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막투석(Peritoneal dialysis)은 수술된 도관을 통해서 투석액을 복강내로 주입하고 투석액이 복강 안에 머물러 있는 동안 혈액내의 노폐물과 과잉 수분이 복강으로 모아지면, 다시 도관을 통해서 배출하여 신장의 기능을 대신 합니다.
복막의 생리적 특성
복막은 복강 내 장기를 둘러싸고 있는 얇은 막으로 색깔이 없고, 부드러운 표면을 가지고 있으며 , 막힌 주머니 형태입니다. 복막에는 아주 미세한 구멍들이 있어 이 구멍을 통해 노폐물과 수분을 제거합니다.
복막투석의 원리
확산에 의해 노폐물과 대사성 독성물질 제거 용액내 모든 분자들은 일정한 움직임을 갖고 골고루 퍼지려는 성질을 지니고 있어 농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분자가 이동하게 됩니다. 이 과정을 확산이라고 합니다. 투석에서의 노폐물 제거도 확산을 이용하는 것으로 혈액중의 높은 농도로 존재하는 노폐물이 반투막을 통하여 농도가 낮은 투석액쪽으로 빠져나오게 되므로 제거되는 것입니다. 삼투에 의한 체내 과잉 수분제거 용액은 물(용매)과 분자(용질)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분자의 수가 많을수록 용액의 삼투압이 높아집니다. 물은 분자가 작아서 반투막의 구멍을 자유롭게 통과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투막을 사이에 두고 물은 양쪽에 삼투압이 낮은쪽 용액으로부터 높은쪽으로 양쪽의 삼투압이 평행에 이를 때까지 이동하게 됩니다. 복막투석에서는 투석액속에 포도당을 첨가하여 혈액보다 삼투압을 높여줌으로써 과잉 축적된 수분을 제거하고 있습니다. 물이 제거되는 정도는 투석액내의 포도당 포함농도에 의해 결정됩니다. 복막투석에 사용되는 투석액의 종류는 포도당 농도에 따라 현재 1.5%, 2.5%, 4.75% 등이 있습니다. 고농도인 2.5%, 4.25%포도당 용액은 수분을 많이 제거할 때 사용합니다.
복막투석액
복막투석에 사용되는 멸균 소독된 용액을 복막투석액이라 하며, 이는 물, 포도당, 염분, 무기질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복막투석종류
CAPD 계속적 외래 복막투석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복강내에 24시간 투석액을 저류시켜 계속적으로 투석하는 방법으로 1일 3-5회 투석액을 교환합니다. 이는 계속적인 투석으로 체액량과 혈압조절이 용이합니다. 투석액 교환주기는 CAPD의 경우 아침 6시 낮12시 저녁 6시 밤 10시의 방법으로 시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투석형태에 따라 의사의 처방에 의해 주기가 조정됩니다.
CCPD 연속적 순환 복막투석 (Continuous Cycler Assisted Peritoneal Dialysis) 대상자의 수면을 방해하지 않고 취침중에 시행되는 치료법으로 Cycler에 연결하여 셋팅 해놓으면 3∼5회 주기적으로 교체되며 아침에 연결관과 Cycler를 분리시키고 마지막 용액을 복강내에 저류시킵니다. 이는 Cycler라는 기계가 필요하며 1회용 주입관 (Tubing set)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습니다. NIPD 야간 간헐적 복막투석 (Nocturial intermittent PD) CCPD와 동일하게 밤동안 cycler에 연결하여 7-8회로 회수를 늘려 교환하며 아침에는 용액을 복강내에 저류시키지 않은채 cycler와 분리시킵니다. 즉 낮동안 복강은 비어 있는 상태로 있게 됩니다.
복막투석 장점
■ |
자가치료가 가능합니다. 환자 본인이 시행 가능하여 의료인과 기계에 의존하지 않아도 됩니다. |
■ |
식이요법이 자유롭습니다. 투석이 24시간 지속되므로 염분과 수분의 섭취가 혈액투석에 비해 자유롭습니다. |
■ |
투석불균형 증후군이 없습니다. 매일 일정량의 투석이 이루어지므로 요독의 농도가 거의 변함이 없어 쾌적함을 유지합니다. |
■ |
1회 교환시간이 30분 정도 소요되므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시간적 제한을 덜 받습니다. |
■ |
혈액투석에 비해 혈액손실이 적고 매번 주사공포에 시달리지 않습니다. |
■ |
혈액투석에 비해 비용이 적어 경제적입니다(CAPD 의 경우). |
복막투석 단점
■ |
복막염이 걸리기 쉽습니다. 피부나 공기중의 세균 또는 장내세균이 복강내로 침입하여 급성염중을 유발하며 심한 복통, 발열, 구역질, 설사 등이 생깁니다. |
■ |
도관에서 오는 합병증이 있습니다. 도관자극 증상, 도관폐쇄, 투석액 누출, 도관출구 감염, 터널감염, 도관의 체외탈출, 도관파손 등이 올 수 있습니다. |
■ |
복막은 혈액중의 노폐물외에도 단백질이나 비타민등도 통과시켜 소실시킵니다. |
■ |
복막투석액중의 포도당이 체내로 흡수되어 비만이나 고지혈증을 유발시킵니다. |
■ |
1일 4회 6시간 간격의 교환으로 인해 수면부족이 오기 쉽습니다. |
■ |
복강내 압력증가로 인해 탈장이나 요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 |
흐르는 물에 샤워만 가능하며 통목욕이나 수영은 금지됩니다.
