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수영 구라중화(九羅重花)
― 어느 소녀에게 물어보니
너의 이름은 글라디올러스라고
저것이야말로 꽃이 아닐 것이다
저것이야말로 물도 아닐 것이다
눈에 걸리는 마지막 물건이 무엇이냐고 물어보듯
영롱한 꽃송이는 나의 마지막 인내를 부숴버리려고 한다
나의 마음을 딛고 가는 거룩한 발자국소리를 들으면서
지금 나는 마지막 붓을 든다
누가 무엇이라 하든 나의 붓은 이 시대를 진지하게 걸어가는 사람에게는 치욕
물소리 빗소리 바람소리 하나 들리지 않는 곳에
나란히 옆으로 가로 세로 위로 아래로 놓여 있는 무수한 꽃송이와 그 그림자
그것을 그리려고 하는 나의 붓은 말할 수 없이 깊은 치욕
이것은 누구에게도 보이지 않을 글이기에
(아아 그러한 시대가 온다면 얼마나 좋은 일이냐)
나의 동요 없는 마음으로
너를 다시 한번 치어다보고 혹은 내려다보면서 무량의 환희에 젖는다
꽃 꽃 꽃
부끄러움을 모르는 꽃들
누구의 것도 아닌 꽃들
너의 늬가 먹고 사는 물의 것도 아니며
나의 것도 아니고 누구의 것도 아니기에
지금 마음 놓고 고즈넉이 날개를 펴라
마음대로 뛰놀 수 있는 마당은 아닐지나
(그것은 <골고다>의 언덕이 아닌
현대의 가시철망 옆에 피어있는 꽃이기에)
물도 아니며 꽃도 아닌 꽃일지나
너의 숨어 있는 인내와 용기를 다하여 날개를 펴라
물이 아닌 꽃
물같이 엷은 날개를 펴며
너의 무게를 안고 날아가려는 듯
늬가 끊을 수 있는 것은 오직 생사의 선조(線條)뿐
그러나 그 비애에 찬 선조도 하나가 아니기에
너는 다시 부끄러움과 주저(躊躇)를 품고 숨 가빠하는가
결합된 색깔은 모두가 엷은 것이지만
설움이 힘찬 미소와 더불어 관용과 자비로 통하는 곳에서
늬가 사는 엷은 세계는 자유로운 것이기에
생기와 신중을 한 몸에 지니고
사실은 벌써 멸(滅)하였을 너의 꽃잎 위에
이중의 봉오리를 맺고 날개를 펴고
죽음 위에 죽음 위에 죽음을 거듭하리
구라중화(九羅重花)
<1954>
이 시는 방안 물병에 꽃혀 있는 글라디올러스를 통하여 죽음을 바탕으로 꽃을 피우는 시대를 진지하게 살아가는 사람의 모습을 말하고 있다.
제목 ‘구라중화(九羅重花)’는 글라디올러스의 모습을 보고 그 형상이 아홉 개의 나삼(꽃잎)이 중첩된 꽃처럼 보인다 해서 화자가 붙인 이름으로 보인다. ‘구(九)’는 많다라는 뜻으로도 쓰이므로 나삼같이 얇은 꽃잎으로 많은 겹쳐 있는 꽃으로도 볼 수 있다. 글라디올러스는 꽃잎은 여섯 장이라는 점도 이를 뒷받침한다.
― 어느 소녀에게 물어보니
너의 이름은 글라디올러스라고
화자가 자신이 모르는 꽃의 이름이 글라디올러스임을 알고도 ‘구라중화’라 명명을 한 것은 이 꽃을 다르게 보겠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소녀’는 김수영의 시에 자주 나오는 대상으로 순수하게 사물의 본질을 볼 수 있는 존재로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 시에서는 이렇게 볼 단서는 보이지 않는다.
저것이야말로 꽃이 아닐 것이다
저것이야말로 물도 아닐 것이다
화자는 자신의 앞에 보이는 꽃인 구라중화가 꽃이 아닐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꽃이 아니라고 단정적으로 말하지 않고 ‘아닐 것이다’라는 추측의 말을 하고 있다. 화자가 구라중화를 다르게 보고 있다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물도 아닐 것이다’는 뜬금없는 말처럼 보이나 구라중화가 물이 담긴 물병(화병)에 꽂혀 방안에 있다(5연 1행 : 물소리 빗소리 바람소리 하나 들리지 않는 곳을 외부와 구분이 되는 방안으로 본다면)고 상정한다면 이 표현은 이해할 수 있다. 물만 먹고 생명을 유지하고 있기(7연 4행)에 그렇게 말한 것이다.
