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word cloud of the Hebrew Bible. (Wiki Commons)
“ 우리에게 우리 날 계수함을 가르치사 지혜로운 마음을 얻게 하소서”(시 90:12)
우리가 성경을 공부할 때, 숫자들이 자주 등장하는 것을 보게 되는 데, 그것을 등장은 우연한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비록 대부분이 경우 숫자들은 세속적인 것으로 보이지만, 유다이즘에서 숫자들은 토라의 보편적 진리들과 연결된다. 여전히 토라에서 숫자들의 패턴은 예언서들이나 신약에서 지속되고 있다.
일찍이 우리는 1에서 7까지를 보았고, 성경과 유대인의 사고에서 중요성을 설명했다.
많은 독자들은 이러한 주제에 흥미를 표현했고, 이러한 특징 가운데서, 우리는 8에서 12까지를 면밀히 볼 것이다.
비록 성경에서 일부 숫자들은 상당히 중요하지만, 유다 이즘에서는 실제를 주형(틀에서 만들어내는)하는 영적인 힘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것들은 마술적인 힘들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 그것은 우리에게 이러한 숫자의 패턴들을 제공하는 하나님의 의도가 아니다.
그러나 성경을 적절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우리는 성서적 수비학을 포함하는 문자적, 상징적인 것들을 보아야 한다.
A Jewish lad examines the letters of the Hebrew
alphabet, which also form numbers.
쉐모나 여덟, 8: Shemonah (שְׁמֹנֶה or ח / Eight)
“대저 의인은 일곱 번 넘어질지라도 다시 일어나려니와 악인은 재앙으로 말미암아 엎드러지느니라”(잠 24:16)
숫자들에 관한 마지막 특징으로, 우리는 숫자 7이 시간에 관한 우리의 경험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그리고 자연적인 영역에서 완전을 상징한다.
예를 들면, 한 주안에 7일이 있고, 세미타의 주기에 7년, 자연 세계의 거룩함(성화)을 상징하는 안식일, 주 중 일 곱 번째 날이 있다
숫자 8 (쉐모나)은 물론 7 다음에 오는 것으로 자연질서와 그것의 한계 위에 있는 실체를 암시한다.
세모나(שְׁמֹנֶה) 는 슈문 또는 기름진(שׁוּמָן) or fat 것과 연관되어 있으며, 충분한 것 이상의 생각을 전달한다. 관련된 단어는 기름 שֶׁמֶן (shemen),의 성서적인 단어이다. 그리고 하누카 기간 동안 단 하루의 기름 공급은 자연의 법칙들을 무시하고 그리고 보다 많은 거룩한 기름이 성전 메노라를 위하여 창조될 수 있을 때까지 8일간 지속되었다는 보게 된다.
A Jewish child watches as his father kindles the eight lights on the Chanukah menorah, also called the Chanukiah.
유다이즘에서, 8은 초월의 숫자이다.
그것은 물리적인 영역의 한계를 초월하는 것을 상징한다, 자연적인 질서에 순응하지 않는 초과의 삶을 사는 것이다. 우리는 그것을 이 땅에 사는 동안 하늘에서의 우리의 시민권을 상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세상에서의 삶에 속하지 않는다.
하나님의 언약에 있는 사람들은 자연의 법칙들을 초월 할 수 있다. 이러한 실체가 우리를 자연적인 환경으로 분리가 아니라, 우리의 자연적인 환경에 주입되어 충만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8일만의 할례는 유대인을 하나님과 묶는 것이다. 이 언약이 보여주는 것은 유대인은 하나님의 종이지, 자연의 종이 아니며, 초월의 이러한 생각을 확인하는 것이다.
히브리어로, 이것은 브리트 밀하(할레의 언약)로 부르고 있다.
God
Renews His Promises to Abraham,
by James Tissot
브리트 밀하는 유대인들은 하나님의 백성들이며 우리는 하나님과 특별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육신에서 육신적인 표적으로써 섬긴다. 우리는 영적인 그리고 육신적인 영역에서 그를 섬긴다.
하나님은 아브라함을 통하여 유대인들과 함께 할례의 언약을 세웠다. “너의 가족에게서 태어났던 외국인으로부터 돈을 주고 샀던” 모든 남자 아이는 팔일 째 에 할례를 받아야 한다.
