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에서 강문의 위상을 어느 정도였을까? 오래된 역사라 문중 자체의 문헌이 있기가 어렵고 『고려사』, 『고려사절요』에서 그 발자취를 추적해 볼 수밖에 없다. 『고려사』, 『고려사절요』에는 계보가 파악된 인물보다는 계보를 알 수 없는 인물들이 훨씬 더 많다. 다음은 위 두 책을 중심으로 강문들의 활약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1. 강문과 귀주대첩
1) 고려 구국의 명장-강감찬, 강민첨 장군의 탄생
948년 2월 겨울 밤 하늘에 큰별(文曲星) 하나가 관악산 기슭 어느 집에 떨어졌다. 이것은 나라에 큰 인물의 탄생을 알리는 하늘의 점지였으며 고려 500년 사직을 담보하는 대 탄생이었다. 이곳이 금주<(衿州; 지금의 서울 봉천동에 자리 잡고 있는 낙성대(落星垈)>인데 이곳에서 인헌공 강감찬 장군이 태어났다. 강감찬 장군 생가 터 |
강감찬의 5대조인 강여청(姜餘淸)이 신라시대부터 이 지역에서 터를 잡고 살았다고 전해지며, 부친인 강궁진(姜弓珍)이 태조 왕건을 도와 고려 건국에 공을 세우고 벽상공신이 되면서 명망가 집안으로 부상했다.
이로부터 15년 뒤인 963년(광종 14)에 진주에 은열공 강민첨(姜民瞻) 장군이태어났다. 생각해보면, 한때 고려의 국운이, 한 민족의 운명이 이 두 장군의 충성심에 있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두 장군 다 문과에 급제하여 처음에는 문관(文官)으로 벼슬길에 나아갔지만 나라의 운명이 위급할 때 서슴없이 말을 타고 칼을 들고 적진에 뛰어들어 적을 물리친 충신들이다.
강감찬 장군 영정 |
강민첨 영정,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보물 제588호) 사진 출처 :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한민족 전투), 2002, 한국콘텐츠진흥원) |
귀주대첩 이후 거란은 침략 야욕을 버리게 되고 고려와는 평화적 국교가 성립되었다. 강감찬 장군에게는 검교태위(檢校太尉) 문하시랑동내사문하평장사(門下侍郞同內史門下平章事) 천수현개국남(天水縣開國男) 식읍 3백호(食邑三百戶)에 봉해지고 추충협모안국공신(推忠協謀安國功臣)의 호를 받았다. 강감찬 장군은 벼슬을 사양하고 물러났다가 1030년 왕에게 청하여 성을 쌓고 문하시중이 되었으며, 이듬해 특진검교태사시중 천수군개국후(天水郡開國侯) 식읍일천호(食邑一千戶)에 봉해졌다. 현종 묘정(廟庭)에 배향, 수태사 겸 중서령에 추증되었다. 저서에 『낙도교거집(樂道郊居集)』 『구선집(求善集)』 등이 있다. 1031년 8월에는 강감찬 장군이 졸하니 인헌(仁憲)이라 시호를 내리고 현종묘정에 배향하고 문종 때 수태사겸 중서령에 추증하였다. 인헌(仁憲)이란 시호를 따서 인헌공파조(仁憲公派祖)라 한다.
강민첨 장군에게도 1019년 응양상장군 주국 우산기상시(鷹揚上將軍 柱國 右散騎常侍)에 올라, 추성치리익대공신(推誠致理翊戴功臣)에 녹훈되었다. 이듬해 지중추사(知中樞事) 병부상서(兵部尙書)에 올랐다.
1021년 11월 12일 강민첨 장군이 타계하니 태자태사 문하시랑에 추증하고 은열(殷烈)이란 시호를 내리고 1046년 정종 2년에 공신도형에 올려 삼한벽상공신이 되었다. 은열(殷烈)이란 시호를 따서 은열공파조(殷烈公派祖)라 한다.