눈에 걸리는 마지막 물건이 무엇이냐고 물어보듯
영롱한 꽃송이는 나의 마지막 인내를 부숴버리려고 한다
이 연을 문장에 맞게 배열하면 ‘영롱한 꽃송이는 눈에 걸리는 마지막 물건이 무엇이냐고 물어보듯 나의 마지막 인내를 부숴버리려고 한다’이다. ‘눈에 걸리는 마지막 물건’과 ‘나의 마지막 인내’가 무엇을 말하는지 알기가 어렵다. 화자의 눈에 보이는 것은 ‘영롱한 꽃송이’이다. 그 꽃송이가 ‘눈에 걸리는 마지막 물건이 무엇이냐고 물어’본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걸리다’는 ‘(일이 마음에) 남아 걱정되거나 신경이 쓰이다’로 ‘눈’으로 볼 때에 신경이 쓰이는 ‘마지막 물건이 무엇이냐’고 묻는다고 생각한다. 화자는 ‘영롱한 꽃송이’가 화자에게 온전하게 집중을 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가 무엇이냐고 묻는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런 질문이 화자의 ‘마지막 인내를 부숴버리려고 한다’고 느낀다. ‘영롱한 꽃송이는’ 화자를 변화시키려 하는 것이다. ‘부숴버리려고 한다’는 화자가 지니고 있는 부정적인 면을 긍정적인 것으로 바꾸려고 하는 것이다. 화자의 ‘눈에 걸리는 마지막 물건’을 ‘부숴버리려고’ 하는 것이다. 화자의 ‘마지막 인내’는 무엇을 말하는가? ‘마지막 물건’을 계속해서 신경을 쓰는 것이다. ‘물건’은 물질적인 것이다. ‘영롱한 꽃송이’는 아직 ‘부숴버’린 것은 아니지만 화자가 물질적인 것에 신경을 쓰는 것을 ‘부숴버리려고’ 하는 것이다. 그 결과 아래 구절이 나오는 것이다.
나의 마음을 딛고 가는 거룩한 발자국소리를 들으면서
지금 나는 마지막 붓을 든다
화자는 시선을 밖에서 안으로 돌린다. 그래서 ‘나의 마음을 딛고 가는 거룩한 발자국소리를’ 듣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 ‘거룩한 발자국소리를’ 내는 본체인 ‘구라중화’를 그리려(쓰려고) 하는 것이다. 그런데 화자는 ‘마지막 붓을 든다’고 말한다. 왜 ‘마지막 붓’일까? 화자가 죽음을 앞두고 있는 걸까? ‘죽음’이란 단어는 11연에서 강조되어 나온다. 화자가 육체적으로 죽는 것이 아니라 ‘구라중화’처럼 자신을 둘러싼 제약을 정신적인 죽음으로 극복하기 전에 쓰는 ‘마지막’ 글이 아닐까? 화자는 ‘거룩한 발자국소리’의 주인을 ‘마음’에서 온전하게 보지 못하고 있다. 존재한다는 것만 ‘발자국소리’로 아는 것이다. 화자는 아직 완전하게 ‘눈에 걸리는 마지막 물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벗어나기 전에 쓰는 글이라고 생각하기에 화자는 ‘마지막 붓’이라고 하는 것은 아닐까 한다.
누가 무엇이라 하든 나의 붓은 이 시대를 진지하게 걸어가는 사람에게는 치욕
본질은 글로 온전히 표현할 수가 없다. 그리고 화자는 온전하게 ‘눈에 걸리는 마지막 물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에 ‘거룩한 존재’인 ‘이 시대를 진지하게 걸어가는 사람’을 완벽하게 그릴(쓸) 수 없다. 불완전함 또는 왜곡이 일어나는 것이다. 그래서 ‘나의 붓’은 그 ‘사람’에게는 ‘치욕’이 되는 것이다. ‘누가’가 화자의 생각을 부정한다 해도 ‘누가 무엇이라 하든’ 화자는 이렇게 생각하는 것이다.
