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범고래 : Orcinus orca (Linnaeus) – 솔피
► 외국명 : (영) Killer whale, Orca, Great killer whale, Grampus, (일) Shyachi (シャチ)
► 형 태 : 크기는 수컷은 전장 7m, 체중 5톤, 암컷은 전장 6.6m, 체중 3톤 정도이다. 돌고래류 가운데 가장 큰 종으로 수컷은 아주 진한 흑색과 밝은 흰색 그리고 회색으로 조합되어 있어 다른 고래들과 쉽게 구별이 되나 암컷은 멀리서 보면 다른 돌고래들과 혼돈될 수도 있다. 머리는 원추형이고 주둥이는 현저하게 돋보이는 흰색의 원반형 반점이 있으며, 그 뒷쪽에 눈이 붙어있다. 양 턱에는 각각 10~12개의 원반형 이빨이 있고 위턱 뒤쪽에 아주 강한 근육이 있어 비교적 큰 먹이를 잡을 때 먹이가 저항하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성체의 몸 길이는 암컷 8.5m, 수컷 9.8m이고, 체중은 암컷 7.5톤, 수컷 10톤에 이른다. 등 위로 높게 솟아 오른 삼각형 모양의 등지느러미가 이 종의 특징으로 수컷의 경우 1.8m나 된다. 주둥이는 매우 짧고 앞이 둥글다. 가슴지느러미는 크고 알처럼 둥근 모양을 이룬다. 성체 수컷의 경우 크기가 2m에 이른다. 10~12개의 굽은 이빨이 좌우상하 턱에 있다. 눈 위 후방에 희고 둥근 큰 반점이 있다. 태어난 지 얼마 안 된 개체에서는 흰색 부분이 옅은 갈색이나 주황색을 띤다.이 체색은 무리로 행동할 때 끼리끼리 위치를 확인하거나 사냥감에게 진행 방향을 오인하게 하거나 자신의 몸을 작게 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등은 검은색이며 몸 아래는 흰색이다.
► 설 명 : 매우 활발한 동물로 블리칭(해면으로 몸을 부딪치는 점프), 스파이호핑(머리를 밖으로 내밀고 주위를 살피기 위한 행동) 등 다양한 행동이 수상에서도 관찰된다. 유영 속도는 시속 50㎞ 이상에 달하며, 병코돌고래와 함께 가장 빠르게 헤엄칠 수 있는 포유류 중 하나이다. 먹이를 구하러 하루에 100km 이상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호기심도 왕성해서 흥미가 있는 것에 다가가 확인하는 습성도 있다. 다른 고래와 마찬가지로 두 가지 종류의 소리를 구분해서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나는 콜이라고 불리며, 무리끼리의 커뮤니케이션에 사용된다. 다른 하나는 클릭음이라고 불리며, 분기공의 안쪽에 있는 홈으로부터 멜론이라고 불리는 지방으로 응축해 발사하는 음파이다. 이 음파는 물질에 닿을 때까지 물 속을 이동하기 때문에 범고래는 그 반향음을 아래턱 뼈에서 감지함으로써 앞쪽에 무엇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 능력을 에코로케이션(반향정위)이라고 부른다. 클릭음의 성능이 좋아 몇 밀리미터밖에 떨어지지 않는 두 가닥의 실을 인식하며, 반향음의 파형 차이에서 물질의 성분과 내용물까지 인식할 수 있다고 한다. 수컷의 평균수명은 30살, 최고수명은 약 50세이며, 암컷의 평균수명은 50살, 최고수명은 80살이다. 사람을 잘 따르고 훈련에 대한 적응도 높아 여러 수족관에서 사육되고 쇼에도 이용된다.