1727년에 발간된 『정미보(丁未譜)』에 은열공 증손자<공량(恭良)> 기사에 병란으로 2대의 사적이 불타 이름이나 관직명을 알 수 없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 백각 대제학을 지낸 강현(姜鋧)이 쓴 서문에 은열공이 식읍 3백호(食邑三百戶)를 받은 것으로 적고 있고, 1021년 12월 20일 내린 치제문(致祭文)에 천수현개국남(天水縣開國男) 식읍 3백호(食邑三百戶)에 봉해진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인헌공 강감찬 장군이나 은열공<강민첨> 모두 천수현(天水縣)으로 봉지를 받아 우리나라에서는 금주(衿州)와 진주(晉州) 두 본관(本貫)으로 나누어졌지만 시조는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살아서는 명재상이며 장수였고, 죽어서는 설화가 된 강감찬
위인전을 읽었다면 유치원생도 들어봤을 이름이 귀주대첩의 신화를 만든 강감찬(姜邯贊, 948~1031) 장군이다. 강감찬 장군은 고려 정종과 현종 년간에 국가를 위기에서 구해낸 영웅 중의 영웅으로 고구려의 을지문덕, 조선의 이순신과 더불어 외적의 침입으로부터 나라를 구한 3대 영웅으로 회자되는 인물이다.
강감찬 장군이 막아낸 외적은 거란이다. 우여곡절 끝에 목종을 이어 현종이 즉위하자, 거란의 성종은 목종을 끌어내린 강조(康兆)의 정변을 구실 삼아 여러 차례 고려를 침공하였고, 1018년의 세 번째 거란의 침략을 물리친 인물이 강감찬 장군이다. 이후 현종의 친조(親朝)를 들어 강동 6주의 반환을 요구하며, 재차 침입한 거란의 소배압을 귀주에서 뛰어난 계략으로 물리침으로써 명장과 명신으로 추앙받는 삶을 살았다.
강감찬 장군이 다른 역사 인물과 다른 점은 역사기록은 물론이고 문헌 혹은 구비설화를 통해 다양한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는 점이다. 강감찬 장군은 사후에 역사와 문학작품 외에도 다양한 경로를 통해 오랫동안 회자되었을 뿐만 아니라, 설화 속 주인공으로 신격화되고 민중들의 사랑을 받았다. 역사 속 인물이 설화(說話) 속 주인공으로 환생(還生)한 것은 아마도 그의 공적이 인간의 힘을 뛰어넘는 그 무엇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1) 문곡성의 빛을 타고 태어난 고려의 명재상
영웅이 탄생하는데 신화가 없을 수 없다. 강감찬 장군의 탄생 일화는 꽤 유명하다. 관악산 정상에는 강감찬 장군의 탄생 신화가 서려있는 곳이다.
조선 초기의 문신 성현(成俔:1439 ~ 1504)이 쓴 『용재총화(慵齋叢話)』에는 강감찬 장군이 몸집이 작고 귀도 조그마했다고 전한다. 관상이 실제 맞는지 어떤지는 모를 일이지만, 강감찬 장군의 관상만은 귀인상이었다. 어느 날 키 크고 잘생긴 선비를 관리 복장을 하게하고 자신은 허름한 옷을 입고 그 뒤에 섰는데, 송나라 사신이 한눈에 강감찬 장군을 알아봤다고 한다. 송나라의 사신이 가난한 선비를 보고, “용모는 비록 크고 위엄이 있으나 귀에 성곽(城郭)이 없으니, 필연코 가난한 선비다.” 하고, 강감찬 장군을 보고는 두 팔을 벌리고 엎드려 절하며, “염정성(廉貞星)이 오랫동안 중국에 나타나지 않더니, 이제 동방(東方)에 있습니다.”라고 했다.
일화에 등장하는 문곡성은 북두칠성의 4번째 별로 문운(文運)을 주관한다. 반면에 북두칠성의 5번 째 별인 염정성은 형살(刑殺)을 주관한다.