물소리 빗소리 바람소리 하나 들리지 않는 곳에
나란히 옆으로 가로 세로 위로 아래로 놓여 있는 무수한 꽃송이와 그 그림자
그것을 그리려고 하는 나의 붓은 말할 수 없이 깊은 치욕
‘물소리 빗소리 바람소리 하나 들리지 않는 곳’은 소리가 없는 공간이다. 실제는 바깥의 소리가 차단된 방안으로 보이지만 이 시에서는 ‘나의 마음을 딛고 가는 거룩한 발자국소리를 들’을 수 있는 공간적 배경을 의미한다. 이 곳에서는 구라중화와 화자만이 있는 곳이다. 화자는 이 곳에서 구라중화의 ‘나란히 옆으로 가로 세로 위로 아래로 놓여 있는 무수한 꽃송이와 그 그림자’를 보고 있는 것이다. 구라중화의 원명인 ‘글라디올러스’의 모습을 보면 화자의 묘사 그대로이다. 구라중화는 하나의 꽃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고 1m가량의 줄기에 차례로 꽃이 피어 올라간다. 많은 꽃송이가 꽃대에 피는 식물이다. 그 모습을 이렇게 말한 것이다. 구라중화가 하나였는지 여러 개가 모여 있는지는 이 시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방안에 있는 꽃병에 꽂혀 있는 것으로 보면 화자의 묘사가 더 적합하게 보인다. ‘그것을 그리려고 하는 나의 붓은 말할 수 없이 깊은 치욕’은 ‘이 시대를 진지하게 걸어가는 사람에게는’이 생략된 말로 볼 수 있다. 본래의 문장은 ‘그것을 그리려고 하는 나의 붓은 이 시대를 진지하게 걸어가는 사람에게는 말할 수 없이 깊은 치욕’이라 할 수 있다. 또 한편으로는 아직 ‘이 시대를 진지하게 걸어가는 사람’이 되지 못한 ‘눈에 걸리는 마지막 물건’이 있는 화자는 자신이 구라중화를 적확하게 그리지 못할 것이므로 그러한 자신을 치욕으로 여긴다는 의미도 담겨 있는 중의적 의미로 쓰였다고 해도 무리는 아닐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누구에게도 보이지 않을 글이기에
(아아 그러한 시대가 온다면 얼마나 좋은 일이냐)
나의 동요 없는 마음으로
너를 다시 한번 치어다보고 혹은 내려다보면서 무량의 환희에 젖는다
화자는 자신이 구라중화를 쓴 글은 ‘누구에게도 보이지 않을’ 생각으로 쓴 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의도가 지켜지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보일 수밖에 없는 시대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구라중화에 대해 쓴 글이 누구에게도 보이지 않을 수 있는 시대가 화자가 원하는 시대이다. 화자는 자신의 글을 남에게 보일 수밖에 없는 시대라 할지라도 누구에게도 보이지 않을 마음을 흔들리지 않고 구라중화를 보는 것이다. 외부 상황을 인식하지 않고 온전하게 그리고 자세하게 그 모습을 바라보면서 양을 잴 수 없는 환희에 빠진다.
꽃 꽃 꽃
부끄러움을 모르는 꽃들
누구의 것도 아닌 꽃들
너의 늬가 먹고 사는 물의 것도 아니며
나의 것도 아니고 누구의 것도 아니기에
지금 마음 놓고 고즈넉이 날개를 펴라
마음대로 뛰놀 수 있는 마당은 아닐지나
(그것은 <골고다>의 언덕이 아닌
현대의 가시철망 옆에 피어있는 꽃이기에)
물도 아니며 꽃도 아닌 꽃일지나
너의 숨어 있는 인내와 용기를 다하여 날개를 펴라
‘꽃 꽃 꽃’은 화자가 바라보는 구라중화의 꽃송이들을 말하면서 하나하나를 자세하게 보며 감탄하고 있다. 화자가 ‘부끄러움을 모르는 꽃들’은 ‘영롱한 꽃송이’를 말한 것으로 그냥 꽃이 아니라 ‘이 시대를 진지하게 걸어가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거룩한 발자국 소리’를 남기는 존재이다. 그러므로 부끄러울 것이 없는 꽃이다. ‘누구의 것도 아닌 꽃들’인 것이다. ‘늬가 먹고 사는 물의 것도 아니’다(이 부분이 구라중화가 방안 화병에 꽂혀 있는 상태라고 보는 것이다. 화병은 물 이외는 아무 것도 넣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쳐다보는 ‘나의 것도 아니고 누구의 것도 아니’다. ‘이 시대를 진지하게 걸어가는 사람’은 온전한 자기 자신이다. 그런데 이미 핀 구라중화의 ‘영롱한 꽃송이’ 위에 아직 피지 않은 꽃봉오리가 있는 것이다. 이들을 보고 ‘지금 마음 놓고 고즈넉이 날개를 펴라’고 명령형의 요청을 하는 것이다. ‘너의 숨어 있는 인내와 용기를 다하여 날개를 펴라’고 요청하는 것이다. ‘날개’는 꽃잎을 말하는 것이다.