범고래는 “killer” 라는 이름과는 달리 야생 상태에서 사람을 공격 하지는 않는다. 돌고래처럼 지능이 높으며, 어떤 이는 고래류 중에서 가장 지능이 높다고도 한다. 수족관에서 사육이 가능하며 물위로 뛰어오르는 등 묘기를 부려 관중들의 인기를 독차지하기도 한다. 영화 “프리 윌리(Free Willy)”의 주인공으로 등장한 고래가 본 종이다. 호기심이 강하고 접근하기 쉬우며, 같은 무리 내에서 서로 공격하는 일은 아주 드물다. 무리는 가족 그룹 단위로 아주 유대 관계가 강하고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까지 아주 안정된 생활을 한다. 두 그룹 이상 무리를 짓는 경우 심지어 150마리 이상이 되는 대 그룹도 있다. 이러한 그룹들은 서로 자신들만의 독특한 언어를 구사한다. 주요 먹이는 연어, 대구, 오징어, 펭귄, 바다거북, 물개 등이며, 어떤 때는 자기보다 큰 수염고래까지도 공격한다. 서식지는 열대지방이나 아열대보다 시원한 물에 많이 산다. 대개 서식지에서 800km 이내에서 생활한다. 1938년부터 1967년까지 노르웨이인들이 북대서양에서 약 1,400 마리의 범고래를 잡았다. 이들은 “killer”라는 이름처럼 무서운 고래는 아니다. 지금까지 보고 된 바에 의하면 범고래가 인간을 공격한 기록은 단 한 건에 불과하다.
정주 그룹과 이동 그룹의 두 유형이 있다. 정주 그룹은 주로 물고기를 먹고, 이동 그룹은 해양성 포유류를 주식으로 한다. 범고래는 안정된 사회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돌고래, 물범 등 다른 해양 포유동물, 펭귄 등 조류, 어류 등을 포식한다. 바다에서 살지만 때로는 강을 거슬러 올라가기도 한다. 지구상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포유류의 일종이다. 때로는 먹이를 찾아 수백 킬로미터씩 강을 거슬러 올라가는 일도 보고되고 있다.
► 분 포 : 우리나라 전 해역에 출현 가능성이 있으며, 전 세계 해역에 분포한다. Western Mediterranean, Arabian Sea, Gulf Aden 등에 분포하며, 가장 많이 발견된 곳은 남극으로 어림잡아 160,000마리 정도로 추산된다. 일반적으로 차가운 바다를 좋아하지만 전 세계의 바다에 분포하며 고래류로는 드물게 지중해나 아라비아해에도 분포한다. 먹이가 되는 동물이 풍부한 극지 부근의 연안에 특히 많이 분포한다.
► 비 고 : 현시점에서는 동일종으로서 취급되고 있지만, 적어도 남극해에서만 1만 년 정도 전부터 혼혈이 없는 3 타입으로 분화하고 있으며, 식성, 사이즈가 서로 다르다. 남극해 해역의 범고래에 대해 구별할 필요가 있을 경우 다음과 같은 분류가 이루어질 수 있다. 현재 타입B와 타입C는 별종으로 해야 한다고 하는 연구가 제출되고 있다.
• A 타입-최근의 논문에서는 whale eater killer whale 로 기술되는 것이 많다.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범고래이며, 남방밍크고래(Balaenoptera bonaerensis) 등을 주식으로 한다. 아이패치의 크기는 중간 크기이다. 유빙이 적은 외양에서 생활한다.
• B 타입-최근의 논문에서는 mammal eater killer whale 로 기술되는 것이 많다. A타입보다 약간 소형이며, 해양 포유류를 주식으로 한다. 남방밍크고래, 긴수염고래, 펭귄, 바다표범 등도 포식한다. 아이패치가 A보다 2배가량 크고 백색부가 약간 노랗다. 유빙이 있는 연안 근처에 산다.식성이나 몸길이등의 차이로부터, 라지 타입 B와 스몰 타입 B로 나누는 설도 있다.
• C 타입-최근의 논문에서는 fish eater killer whale로 기술되는 경우가 많다. Orcinus glacialis라는 학명이 새롭게 제안되어 있다. 가장 작은 A타입에 비해 수컷이 100cm, 암컷이 60cm 정도 작을 것으로 보인다. 대구를 중심으로 한 어류를 먹는다. 가장 큰 무리를 이룬다. 아이패치가 다른 타입에 비해 작고, 몸의 중심부 흑백의 경계면에 큰 각도를 가진다. 백색부가 누렇다. 유빙이 있는 연안 근처에 산다.
• D 타입-2004년 이후 제창된 종이다. 통상적인 것 보다 작은 눈, 짧은 등지느러미, 거두고래를 닮은 둥근 머리로 인식된다. 활동범위는 남위 40~60도 사이의 아남극 해역에서 지구를 돌듯이 돌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주된 먹이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어류를 잡아먹는 것으로 보고되었다.