북두칠성은 일곱 별마다 도교적 색채의 이름이 있다. 국자의 맨 앞별에서부터 차례로 탐랑성ㆍ거문성ㆍ녹존성ㆍ문곡성ㆍ염정성ㆍ무곡성ㆍ파군성이라 한다. 강감찬 장군이 과거에 장원급제한 문신이면서도 거란을 물리친 무장의 재능을 갖추었기 때문에 두 별이 등장한 듯싶다. 중국에서는 문곡성의 화신을 판관 포청천으로 봤다. 그 문곡성이 중국에서 고려로 건너온 셈이니 그가 바로 강감찬 장군이다.<강감찬이 남긴 오언절구의 한시 필적(초서)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
(2) 신화가 된 장군
귀주대첩으로 거란에 씻을 수 없는 치욕을 안겨다 준 강감찬 장군은 전란 이후에는 개성 외곽에 성곽을 쌓을 것을 주장하는 등 국방에 힘썼다. 낙향한 뒤에는 『낙도교거집(樂道郊居集)』과 『구선집(求善集)』 등 저술에도 힘써 몇 권의 저서도 남겼으나, 현재는 전해지지 않는다.
국가를 위해 헌신한 강감찬 장군은 이후 연로함을 이유로 여러 차례에 걸쳐 은퇴를 청원하기도 했다. 그러나 현종이 지팡이까지 하사하며 만류하는 바람에 뜻을 이루지 못했다. 1030년에는 벼슬이 문하시중에까지 올랐으며, 1032년(덕종 원년)에 생을 마감하였으니 향년 84세였다. 강감찬 장군이 죽자 덕종은 3일간 조회를 멈추고 장례식을 국장으로 치르게 했다.
강감찬 장군과 관련한 설화 가운데 가장 유명한 것이 호환(虎患)을 없앤 이야기다.
고려의 강감찬 장군이 현종 때 판관이 되었는데, 한양에 범이 많아 백성의 걱정이 많았다. 강감찬 장군이 편지 한 장을 적어서 아전에게 주며 말하기를, “북문 밖 북동에 가면 늙은 중이 바위 위에 앉아 있을 것이니, 네가 불러서 데리고 오너라.”고 하였다. 아전이 그의 말대로 하니 과연 중이 있었다. 아전을 따라온 중을 보고 강감찬 장군이 꾸짖으며 “너는 빨리 무리를 데리고 멀리 가거라.” 하니, 주위 사람들이 이상하게 여겼다. 이어 강감찬 장군이 본색을 드러내라고 명령하니, 중이 크게 울부짖고는 한 마리의 큰 호랑이로 변하고 사라졌는데, 이후로 한양에 호환이 사라졌다고 한다.
3) 고려의 운명을 가른 귀주대첩
(1) 계속되는 거란의 침입으로 궁지에 몰린 고려, 회심의 일격을 준비하다
1010년(현종 1년) 강조(康兆)가 목종(穆宗)을 죽이고 현종(顯宗)을 추대하는 정변(政變)이 일어나자, 이를 구실로 거란의 2차 침입이 시작되었다. 개경이 함락되고 현종이 나주까지 피신하였지만, 현종의 친조(親朝)를 조건으로 이듬해 1월에 거란군이 철수하였다. 이후 현종은 병을 핑계로 친조를 거절하였고, 결국 고려(高麗)와 송(宋), 거란 3국의 관계는 거란의 침략이 시작되었던 10여 년 전과 같이 다시 미묘한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마침내 1014년(현종 5년) 9월 소적렬이 이끄는 거란군이 통주와 흥화진을 공격하는 것을 신호로 거란의 3차 침입이 시작되었다. 거란의 공격이 계속될 기미를 보이자 고려는 송(宋)나라에 구원군을 요청하였다. 그러나 송나라는 국력이 쇠퇴한데다가 그 무렵 거란과 동맹을 맺고 있었다. 송나라의 도움을 받지 못한 가운데 고려는 1016년(현종 7년) 또다시 거란의 침입을 받았다. 이렇듯 쉴 새 없이 소모전을 벌이던 거란의 공격은 소합탁이 패배한 뒤로 약 1년 동안 잠잠하였다. 잠시 소강기(小康期)를 갖게 되자 고려는 거란에 화해의 손짓을 보내는 척하면서 만일의 사태에 대비한 빈틈없는 준비에 온 힘을 기울였다.