남자 후손들에게 할례를 하라는 명령은 창세기에서 기원되었다. 하나님은 아브라함에게 나타나 스스로 할례를 하고, 13세살의 이스마엘과 그의 집안의 모든 남자들을 할례를 할 것을 언급했을 때 아브라함은 99세였다.
“너희의 대대로 모든 남자는 집에서 난 자나 또는 너희 자손이 아니라 이방 사람에게서 돈으로 산 자를 막론하고 난 지 팔 일 만에 할례를 받을 것이라 너희 집에서 난 자든지 너희 돈으로 산 자든지 할례를 받아야 하리니 이에 내 언약이 너희 살에 있어 영원한 언약이 되려니와 할례를 받지 아니한 남자 곧 그 포피를 베지 아니한 자는 백성 중에서 끊어지리니 그가 내 언약을 배반하였음이니라”(창 17:12-14)
8일째의 할례의 규정은 너무나 중요해서 비록 안식일이나 욤키푸르의 날이라도 수행된다.
A grandfather holds his grandson on his eighth day during
the brit milah.
숫자 8은 미쉬칸(성막)과 코데쉬 하코다쉼(거룩한 것들 중 거룩함)과도 여러 연관성을 가진다. 물론 하나님이 자연의 영역의 법칙들이 초월 될 수 있는 곳을 이땅 위에 제도화 했던 장소가 있다면, 그것은 그가 머무는 장소 안이다.
파라샤 쉐미니, 토라 읽기인 레위기 9:1-11:47절에서, 우리는 애굽으로 부터 나온지 1년, 준비의 7일에 이어 성막의 취임은 8일째 일어났다. 8일째, 쉬키나가 내려왔고, 성막 위에 임했고 하나님의 존재는 유대인 백성들 가운데 거주했다.
여덟 번째 날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영성의 새로운 고조와 하나님과의 관계성에 달했다는 것을 아마 말하는 것이다. 하나님 안에서 그들은 인생이란 필요와 결핍 이상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였다. 그것은 우리가 준비하고 그리고 초월하여 자연의 영역 이상에 도달해야 하며, 우리가 창조된 운명을 성취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했다.
쉐모나(8)는 또한 대 제사장이 지성소(코데쉬 하코데쉼)에 들어가는 것이 허용되었을 때인 용 키푸르(속죄의 날)에 성전 봉사와 연관된 중요성을 가진다.
봉사의 일에는 피를 뿌리는 것을 포함했다: 속죄의 자리(언약궤 덮게)에 한번, 그 앞에서 일 곱 번. 이것은 일반적인 일 곱 번 대신에 총 여덟 번 행해졌다. 만약 그것이 정확하게 수행되지 않았다면, 대 제사장은 죽음의 위험에 취해졌다.
A church window in Ballymote, Ireland
depicts the Kohen Gadol in his sacred
vestments.
이 숫자는 또한 성전에서 섬기는 동안 제사장들과 대 제사장이 입는 특별한 의상과 연관된다. 이들 중 네 개는 모든 제사장들에게 공통적이며, 반면에 네 개는 대 제사장들에게 특별한 것으로 모든 여덟 개로 만들어졌다.
‘네 형 아론을 위하여 거룩한 옷을 지어 영화롭고 아름답게 할지니”(출 28:2)
다음 의상들은 모든 제사장들에게 공통적인 것이다:
1 미흐나싸임(모시 바지)은 허리부터 무릎까지 내려온다.
2 케토넽(제사장 겉옷)은 모든 몸을 덮었다.
3 아브넽(제사장 허리띠)은 공통적으로 제사장들은 흰색으로, 대 제사장은 청색, 자주, 진홍색실로 수놓은 것이다.
4 미쯔네펱(제사장 터번)은 “여호와께 거룩”이라는 단어들을 가진 황금패를 썼고, 대 제사장의 것은 큰 사이즈로 되어 있다.
대 제사장들에게 독특한 의상들은 다음과 같다:
5 메일(제사장 겉옷)은 소매가 없는 청색으로 아래쪽에는 석류 모양의 장식술과 금방울을 번갈아 가며 가장자리에 달았다.
6 에폳(수를 놓은 조끼)은 어깨 위에 두 개의 새겨진 보석들, 그 위에는 이스라엘의 부족들의 이름이 새겨졌다.