‘마음대로 뛰놀 수 있는 마당은 아닐지나’도 구라중화가 방안 화병에 있는 것으로 보는 근거이다. 화자가 보는 ‘<골고다>의 언덕이 아닌 / 현대의 가시철망 옆에 피어있’다고 ( ) 안에 말하고 있다. ‘<골고다>의 언덕’은 사형을 집행하는 이스라엘의 지명으로 예수가 처형당한 곳이다. 이를 언급한 것은 여러 가지 의미를 담고 있을 것이나 구라중화가 과거의 존재가 아니라는 것을 말하는 것을 말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구라중화의 위치를 ‘예수’와 같은 존재라고 생각하는 것은 아닐까 한다. 여기서 ‘예수’를 종교적인 인물이 아니라 약 2000년 전에 ‘시대를 진지하게 걸어가는 사람’으로 보는 화자의 시각이 반영된 것으로 본다. ‘현대의 가시철망’은 ‘마음대로 뛰놀 수 있는 마당’과 반대인 것이다. ‘마음대로 뛰놀 수’ 없게 만드는 물건이다. 이를 분단의 상황으로 볼 수도 있지만 이보다는 더 넓은 뜻으로 사용한 것으로 본다. ‘현대’에서 ‘자유’를 억압하는 모든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확장해서 볼 수 있는 것이다. 이 억압을 벗어나는 길은 ‘죽음’(12연 3행)이다.
물이 아닌 꽃
물같이 엷은 날개를 펴며
너의 무게를 안고 날아가려는 듯
‘물같이 엷은 날개’는 엷은 구라중화의 꽃잎을 말하는 것이다. ‘펴며’는 꽃이 활짝 피는 것을 말한다. ‘너의 무게를 안고 날아가려는 듯’에서 알 수 있듯이 누구의 것도 아닌 구라중화는 지상에서 벗어날 수 비상할 수 있는 존재로 보이는 것이다.
늬가 끊을 수 있는 것은 오직 생사의 선조(線條)뿐
그러나 그 비애에 찬 선조도 하나가 아니기에
너는 다시 부끄러움과 주저(躊躇)를 품고 숨 가빠하는가
‘선조(線條)’는 사전적 의미로 ‘요소들이 연결되어 이루는 줄’이다. ‘생사의 선조(線條)’는 생과 사(死)를 연결하는 줄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그냥 ‘선조’가 아니라 ‘비애에 찬 선조’이다. 이는 ‘비애’를 끊어내는 것이고 ‘생사’에 얽매임을 없애고 벗어나는 것이다. 일종의 해탈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런데 ‘생사의 선조’가 ‘하나가 아니’다. 그러므로 여러 번 ‘생사의 선조’를 끊어야한다. 다음 번 ‘생사의 선조’를 끊은 다음에 구라중화는 ‘숨 가빠’한다. ‘다시 부끄러움과 주저(躊躇)를 품고’ 있다고 화자는 생각한다. ‘다시’는 이러한 과정이 예전에도 있었다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구라중화가 ‘주저’를 품고 있다는 것은 주저하고 있다는 말이므로 또 다른 ‘생사의 선조’를 끊기까지 시간의 간격이 있음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부끄러움’도 품고 있다고 말하는 것은 앞에서 ‘부끄러움을 모르는 꽃들’이라고 한 것 충돌이 된다, 그러나 이 부분은 구라중화의 꽃을 보면 알 수 있다. 구라중화는 꽃대 위로 피면서 아래에 있는 꽃이 시들어 지고 그 위의 꽃은 ‘영롱’하게 피여 있고 그 위의 꽃은 아직 피지 않은 꽃봉오리 상태인 것이다. ‘영롱’하게 피여 있는 꽃은 ‘생사의 선조’를 끊은 꽃이고 꽃봉오리는 ‘생사의 원조’를 끊지 못한 꽃으로 ‘부끄러움’을 품고 있다고 말하는 것이 아닌가 한다. 그래서 ‘숨 가빠하는가’를 부정적으로 보기는 어려운 것이다. 다른 ‘생사의 선조’를 끊기 위한 숨고르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결합된 색깔은 모두가 엷은 것이지만