고려가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는 사이 마침내 거란의 성종은 1018년 12월 소배압(蕭排押)에게 10만 대군을 이끌고 고려를 침공하게 했다. 소배압은 앞서 1차 침입 때에 왔던 소손녕(蕭遜寧)의 형으로 2차 침입 때에는 거란 성종을 따라 개경(開京)까지 왔던 인물이다. 거란의 대대적인 공격이 시작되었지만, 고려 역시 거란의 대규모 침략을 예상하고 20만 군대를 조성해 놓고 있었다. 이 20만 군대를 지휘한 상원수가 바로 평장사 강감찬이었다.
강감찬 장군이 처음 병력을 이끌고 진을 친 곳은 영주(안주)였다. 그러나 곧 흥화진으로 나아가 기병 1만 2천을 복병으로 배치해 놓고 흥화진 앞을 흐르던 내를 소가죽으로 꿰어 막았다. 그런 다음 거란군이 건너기를 기다렸다가 일시에 물을 터트려 흘려보내고 복병으로 하여금 거란군을 공격하게 하였다. 흥화진에서 불의의 일격을 당한 소배압(蕭排押)은 퇴각하지 않고 개경으로 진군하였다. 이후에도 부원수 강민첨(姜民瞻) 장군과 시랑 조원의 공격으로 꽤 많은 부하가 죽었음에도 소배압은 개경 입성(入城)을 고집했다.
(2) 귀주, 바람의 방향이 바뀌다
결국 이듬해 정월, 소배압(蕭排押)은 개경에서 백여 리 떨어진 황해도 신은현(신계)까지 진출하였다. 그러나 개경<개성>을 코앞에 둔 그는 고려 기습부대들의 공격을 받고 전의를 상실, 철군하기 시작했다. 거란군이 회군을 시작하자 강감찬 장군은 곳곳에 군사를 매복시켜 두었다가 이들을 급습했다. 퇴각하는 소배압이 외나무다리에서 강감찬 장군과 만난 곳이 바로 ‘귀주’였다.
처음 양 진영은 서로 팽팽하게 맞선 채 좀처럼 승부에 나서지 않았다. 그러다가 개경에 내려갔던 김종현(金宗鉉)의 부대가 가세하고 갑자기 바람의 방향이 바뀌어 거란군이 있는 북쪽으로 불기 시작하였다. 전세가 불리하다는 것을 깨달은 거란군은 북쪽으로 달아나기 시작했고, 고려군은 도망치는 적을 맹렬히 추격하여 거의 몰살시켜 버렸다.
거란군은 초반부터 큰 피해를 입었음에도 후퇴하지 않고, 고려군의 이어진 공격을 피하여 개경으로 나아가다가 자주[1](慈州)에서 사령관 원수 강민첨 장군의 공격을 받았으며, 고려군의 청야 전술로 인해 식량 공급에도 큰 차질을 빚었다. 소배압은 다음 해 정월 개경에서 멀지 않은 신은현[2](新恩縣)에 도달했으나 개경을 함락할 수 없음을 깨닫고 군사를 돌려 퇴각하였다.
당시 살아서 본국으로 도망친 거란군은 단지 수천 명밖에 안 되었으며, 게다가 적장 소배압(蕭排押)은 갑옷에 무기까지 버리고 죽기 살기로 압록강을 헤엄쳐 달아났다. 소배압에게는 그야말로 한 맺힌 압록강이었다. 소배압이 패전하고 돌아오자 거란 성종은 진노하여 “네 낯가죽을 벗겨 죽여 버리겠다.”며 노발대발하였다. 소배압의 낯가죽이 실제로 벗겨졌는지는 알 수 없으나, 파직되어 귀양갔다고 하는 기록으로 보아 다행히 목숨만은 건진 듯하다. 패장 소배압이 자신의 낯가죽을 걱정하는 사이, 승장 강감찬 장군은 3군과 포로를 이끌고 당당히 개선했다. 강감찬 장군이 개경에 온다는 소식을 들은 현종은 친히 영파역으로 나가서 그를 맞이하고 금화 8가지를 강감찬 장군에게 꽂아 주었다. 이날을 기념하여 영파역은 흥의역으로 개칭되고 이곳의 역리는 지방관리와 같은 관대(冠帶)를 받았다. 강감찬(姜邯贊) 장군의 지휘로 거란군의 침략야욕을 분쇄해 버린 이 날의 전투는 우리 역사상 귀주대첩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거란 역사에서는 가장 비참한 패전으로 기록되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