7 호쉔(제사장 가슴받이)은 부족의 이름을 가진 12 보석을 각각 가지고 있다.
8 우림과 툼밈을 포함한 작은 주머니를 에폳에 단단히 고정시켰다.
A model of the Second Temple
8과 연관된 다른 성전의 항목들 가운데에는 희생 제물들이다. 동물은 여덟 번째 날로부터 제물로써 단지 받아들여질 수 있다.
“수소나 양이나 염소가 나거든 이레 동안 그것의 어미와 같이 있게 하라 여덟째 날 이후로는 여호와께 화제로 예물을 드리면 기쁘게 받으심이 되리라”(레 22:27)
또한, 에스겔은 속죄가 7일동안 제단을 위하여 이루어져야 하며, 그 다음 8일째부터, 제사장은 번제를 드릴 수 있다.
“이같이 칠 일 동안 제단을 위하여 속죄제를 드려 정결하게 하며 드릴 것이요 이 모든 날이 찬 후 제팔일과 그 다음에는 제사장이 제단 위에서 너희 번제와 감사제를 드릴 것이라 그리하면 내가 너희를 즐겁게 받으리라 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겔 43:26-27)
A white lamb amid the sheep in Israel.
한 주가 7일간의 기간이고, 여덟 번째 날은 새로운 주의 시작인 것처럼, 숫자 8은 또한 새로운 시작, 회복, 그리고 구원의 숫자로써 보여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주에 있던 8명의 사람(남자 4 여자 4)은 살아 남아 땅을 번성케 했다(창 7:13, 23)
또한 이새의 여덟 번째 아들, 다윗은 이스라엘을 위한 왕권의 새로운 시작을 했다. 그러나 다윗은 왕들 중의 왕에게 그의 후손들을 통하여 오는 훨씬 큰 새로운 시작을 말한다: 메시아 예수
유대인 전승에서, 메시아의 시대는 우주의 쉼의 시대, 일곱 번째 밀레니엄에 일어날 것이다. 이것은 여덟 번째 밀레니엄으로 이어질 것이다: 이 세상의 물리적은 실제가 하나님의 실제로 변화될 때. 올람 하바(다가올 세상),
Because there are nine months of gestation, the number nine is
associated with development and hidden goodness.
티샤 아홉, 9: Tisha (תֵּשַׁע or ט / Nine)
성서에서 9, תשע, tisha 의 사용은 아주 드물다. 9의 히브리 단어의 첫 번째 사용은 파라샤 베레쉬트에서 발견된다: “그는 구백삼십 세를 살고 죽었더라”(창 5:5)
갈라디아서 5:22-23에서 바울은 성령의 아홉 가지 열매들을 언급한다: 사랑과 희락과 화평과 오래 참음과 자비와 양선과 충성과 온유와 절제(love, joy, peace, patience, kindness, goodness, faithfulness, gentleness, self-control)
고리도 전서 12:7-10에서, 성령의 아홉 가지 은사들을 언급한다: 지혜의 말씀, 지식의 말씀, 믿음, 병 고치는 은사, 능력 행함, 예언함, 영들 분별함, 방언, 방언들 통역함 ( word of wisdom, word of knowledge, faith, healing, miracles, prophecy, discerning of spirits, tongues, and interpretation of tongues)
티샤는 회전하다, 직면하다를 의미하는 샤흐에서 왔다. 그래서 9는 마지막 목적지로써 특징지어지는 것 보다, 발전(인간 임신의 9 개월 안에서처럼) 또는 무엇인가 더 큰 것을 향하여 회전하는 것을 상징화 할 수 있다.
그것은 히브리 알파벳의 9번째 글자, 테트 ט (tet)이며, 예수아를 믿는 사람들은 성령의 충전을 통하여 그들 내부에 하나님의 선을 전하는 것처럼, 감추어진 선을 말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반전된 모습을 가지고 있다.
글자, 테트는 창조와 연관성을 가진다. 그것은 창세기 1:4 토브, tov 로 처음 등장한다. 토브는 선한 것으로 번역 되지만, 유익한 것으로 번역되는 것이 낫다.
