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100년 정도 된 이론이며, 안전에서는 아직도 교과서 첫 페이지에 당당히 이름을 올리고 있는 이론입니다.
1건의 중대재해 (사망사고)
29건의 일반재해 (인명사고/인적손실)
300건의 아차사고 (물질적 피해/물적손실)
1:29:300, 이것은 '하인리히 법칙'이다. 지난 1931년 허버트 윌리엄 하인리히(Herbert William Heinrich)가 펴낸 「산업재해 예방:과학적 접근」이라는 책에서 소개된 법칙이다.
1은 한 번의 대형 사고를 의미
29는 경미한 사고,
300은 이상 징후가 발생한다는 것.
한 번의 대형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이미 그전에 유사한 29번의 경미한 사고가 있었고,
그 주변에서 또한 300번의 이상 징후가 발생하였다는 의미이다.
특히 300이란 숫자는 우리가 흔히 니어미스(Near Miss)라고 이야기 하는 이상 징후다. 니어미스는 사고로 이어지지 않는 인적 실수를 말한다. 대형 사고나 경미한 사고는 눈에 보이지만 니어미스에 해당하는 300건의 징후는 쉽게 발견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사소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를 면밀히 살펴 그 원인을 파악하고 잘못된 점을 시정하면 대형 사고나 실패를 방지할 수 있지만 징후가 있음에도 이를 무시하고 방치하면 돌이킬 수 없는 대형사고로 번질 수 있다는 것이다.
'하인리히 법칙'외에도 안전과 관련한 재미난 법칙이 있다.
'안전의 법칙': 사고가 발생하지 않을 때까지 안전하다는 법칙
'폭탄 돌리기 법칙': 폭탄이 터지기 전까지 터지지 않는다는 법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