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지역별 제사 & 차례상의 특징

가장 기본이 되는 상차림이랍니다... 지역마다 집안마다 조금씩 다르긴하지만
일반적인 상차림이니 일단 참고가 되실꺼예요.

경기도는 조선시대부터 한양을 포함한 중신지로 통북어를 꼭 올렸다고합니다. 북어는 다산과 집안의 풍요를 상징하죠.

산간 지방이 많은 강원도는 나물과 감자, 고구마를 이용한 음식을 많이 올린답니다. 감자전이나 무나 배추를 이용해 만든 전 , 또는 버섯을 이용해 만든 부침이나 전을 많이 올리죠. 메밀이 유명한 평창에선 메밀전을 올리기도 한답니다.

충청도는 지역적 특색 때문에 다양한 음식을 올리로 유명하죠. 경북과 인접한 지역은 건어물(대구포, 상어포, 마른 오징어 등)을 올리고 전라도와 인접한 곳은 말린 홍어, 병어, 가자미, 낚지 등을... 내륙에 있는 지역은 해산물을 접하기 힘들기 때문에 배추전, 무적과 같은 나물 요리를 올린답니다.

경상도의 가장 큰 특징은 바로 '돔배기' 라는 참상어살을 구워서 올린다는 거죠. 그리고 지역의 특성상 생선이나 조개 등이 어패류가 많이 올라간답니다.

전라도는 바로 ' 홍어'가 상에 올라가는 것이 특징이죠. 음식문화가 발달한 전라도는 다양한 음식들이 올라간답니다.

아마 많은 지역들 중에서 제주도 이상 지방색이 강한 곳은 없겠죠. 다들 아시겠지만 지역적 특색으로 육지와 분리되어 있는데다 생산되는 식재료와 과일들이 다르기 때문이겠죠. 제주도에서 생선은 '옥돔'이 올라가는게 특징이죠. 그리고 지역에서 재배되는 과일을 올리는데 귤은 기본이고 파인애플, 바나나 와 같은 열대과일을 올리는 경우도 있답니다.
이렇게 정리해보니 엄청 길어졌네요.. 한가지 알아 두실껀 커다란 특징은 비슷할지 모르지만 각 지역, 각 집안 마다 방법과 절차가 조금씩 다르답니다.
[출처] 지역별 제사상 & 차례상 차리는 법 과 지내는 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