“God saw that the light was good [tov], and He separated the light from the에 darkness.” (Genesis 1:4)
“빛이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토브) 하나님이 빛과 어둠을 나누사”(창 1:4)
Yeshua Foretells the Destruction of the Temple, by James Tissot
탈무드(토라를 공부하고 토론하는 랍비의 서적)에서, 랍비 요수아는 꿈에서 글자 테트를 보는 사람은 그것을 유익함의 싸인으로 여긴다고 한다, 왜냐하면 그것은 단어 토브의 첫 번째 철자 이기 때문이다.(Baba Kama 55a)
그러나 9는 또한 손상된 관계성, 서로에게 등을 돌리고, 하나님으로부터 등을 돌려서 야기된 심판을 상징한다.
.
아마 유다이즘 어느 곳에서도 하나님으로부터 등을 돌려, 그 결과로 유다이즘의 달력에서 가장 비극적인 날짜인 티샤브 아브(아브달 9일)에서 보다 다 강한 심판의 증거는 없다.
바로 이 날에 제 1성전 시기에 바벨론 그리고 제 2성전 시기에 로마에 의하여 포로민이 되었던 유대 백성들을 포함하여 많은 재앙들이 이스라엘에 임했다.
비록 유대 백성들은 금식을 통하여 파멸의 이 날을 기억하지만, 그들은 또한 이날은, 스가랴의 예언처럼, 평화가 땅 전체를 통치 할 때 욤 토브(좋은 날)이 될 것을 기도한다.
“ 만군의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노라 넷째 달의 금식과 다섯째 달의 금식과 일곱째 달의 금식과 열째 달의 금식이 변하여 유다 족속에게 기쁨과 즐거움과 희락의 절기들이 되리니 오직 너희는 진리와 화평을 사랑할지니라”(슥 8:19)
It is common for Orthodox Jews today to practice ma'aser kesafim,
tithing 10% of their income to charity.
에쉐르 열, 10: Eser (עֶשֶׂר or י / Ten)
숫자 10은 성경에서 매우 중요한 숫자이다. 단어 에쉬르는, eser עֶשֶׂר 부를 의미하는 오쉐르 osher עֹ֫שֶׁר 와 동일한 히브리 철자로, 이 단어는 하나님께 헌신적인 10/1, 십일조와 강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단어의 원래의 의미가 어떤 이들에게는 모이는, 모금, 또는 연합으로 생각된다.
랍비들의 생각에, 10은 통합된 시스템과 관련된다: 공동체 전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결합된 개별적인 부분들의 완전한 한 세트, 거룩함을 상징하고, 하나님의 임재, 쉐키나의 쉼의 장소를 상징한다. 그것은 하나님의 완벽한 숫자이다.
성경과 유대인 전승에서, 에쉐르를 의미하는 것은 완전, 완벽, 질서, 법, 책임성이다.
예를 들면, 다음들과 같다:
10개가 창조의 첫날에 첫날에 창조되었고, 그리고 10가지가 6번째와 마지막 날에 창조되었다.
10세대가 아담에서 노아까지, 10 세대가 노아에서 아브라함까지 이어진다.
10가지 재앙이 하나님이 히브리인들을 노예의 상태에서 자유케하기 전에 애굽에 임했다.
10가지 계명이 시내산에서 하나님에 의해 주어졌다(출 20:1-17)
Moses
and the Ten Commandments,
by James Tissot
첫 달의 10일에 유월절 양이 선별되었다(출 12:3)
은 열개의 10배의 구멍들이 성막의 기초를 만들었다(출 38:27)
10번째 (실입조)는 하나님께 거룩한 것이다.
경외의 10일 또는 회개가 로쉬 하쉰나(티쉬리 1일 의 트럼팻의 축제) 와 그 해의 가장 거룩한 날 욤 키푸르 사이에 온다. 이 기간 동안 우리는 하나님과 인간으로부터 우리의 죄의 용서를 구하고, 어떻게 우리가 보다 나은 인생을 이끌어 갈 것인가 로서 지혜를 구한다.
다니엘 2장에서 10개의 발가락과 계시록 13과 17장에서 10개의 뿔은 마지막 인간의 통치왕국을 상징한다.
다니엘과 그의 세 친구들은 마술사나 점성술사 보다 10배나 좋았다.
“ 왕이 그들에게 모든 일을 묻는 중에 그 지혜와 총명이 온 나라 박수와 술객보다 십 배나 나은 줄을 아니라” (단 1:20)
A spontaneous minyan forms for Maariv (evening prayer) at a shop in Jaffa, Israel.