복막투석 절차 |
복막투석 시행절차
반영구적인 복강 카테타 (Tenckhoff catheter)를 복강내에 심기 이것은 수술실에서 외과의사에 의해 부분 마취하에 시행됩니다. 이 카테타는 배꼽아래 복벽을 통해 복강내에 삽입하고 반대쪽의 5∼6cm 정도는 신체밖으로 나오게 됩니다.
주입관 (Transfer set)을 연결 주입관 연결역시 무균적으로 수술실에서 실시되어야 합니다. 복강 카테터 → adaptor → 주입관 → 복막투석액 순으로 완전히 폐쇄된 형태가 됩니다. 주입관은 6개월에 한번씩 복막투석실로 내원하여 교환하여야 합니다.
투석액 주입 투석액 백은 복강보다 높이 위치시켜 중력에 의해 복강속으로 용액이 주입되며 주입후 로울러 클램프를 잠급니다. 시간은 7-10분 소요됩니다.
투석액 저류 복강안에 주입되어 들어간 투석액이 머물러 있는 시간을 말하며, 약 46시간 이며, 저류되어 있는 동안 혈액속에 있는 노폐물과 과잉 수분이 복강 안으로 모아집니다.
투석액 배출 투석액 주입후 6∼8시간 경과후 배액백을 복강보다 낮은 위치에 놓아 클램프를 열면 복강내의 투석액이 빈백으로 흘러 들어갑니다. 시간은 15-30분 소요됩니다.
복막투석 교환절차
1. |
환경을 정돈합니다. |
|
2. |
필요한 물품을 준비합니다. (투백, 일회용캡, 켈리 2개, 마스크, 깨끗한 방포, 배액받침대, 걸대 저울) |
3. |
새 투석액을 체온정도로 가온합니다. |
|
- 겉포장된 상태에서 건열을 이용하여 가온합니다. 예 전자렌지, 라지에타, 전기담요, 보온밥통, 온돌, 가온기 |
|
- 투석액의 농도, 유효기간, 새는지 여부를 잘 확인합니다. |
4. |
손을 깨끗이 닦습니다. |
5. |
마스크를 착용합니다. |
6. |
겉포장 제거후 주입라인을 켈리로 잠급니다. |
7. |
무릎위에 방포를 깔고 트랜스퍼씰을 꺼내놓습니다. |
8. |
왼손의 엄지와 검지위에 트렌스퍼셀을 단단히 잡고, 검지와 중지사이에 주입라인을 잡고 수평을 이루면서 둘사이에 각도가 벌어져 서로 닿지 않도록 잡습니다. |
9. |
트렌스퍼셀 캡을 살짝 돌려 놓고 주입라인 캡을 벗긴후 트랜스퍼 셀 캡을 열어버린 다음, 배액라인을 잡아서 트랜스퍼 셀과 주입라인을 신속, 정확하게 연결합니다. |
10. |
배액백의 절단막(break corn)을 절단하여 배액 받침대에 걸고 주입백을 걸대에 겁니다. |
|
11. |
트랜스퍼셀의 로울러 클램프를 열어 배액시키고 배액이 끝나면 잠급니다. |
12. |
배액량을 저울에 측정합니다. |
13. |
주입라인의 켈리를 풀어서 1~10까지 세며 100cc가량 흘려보냅니다. |
14. |
배액라인을 켈리로 잠그고 트랜스퍼씰의 로울러 크램프를 열어 투석액을 복강내로 주입합니다. |
15. |
다 주입되면 트랜스퍼 셑 로올러 크램프와 주입라인을 켈리로 잠급니다. |
16. |
일회용캡을 집을수 있게 준비한후 트랜스퍼 셀과 주입라인을 분리하여 일회용 캡을 트랜스퍼셑에 씌웁니다(이 과정에서도 트랜스퍼 셑 끌부분이 손이나 기타 물품에 닿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합니다). |
17. |
트랜스퍼 셀을 복대에 넣어 허리에 부착하고 주위를 정리한 후 배액 상태를 기록합니다. |
※ 주의사항
● |
분리된 연결구가 위로 향하지 않도록 합니다. 공기중의 먼지 및 낙하균이 유입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함입니다. |
● |
전자렌지 가온시 주입라인이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과열로 인해 백이 터지는 것을 막도록 합니다. |
복막투석 일지 사용법
기입시 요령 ● 체중 : 하루에서 첫 교환후 측정합니다. ● 체온, 혈압 : 배액하는 동안 측정합니다. ● 배출액의 양상 및 신체의 중상을 기록합니다. ● 기타 이상증상이 있다면 빈 공간에 모두 적어둡니다. ● 제수량 : 배출량 - 주입량 ● 총제수량 : 하루 배설되는 총 수분량을 의미합니다.
기록일지 예
년 월 일 요일 |
번 호 |
시 간 |
농 도 |
배 액 량 |
주 입 량 |
제 수 량 |
1 |
06:00 |
150 |
2,300 |
2,000 |
300 |
2 |
12:00 |
150 |
2,200 |
2,000 |
200 |
3 |
18:00 |
150 |
1,800 |
2,000 |
-200 |
4 |
22:00 |
425 |
3,000 |
2,000 |
1,000 |
5 |
|
|
|
|
|
체 중 |
62Kg |
혈 압 |
130/80 |
뇨 량 |
300cc |
|
|
체 온 |
36.2℃ |
총제수량 |
1,300ml |
기 타 |
배출액은 투명하고 노란빛, 출구부위 깨끗함, 섬유질 소량보임.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