설움이 힘찬 미소와 더불어 관용과 자비로 통하는 곳에서
늬가 사는 엷은 세계는 자유로운 것이기에
생기와 신중을 한 몸에 지니고
‘결합된 색깔은’ 구라중화의 꽃잎의 색깔이 여러 가지일 수도 있지만 ‘결합된’으로 보았을 때 한 꽃대에 여러 가지 색의 꽃이 피지는 않는다. 그렇다면 이는 꽃병에 여러 색깔의 구라중화꽃송이가 함께 꽂혀 있는 모습을 말하는 것이 아닌가 한다. 꽃의 색깔이 어떠하든 공통적으로 ‘모두’ ‘엷은’ 색의 꽃잎을 가지고 있다. 이 ‘엷은 것’은 ‘늬가 사는 엷은 세계’이다. 이 세계는 ‘설움이 힘찬 미소와 더불어 관용과 자비로 통하는 곳’에서는 ‘자유로운 것이’다. ‘곳’이라 하지 않고 ‘것’이라 한 것은 구라중화가 ‘생사의 선조’를 끊고 자유롭게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지 ‘자유로운’ 세계에 살고 있다는 것은 아니다 구라중화가 살고 있는 곳은 ‘설움이 힘찬 미소와 더불어 관용과 자비로 통하는 곳’인 것이다. 그 곳에서는 ‘설움이’ ‘생기와 신중을 한 몸에 지니고’ 있는 것이다. ‘힘찬 미소와 더불어’ 있는 것이다. ‘관용과 자비’로 ‘설움’을 포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이 ‘설움’은 ‘생사의 선조’를 끊을 수 있는 힘을 축적하여 ‘비애’를 끊어 버릴 수 있는 것이다.
사실은 벌써 멸(滅)하였을 너의 꽃잎 위에
이중의 봉오리를 맺고 날개를 펴고
죽음 위에 죽음 위에 죽음을 거듭하리
구라중화(九羅重花)
‘사실은 벌써 멸(滅)하였을’ 구라중화이지만 구라중화는 ‘물’을 먹고 멸하지 않고 ‘꽃잎 위에
이중의 봉오리를 맺고’ 있다. 앞으로 자신이 멸한 후에 꽃을 피울 봉오리를 이중으로 맺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자신은 ‘날개를 펴고’ ‘생사의 선조’를 끊은 것이다. 이전에 ‘생사의 선조’를 끊고 멸한 구라중화의 ‘죽음 위에 죽음 위에’ ‘날개를 펴고’ 있는 것이다. 지금 ‘날개를 펴고’ 있는 구라중화의 ‘영롱한 꽃’도 멸할 것이고 이를 바탕으로 아직 ‘날개를 펴’지 못한 ‘이중의 봉우리’도 차례로 ‘날개를’ 펼 것이며 ‘죽음을 거듭하리’라 생각하는 것이다. ‘구라중화(九羅重花)’는 먼저 핀 꽃들이 멸하는 죽음을 바탕으로 그 위의 꽃들이 ‘생사의 선조’를 끊고 ‘영롱’하게 핀 뒤에 죽는 과정을 ‘거듭하’며 ‘이 세계를 진지하게 걸어가는‘ 것이다. 이를 화자는 구라중화를 보면서 생각하는 것이다. 자신도 이 세계를 진지하게 걸어가다 ’현대의 가시철망‘을 끊다가 죽으면 다른 사람이 자신의 죽음을 바탕으로 ’현대의 가시철망‘을 끊는 것이 거듭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20200423목전1216전한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