유대인의 그룹 기도와 예배를 위해서는 공동체 전체를 나타내는 10명의 남자들의 정족수가 요구된다. 히브리어에서 이것은 민얀으로 불러진다. 그것은 히브리 뿌리 마네에서 왔으며, 계수하다, 수를 세다를 의미한다.
10명이 모인 유대인들은 크나셑 이스라엘(이스라엘의 회중) 로 불러지는 하나의 단위를 창조하는 것이다, 그리고 10은 무엇인가 공식적으로 증거 될 때 있어야 만 한다. 10의 모임은 찝부르로 불러진다. 아마 그것은 하나님의 능력과 섭리를 보는 데 실패한 10명의 악한 보고가 여호수아와 갈렙의 보고 보다 더 무개를 두었던 이유의 부분이다:
“이스라엘 자손 앞에서 그 정탐한 땅을 악평하여 이르되 우리가 두루 다니며 정탐한 땅은 그 거주민을 삼키는 땅이요 거기서 본 모든 백성은 신장이 장대한 자들이며”(민 13:32)
10명의 문둥병자들이 예수아에게 치료를 요구했고, 그는 그들이 깨끗해졌다는 것을 확인 받도록 제사장들에게 보냈다.
“ 한 마을에 들어가시니 나병환자 열 명이 예수를 만나 멀리 서서 소리를 높여 이르되 예수 선생님이여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 하거늘 보시고 이르시되 가서 제사장들에게 너희 몸을 보이라 하셨더니 그들이 가다가 깨끗함을 받은지라”(눅 17:12-14)
요한복음에서, 예수아는 점진적으로 10번의 “ 나는… 나다”를 선언 함으로 성서에서 발견된 10개의 패턴을 강조했다:
I am the Bread of Life (6:35); 나는 생명의 빵이다.
I am the Bread that came down from heaven (6:41); 나는 하늘로부터 내려온 빵이다.
I am the Living Bread (6:51); 나는 살아 있는 빵이다.
I am the Light of the world (8:12); 나는 세상의 빛이다.
I am One that bears witness of Myself (8:18); 나는 스스로 증거하는 이시다.
Before Abraham was, I am (8:58); 아브라함 이전에, 나다.
I am the Door of the sheep (10:7, 9); 나는 양의 문이다.
I am the Good Shepherd (10:14); 나는 선한 목자이다.
I am the Way, the Truth, and the Life (14:6); and 나는 길이요, 진리이요 생명이다.
I am the True Vine (15:1, 5). 나는 참 포도나무이다.
The Healing of Ten Lepers, by James Tissot
에하드 에쉬르 열 하나, 11: Echad Eser (אחד עשר or יא / Eleven)
“제비 뽑아 맛디아를 얻으니 그가 열한 사도의 수에 들어가니라”(행 1:26)
숫자 11은 성서와 유다이즘 에서 몇 번 등장하지 않으며, 무질서, 불완전, 미완성, 초과의 숫자이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완전의 숫자 10보다 1이 많으며, 통치의 완벽함의 숫자 12보다 1이 적다.
예를 들면, 유다는 예수아를 배신하고, 스스로 자살을 함으로 예수아의 제자들의 그룹으로부터 스스로를 빼어버렸다. 12명이 제자들은 이스라엘의 12부족을 대표하기 때문에 그를 대신할 필요가 있다. 그 없이는 단지 11명에 불과했다.
단지 11명만 남는 것은 불완전의 상태이다. 이러한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하여 두 사람이 유다의 사도적 임무를 취하기 위하여 지명되었고: 바사바(유스도)라 불리는 요셉과 맛디아. 기도 후에 그들은 제비뽑기를 했고, 맛디아가 11 사도에 추가 되었다(행 1:26)
또한 신명기 1:2에서, 이스라엘의 자녀들은 요르단 동쪽에 있었고, 시내 산에서부터 11일간 걸었다. 혼란 때문에, 약속의 땅 까지 12일간의 여정이 될 수 있던 것이 40년의 트랙으로 변경되었다.
