~것)
as well as the synonyms (뿐만 아니라),
personnality(성격, 인격,사람),
S) beautiful (아름다운,예쁜,훌륭한), body (몸,신체,몸통),
material dbject (물질적 대상), ego (자아, 자만), soul (영혼,정신),
individual (개인, 개체, 사람), 개인에 본질,개인에실체
★ pannatti 빤나띠 (쁘라즈나띠) designation (지정, 임명),
name (이름,명칭), concept (개념,생각), idea (생각, 이데아),
regulation (규제, 규칙), making known (알리기, ~을 알리다),
manifestation (표명,명시,), enactment (제정,법령,법의제정),
ordinance (의식, 법령), precept (교훈 ,지침),
panna 빤나:understanding (이해,터득), knowlwdge (지식, 인식경험)
, wisdom (.지혜,예지, 현명), insight (통찰력)
S) pud 뿌드, 푸드 ; to leave (떠나기 위하여), quit (그만두다,떠나다, 끊다,포기하다,관두다),
to grind (갈기 위해서 (연마)),
pound (연타,강타, 두들기다,빻다), (푸트라를 설명하기 위한 단어)
★ gala 갈라, 가라,갈아 :
P) neck (목, 목에 길이), throat (목, 목구멍, 좁은 통로),
S) neck, throa, reed (갈대,세로홈), rope (줄,묶다,요령)
{{디씨인사이드 발췌
*[일반] 현대에 깨달은이가 적은 이유 - 인시설론
지은이 rache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뿍갈라뺜냣띠(Puggalapaññatti, 인시설론)에 따르면 붓다의 담마를 만나는 사람(puggala)에는
네 가지 유형이 있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시설론이란?
施設 : 설비나 장치 따위를 차려놓거나 일정한 구조물을 만듦,
★ 사람을 만드는 론서라지만
뿍가라,또는 푸드갈라에 대한 명확한 해석이 없으며
빤나에 대한 뜻을 따른다 해도 인시설론이라고 해석할 이유가 되지 안는다는
어설픈 해석이라 생각된다.
5) 까타왓투(Kathāvatthu, 논사(論事), 논사론(論事論))
vatthu 밭뚜, 밭뚝 ,바딱
P) site (대지,유적,터), ground (바닥, 지면,바탕), plot (구성,음모,줄거리)
object (목적,대상,물건), thing (맡은 일,올바른 것,알맞은것),
building ground (바닥, 건물바닥), story (말, 이야기,설명),
substance (물질, 실체, 실질), 종교적인 건물을 봉헌하는 것.
6) 야마까(Yamaka]], 쌍대론(雙對論), 쌍론(雙論))
야매까= 여매까 : 야매 까 ,
까는 까다에 준말이거나 말하는 사람,언사, 연설가를 의미한다면
여매는 현재 여미다 로 사용되는 두 개를 엮거나 매는 경우를 뜻하겠다.
7) 빳타나(Paṭṭhāna, 발취론(發趣論))
Paṭṭhāna, 빹닿나, 뺕닿나. 빼땋나
P) aiming at (겨냥하다,~을 노리다), aspiration (포부,흡출,호흡), desire (욕구,염원,희망),
request (요구, 의뢰,청,부탁), prayer (기도, 기원,탄원),
★ pathana 빠닿나, 빼닿나 S) reciting (낭송하다,암송하다,이야기하다),
studying 살피다,연구하다, 노력하다(), reading (독서,읽을거리,읽는법),
mentioning (언급, 말하다)
ㅡㅡㅡㅡㅡㅡ
이 일곱가지 논서를 제외한 나머지 논서들은
삼장의 앗타까타(aṭṭhakathā,주석서)로 취급되며,
티피타카(삼장)에 포함되지 않는다.
ㅡㅡㅡㅡㅡㅡㅡㅡ
장외[편집]
장외(藏外)는 아비담마 삐따까(논장)에 포함되지 않는 특수한 3개의 논서를 말한다.
사본에 따라서 굿다까 니까야(소부)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1) 넷티파카라나(Nettippakaraṇa, 지도론(指導論))
Netti 넽띠,네띠
P) craving (갈망,욕망), conductor (지휘자,전도체)
s) netra 넽뜨라,네뜨라 ;
leader (지도자, 대표, 정상) conducting (지도, 지휘)
★ neti 네띠 = nayati 나야띠, 나야 띠, 나여 띠,
확인하다,명백히하다,없애다,풀자,제거하다,더듬다,이끌다, 가져오다,
안내자,안내서,수행하다,지휘하다
★ ppakarana 빠까라나,빼까라나 = pakarana
an occasion (때가 되면), literary work (저작물, 문학작품)
exposition (박람회,설명,주제제시부)
* 네띠 빼 까라나 :: 갈망,욕망을 빼서 까라놓다,
까라나 : 敎 ,作, 具, 인연, 연, 까라놓다, 일을 벌려놓다.
쁘빠, 프파, 팎 : 까라나 = 팎 까라놔 = 확 깔아 놔
2) 페타코파데사(Peṭakopadesa, 장석론(藏釋論))
사전을 보니 웃음 나온다. 페타는 분명 죽음,고인,귀신,등인데
페타코로 해석해 보니 ㅡpitaka 라고 나온다. 물론 삐다까에 대한 해석은 없지만,
이는 뻬딱해 라는 말이 된다.
★ padesa 빠데사, 빼데사
P) region (지역,지방, 부분), place (장소,자리),
district (지방,지구,지역,교구), location (위치,소재지,처소)
* 藏 자를 지장(경)으로 하여 세단어를 등분하여 해석하면 또 달라지게 된다.
★ peta : 귀신, 죽음 , 신 ,
★ kopa : 분노, 화,노여움,성질이 나쁜, 악의 한 (꼬빠,꼬패:(꼬아,꼽니)
★ desa : 지역,지방, 부분,국가, 나라, 시골 ,부분, 부품,장소,곳,자리,지점.
*여기서 의문이 드는데
지장보살은 " 끄시띠 가르봐" 이다 ㅡ장석론이 지장을 뜻한다면
원문 어딘가에는 지장보살에 대한 호명이 나오리라 .
3) 밀린다팡하(Milindapañhā, 미란다왕문경(彌蘭陀王問經))
Milindapañhā, 밀린다 빵하(빵해.팡하,판하) : (뻔해, 빤해)
문제,질문,의문,물음, 문의
뻔하다1[뻔:--]
1.굳이 확인해 보거나 경험해 보지 않아도 알 수 있을 만큼 명확하다
2.거리가 가깝거나 가리거나 감추지 않아 훤히 드러나는 상태에 있다
3.바라보는 것이 뚜렷하다
빤해 ,빤하다
형용사(1)[(명)이] (무엇이) 굳이 확인해 보거나 경험해 보지 않아도 알 수 있을 만큼 명확하다.
삼가 도원 합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