숫자 11은 야곱의 인생에서 혼란을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창세기 32:22에서, 그는 에서를 만나기 위하여 그의 11명의 아들들과 가나안으로 돌아왔다. 베냐민의 출생과 함께, 12명의 아들이 되었지만, 요셉의 형들이 그를 노예상인들에게 팔았을 때, 숫자는 다시 11명이 되었다.
acob Mourns His Son Joseph, by James Tissot
쉬나임 에쉐르 열둘, 12: Shnayim-Eser (שְׁנֵים-עָשָׂר or יב / Twelve)
“크고 높은 성곽이 있고 열두 문이 있는데 문에 열두 천사가 있고 그 문들 위에 이름을 썼으니 이스라엘 자손 열두 지파의 이름들이라”(계 21:12)
완벽함을 상징하는 숫자들 중의 하나인 숫자 12는 성서에서 중요하다. 그것은 구약과 신약 전체에 걸쳐서 나타난다.
. 유다이즘에서, 이 숫자는 전체, 온전, 하나님의 목적의 완성을 상징한다. 그것은 통치의 완벽함의 숫자로 여겨지고 있듯이, 그것은 하나님의 권위와 능력을 상징한다.
여기에 이 숫자가 보여지는 몇몇 장소들이 있다:
야곱은 12아들을 가졌고(창 35:22-27), 그들 각자는 이스라엘의 12부족의 기초가 되었다( 창 49:28, 민 35:54; 36:3-9)
민수기 1:2-16에서, 하나님은 부족의 인구조사를 위해 12사람을 선발했다.
민수기 7:10-83에서, 이스라엘의 12 지도자들은 제단의 봉헌을 위해 성소에서 12일 동안 선물을 드렸다.
“번제물로 바친 짐승은, 수송아지가 열두 마리, 숫양이 열두 마리, 일 년 된 숫양이 열두 마리이다. 이 밖에도 곡식제물이 있다. 숫염소 열두 마리는 속죄제물로 바친 것이다”(민 7:87)
A depiction of offerings made at the Jewish Temple.
성막 안쪽에 있는 진설병상 위에는 12덩어리가 있었다. 또한 대 제사자의 가슴받이 에는 이스라엘의 부족을 대표하는 12돌이 있다.
12의 두 배인 제사장들과 레위인들의 24개층들이 있었다(역대상 24:4), 그리고 12의 두배인 48개의 레위인들의 도시들이 있었다(민 35:7)
이스라엘 땅은 12부분으로 나누어졌다.
엘리야는 갈멜산에 제단을 짓기 위하여 12 돌을 사용했다.
누가복음 2: 42는 예수의 첫 번째 말을 기록한다. 그는 12살이었다.
예수아는 그를 증거하기 위하여 12 사도를 선별한다(마 10:2-4). 그들은 초기 신자들의 회중의 초석들이 되었다,
숫자 12는 또한 시간의 개념과 연경되었다; 예를 들면, 고대 이스라엘 백성들은 한해의 12음력 달을 나타내는 12 음력 주기를 표시했다. 그들은 낮과 밤을 12 시간으로 나누었다.
계시록에서 숫자 12는 하나님의 백성의 구원과 연결되었다. 하나님의 보좌 주변에 12 장로들이 있고 그리고 144,000명의 예수아를 믿는 유대인 신자들이 있다. 12부족으로부터 12000씩(계 4:4; 7:4)
이 숫자는 또한 경계의 사고와 연결되었다. 완벽함, 새 예루살렘의 대칭과 경계들이 12 문안에서 보여 지고, 각각 하나의 진주의 형태로, 그것의 12 기초, 각각 보석들로 연결, 그것의 원주는 12000 퍼롱 12,000 furlongs, 벽의 높이는 144 큐빝, 144 cubits, 다시12의 배수이다.(계 21:10-21; 겔 48:30-35)
성서에서 많은 숫자들은 유다이즘에서 메시아 시대와 다가올 시대를 가리키고 있다.
“나에게로 돌아오너라. 내가 너를 구원하였다”(사 44:22)
“그 날이 오면, 사람들은 이런 말을 할 것이다. 바로 이분이 우리의 하나님이시다. 우리가 하나님을 의지하였으니, 하나님께서 우리를 구원하신다. 바로 이분이 주님이시다. 우리가 주님을 의지한다. 우리를 구원하여 주셨으니 기뻐하며 즐거워하자”(사 25: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